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팔 매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5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バイ
일본어 훈독
う-る, う-れる
표준 중국어
m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賣는 '팔 매'라는 한자로, '팔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팔다
중국어표준어mài
광동어maai6
객가어mai
민북어māi
민동어mâi[文] / mâ̤[白]
민남어māi[文] / bōe[1], bē[2]
오어ma (T3)
일본어음독バイ
훈독う-る, う-れる
베트남어mại
유니코드에는 U+8CE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土田中金(GWLC)으로 입력한다.

(날 출)과 (살 매)가 합쳐진 회의자로, 出이 (선비 사)의 모양으로 간략화되면서 현재의 자형이 됐다.

중국어에서는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예로 자주 제시되고는 한다. 買와 賣는 성모와 운모가 같지만, 성조는 각각 상성거성이며 정반대의 뜻을 가진다. 언어학자들은 이것을 우연이 아닌 것으로 보며, 다른 한자(단어)들과 마찬가지로 성조 변화에 의한 의미 변화로 본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賣는 '사다'라는 뜻을 가진 買에 '외부 지향'이란 의미를 부여하는 상고한어 어미 *-s가 붙어 '팔다'라는 단어가 나왔으며, 음절말의 *-s가 거성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발음이 된 것으로 이해한다.

(읽을 독), (이을 속) 등 형성자의 성부로 이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보이지만, 실은 하나도 없다. 모양이 매우 비슷한 별도의 글자인 𧶠(팔 육)이란 글자가 들어간 것이다.

약자로는 売가 있으며 일본 신자체에서는 이 형태가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売는 賣의 초서체에서 유래한 형태로, 가운데 부분인 (그물 망)이 단순화되어 (덮을 멱)으로 변하고 아래의 (조개 패)에서 (눈 목)이 생략되고 (여덟 팔)만 남은 것이 (어진사람 인)으로 변한 것이다. 예로부터 여러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두루 사용되었던 형태인데 일본에서는 이 형태를 표준으로 채택한 것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58:2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문독[白] 백독[1] 백독, 타이베이 등[2] 백독, 가오슝 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