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알 식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シキ, シ, ショク
일본어 훈독
し-る, しる-す
표준 중국어
shí, zhì, sh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識은 알 식/적을(기록할) 지/깃발 치라는 한자로, '알다', '적다()', '깃발'을 뜻한다.


2. 상세[편집]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음을 나타내는 (찰흙 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자체가 여러 가지 뜻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나중에 言을 붙여 '말(言)을 듣고 안다'라고 하여 '알다'의 뜻으로 자리잡았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알다적다
중국어표준어shí/shìzhì
광동어sik1zi3
객가어sṳt[좌동]
민동어sék
민남어siak[좌동]
오어seq (T4)tsr (T2)
일본어음독シキ[1], ショク[2]
훈독し-るしる-す
베트남어thứcchí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1.1. 식[편집]



3.1.2. 지[편집]


  • 기지(識)
  • 표지(識)[3]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목불식정()[4]
  • 박학다식(識)
  • 식자우환(識)


3.3. 인명[편집]




4. 유의자[편집]


  • 알다
  • 기록하다
    • (기록할 기)
    • (기록할 록)
  • 깃발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42:5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좌동] A B '식' 음에 흡수되었다.[1] 오음[2] 한음[3] '표식'으로 읽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잘못이다.[4]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와 비슷한 표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