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S 가요대축제

덤프버전 :



KBS 가요대축제
파일:2022 KBS 가요대축제: Y2K 포스터.jpg
2022년에 개최된 2022 KBS 가요대축제: Y2K의 포스터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최KBS 제작2본부 예능센터
첫 개최 연도1965년(59주년)

1. 개요
2. 설명
4. 역대 수상자
4.1. 대상
4.2. 최고가수상
4.3. 올해의 가수상[1]
4.4. 프로듀서가 선정한 인기 가수상
4.5. 작사상
4.6. 작곡상
4.7. 특별상
4.8. 공로상
4.9. 뮤직비디오상
4.10. 신인상
4.11. 역대진행자
5. 시청률



1. 개요[편집]


가요대축제(歌謠大祝祭)는 매년 12월 여의도 KBS 홀에서 열리는 KBS 2TV의 연말 가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이 신설된 1981년부터 2011년까지는 12월 30일에 개최되었고, 2012년부터는 뮤직뱅크를 대체하기 위해 12월 셋째주[2] 혹은 넷째주 금요일에 방송되는 경우가 많아졌다.[3] 1990년에 한시적으로 12월 29일에 열린 적도 있었는데 이는 이날이 토요일이라 동시간에 같은 채널에 방송하는 '쇼 토요특급'을 대체하기 위한 조치였고, 2015년에는 12월 30일(수), 2016년에는 12월 29일(목)에 개최되었다.


2. 설명[편집]


1965년 'TBC 방송가요대상'이 그 뿌리를 두고 있었는데, 전두환이 단행한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가요대상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부터 1993년까지 KBS 1TV에서 생방송으로 진행했었고 광고도 넣었다. 당시 시간대는 오후방송 시작하고 뉴스가 방송된 뒤 오후 6시에 시작하여 KBS 뉴스 9 시작 전까지 방송했다. 3시간 풀로 방송하는건 아니고 7시 30분을 기점으로 1부와 2부로 나누어서 방송하였는데 7시 25분부터 35분까지가 광고시간이었기 때문에 가수들이 짬내서 쉬었으며, 1993년 시상식에서 1부와 2부 사이에 대기실에서 가수들이 저녁식사를 하는 장면이 전파를 타기도 했고 1984년 시상식은 행사가 끝나고 출연진들끼리 뷔페식으로 리셉션 행사하는 장면이 전파에 타기도 했다. 당시에는 1부 후 광고- 1부 엔딩 타이틀 - 공익광고 내지 프로그램 예고 - 2부 오프닝 타이틀 - 2부 전 광고 순으로 진행하였다.[4] 1994년부터 KBS 1TV에서 상업광고를 폐지한 관계로 KBS 2TV에서 방송하기 시작했다.[5] 이대로 쭈욱 시상식을 진행하다가 음반시장 축소, 공정성 논란[6],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KBS 가요대상'에서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이름을 바꾼 뒤 프로그램의 포맷도 변경했다. 이후 SBS 가요대전도 2007년부터 시상식이 아닌 그냥 가요 축제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때 라디오가 영향력이 있었던 시절인 90년대 초반에는 KBS 제2라디오KBS 2FM을 통해 동시 방송된 적도 있고 중반부터 KBS 제2라디오를 통해 동시 방송되었다. 80년대에는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동시 방송되었다. 87년 가요대상 방송에서 김동건 아나운서가 1라디오로 동시 방송되고 표준FM 97.3MHz를 통해 입체 음향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다고 나온다.[7][8]

1981년부터 1986년까지는 신인가수상과 가수상을 성별로 따로 뽑아서 시상했다가 1987년부터 통합해서 시상했다. 또 1986년까지는 중창단상과 록 그룹 상도 있었으며 1987년을 기점으로 가수들의 특별 무대와 가수들의 콩트 코너로 채워졌다. 특이하게도 1993년 방송에선 아예 일본NHK 홍백가합전 콘셉트를 따와서 청백팀 간 대결 형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1991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를 이름을 바꾼 현재까지 행사를 서울 여의도 KBS홀에서 진행하고 있으며[9] 그 이전에는 KBS 별관 공개홀에서 진행했다.[10] 그래서 매년 똑같이 오프닝과 노래와 노래 사이에 KBS홀 전경이 배경으로 항상 나오고 있다.

참고로 2006년까지는 트로트 가수가 이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부르고 상을 받았으며, 2007년부터는 'KBS 트로트대축제'라는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 진행하고 있다.[11]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아이돌 대축제가 된 걸 잘 알 수 있다. 물론 그 사이에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고 1세대 아이돌부터 아이돌이 등장해서 가요계가 10대 위주로 재편되었는데도 2006년까지는 트로트 가수들과 중견 가수들이 나와서 상도 받고 노래도 부르는 그야말로 가족들이 함께 보는 열린음악회 특집 같은 프로그램이었다.

MC는 가요대상 시절부터 매년 아나운서들이 진행하다가[12], 2011년 이휘재가 MC를 맡으면서 그 관례가 깨졌고, 2012년부터 연예인 만으로 MC를 기용하기 시작했다. 예전 가요대상 시절에는 당시 KBS의 가요 프로그램이었던 가요무대, 가요톱10, 열린음악회의 MC가 서로 나와서 진행하기도 했다. 특히 김동건 전 아나운서는 1985년부터 2002년까지 18년 연속으로 가요대상을 진행했다.

전체적인 특징은 SBS보다는 안정적이고 나은데 MBC보다는 기획과 구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루하다는 평을 듣는다. SBS처럼 방송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점은 좋지만 기획과 구성 그리고 무대에서는 지루하다는 평이 많다. 선후배 가수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는 훈훈한 무대도 있다. 2015년 고척돔에서 진행하면서 그런 촌스러운 분위기는 거의 사라졌으나 열린음악회 같은 지루한 분위기는 벗어나지 못했다.[13]

이러한 이유는 아마도 KBS는 가요대축제에 큰 관심이 없어서 그런 거 같다. 왜냐하면 KBS는 연기대상에 사실상 올인하는 분위기이지 가요대축제에 올인하는 방송사는 아니라는 이야기.

하지만 2012년에는 라인업에 원로가수라 할만한 출연진은 부활을 빼면 별로 없고 MC들도 위에 언급한 것처럼 젊은 가수들로 채워졌다. 결국 타 방송사처럼 가요대축제도 아이돌의 잔치가 되어버렸다. 방송을 진행해보지 못한 MC들도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진행하지 못했기에 기존의 장점을 거의 살리지 못했다.

MBC 가요대제전SBS 가요대전에 비해 방송분량이 짧은 편이다. 가요대축제는 2시간 안팎으로 짧게 끝내지만 다른 연말 가요제들은 3시간이나 4시간 정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MBC 가요대제전이 연말 저녁에 시작해 연초 새벽에 끝나기 때문에 엔딩도 보지 못하고 졸음을 견디지 못하기도 하는 것에 비하면 분량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뮤직뱅크의 연말 행사로 보인다는 네티즌들의 비판이 있었고 최근에는 3시간 30분 정도로 증가했지만 타 방송사보다 가장 짧다.

2009년부터 방송중 문자투표를 받아서 그 결과로 마지막에 '올해의 노래상'을 시상했다. 하지만 2012년에는 시상이 없었으며 문자투표로 올해의 노래를 뽑는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돼서 매번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팬들은 대부분 환영하는 분위기...였지만 2013년에도 올해의 노래를 선정해서 EXO의 <으르렁>이 수상한 후 2014년에 수상형식에서 공연형식으로 바뀌면서 다른 가수들과 합동 무대를 선보여 올해의 노래를 선정하는 것을 대신했으며, 2014년은 그래도 KBS 가요대축제 치고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2년 시상식부터 HD 방송을 시작했다. 2002년 가요대상 시상식은 HD로 진행되었지만 그 전의 로고나 방식, 세트는 그대로 두었다가 2003년도부터 로고를 바꾸고 전체적으로 분위기를 바꿨다. 2002년 시험적으로 HD로 방송하고 2003~2004년 동안 SD로 방송했던 MBC와는 달리 지금까지 쭉 HD로 방송 중.[14]

KBS 공식 유튜브 중 하나인 'Again 가요톱10' 채널#에 KBS 가요대상 과거 방송 클립이 업로딩되었다. 2001년 가요대상까지 업로드되었다. 2019년 10월 30일부터 1981년 가요대상부터 2018년 가요대축제까지 KBS KPOP채널과 Again 가요톱10 채널에 12시부터 동시에 스트리밍 형식으로 방송분 풀버전을 업로드하고 있다.

가요대상 시절인 1998년, 2001년에는 대상 수상팀의 앵콜 대신 전 출연진의 올드랭사인 합창으로 대체했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축제/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수상자[편집]


2005년을 마지막으로 시상식을 중단하고 2006년부터 이름을 KBS 가요대축제로 바꿔 진행하고 있으나, 2009년~2011년, 2013년에는 올해의 노래를 선정했으며 2014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시상식을 중단한 상태이다.[15]


4.1. 대상[편집]


TBC 방송가요대상
연도대상
1965년최희준
연도남자 대상여자 대상
1966년최희준최양숙
1967년김상희
1968년배호이미자
1969년남진
1970년최희준
1971년남진김상희
1972년나훈아하춘화
1973년남진
1974년김세환
1975년이수미
1976년김훈하춘화
1977년혜은이
1978년최헌이은하
1979년조경수[16]
1980년조용필윤시내
KBS 가요대상
1981년조용필이정희
1982년윤시내
1983년
1984년김수철이은하
1985년조용필정수라
1986년전영록
연도대상
1987년전영록
1988년주현미
1989년현철
1990년
1991년김정수
1992년신승훈
1993년김수희
1994년김건모
1995년
1996년
1997년임창정
1998년H.O.T.
1999년조성모
2000년god
2001년
2002년[17]장나라
2003년이효리
2004년
2005년김종국
KBS 가요대축제
연도아티스트올해 최고 인기가요상
2009년2PMAgain & Again
2010년소녀시대Oh!
연도아티스트올해의 노래상
2011년비스트《Fiction》
2013년EXO으르렁


4.2. 최고가수상[편집]


연도성인 부문청소년 부문
1999년송대관엄정화
2000년태진아조성모
2001년김건모
2002년윤도현밴드
2003년송대관


4.3. 올해의 가수상[18][편집]


연도수상자
1987년구창모, 김범룡, 김완선, 김정구, 김학래, 나미, 송창식, 벗님들, 윤시내, 이광조, 이미자,
이선희, 장덕, 전영록, 정수라, 조영남, 조용필, 주현미, 최성수, 최진희, 해바라기
1988년김범룡, 김완선, 김종찬, 김학래, 남진, 도시아이들, 민해경, 소방차, 수와 진, 유열,
이남이, 이미자, 이선희, 전영록, 정수라, 조영남, 조용필, 주현미, 최성수, 현철
1989년김지애, 김흥국, 나훈아, 민해경, 박남정, 변진섭, 소방차, 양수경, 이미자, 이선희,
이정석, 이지연, 장미화, 전영록, 주현미, 최성수, 최진희, 최희준, 태진아, 현철
1990년김상아, 김완선, 김지애, 김흥국, 나미, 민해경, 변진섭, 송대관,
양수경, 이선희, 조갑경, 주현미, 최진희, 태진아, 현철
1991년강수지, 김완선, 김정수, 김지애, 노사연, 민해경, 변진섭, 송대관,
신해철, 양수경, 이상우, 이선희, 주현미, 태진아, 현철
1992년[19]강수지, 김국환, 김정수, 김지애, 노사연, 박정운, 서태지와 아이들, 설운도,
송대관, 신승훈, 양수경, 이상우, 이현우, 주현미, 현철
1993년김건모, 김수희, 김원준, 김종서, 노사연, 서태지와 아이들, 신승훈, 이승환, 최연제, 015B
1994년[20]구본승, 김건모, 김민교, 김수희, 김원준, 노사연, 더 블루, 부활, 설운도, 송대관, 신승훈, 신효범, 이미자, 이상우, 이선희, 인순이, 임주리, 투투, 태진아, 현철, Mr.2
1995년김건모, 노이즈, 녹색지대, 룰라, 박미경, 박진영, 서태지와 아이들, 성진우, 솔리드, 육각수, DJ DOC, R.ef
1996년김건모, 설운도, 신승훈, 영턱스클럽, 이승철, 클론, 터보, DJ DOC
1997년설운도, 엄정화, 유승준, 임창정, 클론, 터보, DJ DOC, H.O.T.
1998년김현정, 송대관, 엄정화, 유승준, 임창정, 젝스키스, 터보, 핑클, 현철, H.O.T., S.E.S.
1999년베이비복스, 송대관, 엄정화, 유승준, 임창정, 젝스키스, 조성모, 클론, 핑클, 태진아
2000년송대관, 유승준, 임창정, 조성모, 태진아, 핑클, 현철, god
2001년베이비복스, 송대관, 엄정화, 유승준, 임창정, 신화, 태진아, god, S.E.S.
2002년베이비복스, , 송대관, 신화, 윤도현밴드, 이수영, 임창정, 장나라, 태진아
2003년, 송대관, 이수영, 이효리, 태진아
2004년김종국, 동방신기, , 신화, 이수영, 코요태
2005년김종국, 김혜연, 동방신기, 럼블 피쉬, 마야, 버즈, 빅마마, 설운도, 성시경, 송대관, 에픽하이, 유열,
이승철, 이자연, 인순이, 장윤정, 쥬얼리, 코요태, 태진아, 채연, 현숙, 휘성, god, MC몽, SG워너비


4.4. 프로듀서가 선정한 인기 가수상[편집]


연도수상자
1981년조용필
1982년
1983년윤시내
1984년김수철
1985년조용필
1986년구창모
1987년최성수
1998년엄정화
1999년컨츄리꼬꼬
2000년임창정
2001년유승준
2002년, 현숙
2003년코요태, 태진아


4.5. 작사상[편집]


연도수상자수상곡
1981년이경미옛 시인의 노래
1982년박건호잊혀진 계절
1983년아! 대한민국
1984년서정주푸르른 날
1985년김지평인생은 미완성
1986년서효석
1987년송창식참새의 하루
1988년양인자서울 서울 서울
1989년한돌
1990년강인원비오는 날의 수채화
1991년이성만당신
1992년양인자타타타
1993년유영건[A]애모
1994년김광진마법의 성
1995년이성환사랑을 할거야
1996년최백호낭만에 대하여
1997년김순곤바람의 노래
1998년김종환사랑을 위하여
1999년이세준신부에게
2000년최희진기도[21]
2001년양재선처음처럼
2002년최준영부탁해요
2003년김태원[A]Never Ending Story
2004년전해성긴 하루
2005년이상백, MC몽I Love U Oh Thank U


4.6. 작곡상[편집]


연도수상자수상곡
1981년이현섭옛 시인의 노래
1982년최종혁DJ에게
1983년박춘석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1984년송창식우리는
1985년박춘석풀빛사랑
1986년정풍송허공
1987년조정열사랑하기에
1988년김정욱사랑이 저만치 가네
1989년김희갑향수
1990년노영심희망사항
1991년최대석만남
1992년신승훈보이지 않는 사랑
1993년유영건[A]애모
1994년김창환핑계
1995년잘못된 만남
1996년꿍따리 샤바라
1997년김형석그때 또 다시
1998년김건모사랑이 떠나가네
1999년김창환돌아와
2000년심상원어제처럼
2001년박진영난 여자가 있는데
2002년김형석슬픈 혼잣말
2003년김태원[A]Never Ending Story
2004년윤명선어머나
2005년전해성사랑했나봐


4.7. 특별상[편집]


연도수상자
1983년패티김
1984년권혜경
1988년코리아나
1990년반야월
1991년김강섭
1992년김인배
1995년김동건


4.8. 공로상[편집]


연도수상자
1981년윤복희
1982년박시춘
1983년김정구
1984년전수린
1985년황문평
1986년반예문
1987년이미자, 이봉조
1989년박춘석
1990년현인
1991년한복남
1992년신카나리아
1995년황금심


4.9. 뮤직비디오상[편집]


연도수상자수상곡
2001년-또 한번 사랑은 가고
2002년차은택좋은 사람
2003년김세훈보고싶다
2004년마스시 무토My Name
2005년한호경죄와 벌


4.10. 신인상[편집]


연도남자 신인상여자 신인상
1981년김남훈남궁옥분
1982년이명훈김성희
1983년정광태정수라
1984년임병수이선희
1985년김범룡주현미
1986년이재성김완선
1987년수와 진
1988년이지연
1989년김상아조갑경
1990년김민우박성신
1991년심신윤익희


4.11. 역대진행자[편집]


연도진행자장소
KBS 방송음악대상
1981년황인용, 김미회장충체육관
KBS 가요대상
1982년황인용, 서동숙잠실실내체육관
1983년
1984년황인용, 왕영은[22]여의도 KBS 별관 공개홀
1985년김동건, 김미회
1986년김동건, 이영미
1987년
1988년
1989년김동건, 전은진
1990년김동건, 김자영
1991년 [23]김동건, 고현정, 서정민[24]여의도 KBS홀
1992년김동건, 구영희
1993년김동건, 손범수
1994년김동건, 손범수, 진양혜[25]
1995년김동건, 손범수, 장은영
1996년
1997년김동건, 손범수, 황현정
1998년김동건, 손범수, 황수경
1999년
2000년
2001년김동건, 손범수, 최은경
2002년김동건, 김병찬, 황수경
2003년김병찬, 손범수, 황수경
2004년김병찬, 손범수, 김경란
2005년김병찬, 황수경, 노현정
KBS 가요대축제
2006년한석준, 황수경여의도 KBS홀
2007년한석준, 손범수, 황수경
2008년한석준, 황수경, 박사임
2009년한석준, 황수경, 김경란
2010년한석준, 전현무, 박은영
2011년전현무, 이휘재, 박사임
2012년성시경, 정용화, 윤아
2013년이휘재, 윤시윤, 수지
2014년이휘재, 택연, 윤아
2015년이휘재, 택연, 하니고척 스카이돔
2016년박보검, 설현
인터뷰: 김세정
여의도 KBS홀
2017년1부: 아이린, 사나, , 찬열
2부: 민규, 예린, 강다니엘, 솔라
2018년찬열, 진, 다현
인터뷰: 최원명, Kei
2019년신동엽, 아이린, 진영
인터뷰: 최보민, 신예은
KINTEX 제1전시장 4,5홀
2020년유노윤호, 차은우, 신예은
인터뷰: 아린, 수빈
여의도 KBS홀
여의도 KBS 신관 TS-15
2021년설현, 로운, 차은우
인터뷰: 아린, 수빈, 장원영, 성훈
여의도 KBS홀
2022년김신영, 장원영, 나인우잠실실내체육관[26]


5. 시청률[편집]


연도1부2부3부
2006년11.7%9.1%10.9%
2007년10.6%9.6%-
2008년12.9%11.6%
2009년15.2%15.3%[27]
2010년11.9%11.4%
2011년11.7%13.0%
2012년9.1%8.9%
2013년8.2%9.1%
2014년7.4%7.5%
2015년9.5%6.7%
2016년6.5%5.7%
2017년6.6%6.2%
2018년5.1%6.5%4.3%
2019년6.4%6.0%5.9%
2020년3.0%3.1%3.8%
2021년2.4%2.3%2.3%
2022년2.6%2.5%1.7%
  • 지루한 구성으로 인해 매년 시청률이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MBC 방송연예대상과 시간대가 겹쳤던 2016~17년에는 7% 밑으로 떨어졌고, SBS 연예대상과 겹쳤던 2018년에는 5%대로 떨어졌다.

  • 동시간대 다른 시상식 없이 단독 편성되었던 2019년에는 다시 6%대로 소폭 상승하며 당해년도 전체 3사 가요제 시청률 1위 자리를 수성했다. 하지만 이듬해에는 동시간대 트로트의 민족의 여파로 1, 2, 3부 모두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곤두박질쳤으며, 가요제 시청률 1위 타이틀도 MBC에게 뺏기고 말았다. 그리고 2021년 또 다시 전년 대비 1%씩 또 떨어졌다.




[1] 남/녀 가수상이 대상으로 통합된 1987년부터 제정된 상. 올해의 가수상 수상자는 자동으로 대상 후보가 되었다.[2] 2020년에 2017년부터 성탄절로 고정된 SBS 가요대전과 스케줄이 겹쳐 12월 18일로 당겨서 진행했고, 2021년에도 12월 17일 금요일에 개최될 예정이다.[3] 그래서인지 뮤직뱅크 현 제작진과 구 제작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4] 다만 KBS에서 올리는 영상에서는 다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광고와 프로그램 예고같은것은 일체 삭제하고 제공하고있고, 또한 방송 당시에 제공자막을 일체 삽입하지 않있기 때문에 이런것을 볼수는 없지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 장면에 CF 끝부분 일부를 볼 수는 있다.[5] KBS 코미디 대상(現 KBS 연예대상)과 KBS 연기대상도 2TV로 옮겼다.[6] 2003~2004년 시상식[7] 서울 제1라디오 표준FM은 1988년 5월 정식으로 개국했는데 시험방송 시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8] 참고로 일본 NHK는 홍백가합전을 2022년 현재까지 NHK 라디오 제1방송으로 수중계하고 있다.[9] KBS 홀에서 전체 다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앞뒤 광고와 오프닝 및 클로징 VCR은 다른 스튜디오 부조정실에서, 프로그램 내 VCR과 KBS 홀 전경이 나오는 카메라는 중계차에서 진행한다.[10] 현재 가요무대,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녹화 장소로 쓰이고 있으며 예전 80년대에는 상당수 음악프로가 이곳에서 녹화되었다. 뮤직뱅크도 아주 가끔 여기서 생방송한다.[11] 2008년 잠시 통합되었다가 2009년부터 다시 진행되었다. 12월 마지막 주 월요일 가요무대 시간대에 방송하며 녹화방송이다. 이후 2015년을 마지막으로 진행하지 않고 있다.[12] 유이한 예외가 1984년의 왕영은, 1991년의 고현정, 서정민이었다.[13] 1990년대 중후반 가요대상 시절에는 열린음악회 특집 분위기가 훨씬 강했다. 열린음악회에서 연주하는 KBS 관현악단 들여놓고 (당시 지휘자는 정성조.) KBS 홀에서 연주를 했으니... 열린음악회에서 선정된 올해의 가수 무대에는 그 해 발표된 노래가 아니면 과거 히트곡을 불러야 했었다.[14] 단 초창기 몇년 동안 재방송 같은 경우는 4:3 SD 화질로 방송됐었다.[15] 다만, KBS가 공사 창립 50주년을 기념하며 KBS를 빛낸 50인을 선정하면서 그 참고자료로 KBS가요대상 역대 대상 수상자를 발표했는데, 이 자료에 따르면 역대 대상 수상자에 더해서 해당 년도에 공식 발표는 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집계한 듯한 수상자들이 보인다. 그 명단은 2006년 신중현을 시작으로, 2012년 싸이, 2014년 소유X정기고, 2015년 엑소, 2016년 트와이스, 2017년~2020년 방탄소년단, 2021년 아이유이다.#[16] 배우 조승우의 아버지.[17] 본격적으로 HD 방송이 시작되었다.[18] 남/녀 가수상이 대상으로 통합된 1987년부터 제정된 상. 올해의 가수상 수상자는 자동으로 대상 후보가 되었다.[19] 신인상이 폐지되면서 신인가수들이 포함되었다.[20] 이 해부터 가요무대, 열린음악회에서 올해의 가수상 수상자를 선정하기 시작했다.[A] A B C D 작사·작곡상 동시 수상[21] KBS 드라마 가을동화 OST.[22] 최초의 非아나운서 진행자.[23] KBS홀 준공 후 처음 개최된 가요대상.[24] 김동건이 홀로 메인 무대에서 진행을 하고, 고현정과 서정민이 상단 특설 스튜디오에서 수상자 가족과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고현정과 서정민은 당시 토요일 저녁에 방송되었던 토요대행진의 공동 MC였다.[25] 가요대상-가요대축제 사상 유일한 부부 MC 사례.[26] 1983년 가요대상 이후 39년만에 이곳에서 개최된다.[27] 역대 최고 시청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