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저자 시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ち
-
표준 중국어
sh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저자 시(市). '저자', '시장', '장사하다', '인가가 번화(繁華)한 장소'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행정구역 중 하나인 는 이 한자를 쓰고 있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저자
중국어표준어shì
광동어si5
객가어sṳ
민북어chī
민동어chê
민남어[文] / chhī[白]
오어zr (T3)
일본어음독
훈독いち
베트남어thị

파일:市 금문.svg
금문의 자형을 보면 止(가다)와 兮(소리쳐 부르다)로 이루어져서, 물건이나 돈을 가지고 시장에가서 물건을 구하거나 판다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자이다.

파일:市 전서.svg파일:巿 전서.svg
市(저사 시)의 전서체巿(슬갑 불)의 전서체
巿(슬갑 불)과는 다른 글자이지만 자형이 비슷하다보니 市 대신에 巿로 통용하기도 한다. (허파 폐)나 (늪 패)와 같은 형성자가 "폐"나 "패"로 발음 나는 것은 우측의 성부가 市(시)가 아니라 巿(불)이기 때문이다. (손윗누이 자)나 (감나무 시)의 경우는 우측 성부가 市(시)이다.

파일:市 자형1.svg파일:市 자형2.svg
⿻一巾(4획,슬갑 불)이 아니라 ⿱亠巾(5획)임에 주의하자. 구별을 위해 왼쪽처럼 亠와 巾을 띄우거나[1] 오른쪽처럼 亠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폰트에 따라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읽기 7급II , 쓰기 6급에 속하는 한자로 주로 인명에 사용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지하철역[편집]




3.6. 창작물[편집]




3.7. 기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巿(슬갑 불) - 市(저자 시)는 가로획 위가 하나의 점으로, 별도의 획이다. 그러나 巿(슬갑 불)은 가운데 세로 획이 아예 하나로 이어져 있다. 따라서 저자 시는 5획이고 슬갑 불은 4획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48:1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자세히 보면 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