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절 배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9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ハイ
일본어 훈독
おが-む
-
표준 중국어
bái, b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절 배(拜). '절', '절하다', '삼가 공경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표준어bài
광동어baai3
객가어pai
민동어bái[文] / buái[白]
민남어pài
오어pa (T2)
일본어음독ハイ
훈독おが-む
베트남어bái

유니코드에는 U+62D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QMQJ(竹手一手十)로 입력한다.

왼쪽에 있는 글자는 (손 수) 자고, 오른쪽에 있는 글자는 手 자처럼 생기긴 했는데 뭔가 획이 하나 더 있다. 拜 자는 금문 때부터 등장하는데, 금문을 보면 주로 한쪽에는 손(즉 手)을, 다른 한쪽에는 (올 래) 자와 비슷한 어떤 곡식을 그린 형태로 나타난다. 이로 미루어 보아, 곡식을 바치고 절하는 모습을 그린 회의자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자형이 소전예서를 거치면서 手 자가 두 개 있는, 즉 두 손을 모아 절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바뀌게 되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아닐 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