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칠 목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ボク, モク
일본어 훈독
まき, か-う, つかさ, やしな-う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牧은 '칠 목'이라는 한자로, '치다(가축을 기르다)', '다스리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치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muk6
객가어mu̍k
민동어mŭk / muŏk[1]
민남어bo̍k
오어moq (T5)
일본어음독ボク, モク
훈독まき, うまき, か-う,
つかさ, むまき, やしな-う
베트남어phó
유니코드에는 U+726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手人大(HQOK)로 입력한다.

소의 모습을 본뜬 (소 우)와, 손으로 몽둥이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본뜬 (칠 복)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방목해 놓은 소를 몰기 위해 회초리를 휘두르는 모습에서 '치다', '가축을 기르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철도역[편집]




3.6.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구할 간)
  • (네오디뮴 녀)
  • (낱 매)
  • (매괴 매)
  • (용서할 사)
  • (마실 음)
  • (이를 치)
  • (공경할 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5:09:4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치료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