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국공신

덤프버전 :


1. 개요
2. 목록
2.1. 한국
2.2. 중국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나라를 건국하는데 큰 공헌을 세운 신하.


2. 목록[편집]



2.1. 한국[편집]


[ 펼치기 · 접기 ]

사로 6촌신라 6부성씨시조
알천 양산촌급량부이씨알평
돌산 고허촌사량부최씨소벌도리
취산 진지촌본피부정씨지백호
무산 대수촌점량부손씨구례마
금산 가리촌한기부배씨지타
명활산 고야촌습비부설씨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삼한공신
[ 펼치기 · 접기 ]

개국공신
1등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
2등
견권능식권신염상
김락연주마난
3등
2천여 명(사서에 전하지 않음)
삼한공신
유금필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양유 · 김견술 · 서필
이상 배향공신#고려

강공훤 · 강궁진 · 권행 · 금용식 · 김극렴 · 김선평 · 김유렴 · 김인윤 · 김일긍 · 나총례 · 류차달 · 박지윤 · 소격달 · 왕경 · 염형명 · 원극유 · 윤신달 · 이금서 · 이능일 · 장정필 · 최정헌 · 허선명
그 외 다수


자세한 정보는 공신 문서 참조.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협찬개국공신 (2등)
박포유창윤호이민도
장담정용수조기조반
조영규조온홍길민조견
황희석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김균김로손흥종
심효생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근이백유이부이서
이직장지화함부림황거정
민여익임언충장사정조영무
한상경한충





2.2. 중국[편집]


한삼걸(漢三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 파일:external/www.ueren.com/8e7837881cae455aa22043fc96c36b35.jpg || 파일:external/a0.att.hudong.com/19300001263502131892409675852_950.jp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4px-H%C3%A1n_X%C3%ACn.jpg ||
|| 차후(酇侯 소하(蕭何 || 유후(留侯 장량(張良 || 회음후(淮陰侯 한신(韓信 ||



[ 펼치기 · 접기 ]

촉서 관장마황조전
관우장비마초황충조운



  • [1]
양(梁)의 개국공신(開國功臣)
[ 펼치기 · 접기 ]

운두충혜개국후(雲杜忠惠開國侯) 유경원(柳慶遠)작당강개국후(作唐康開國侯) 소영달(蕭穎達)영도경개국후(寧都景開國侯) 하후상(夏侯詳)영도열개국후(寧都烈開國侯) 양공칙(楊公則)
송자충개국후(松滋忠開國侯) 등원기(鄧元起)도양민개국후(洮陽愍開國侯) 장홍책(張弘策)동흥충개국후(東興忠開國侯) 정소숙(鄭紹叔)평고충경개국후(平固忠敬開國侯) 여승진(呂僧珍)
곡강목개국후(曲江穆開國侯) 유침(柳忱)소성문개국후(霄城文開國侯) 범운(范雲)건창은개국후(建昌隱開國侯) 심약(沈約)강안현개국후(江安縣開國侯) 장직(張稷)
의양위개국후(宜陽威開國侯) 왕진국(王珍國)안창장개국후(安昌壯開國侯) 장제(張齊)석양충개국후(石陽忠開國侯) 장혜소(張惠紹)영도열개국후(營道烈開國侯) 창의지(昌義之)





||




3. 여담[편집]


어떠한 집단이나 행사, 방송 등 세우거나 키우는데 크게 공헌한 사람을 개국공신이라 칭하기도 한다. 보통의 경우 원래 뜻처럼 기업을 세우는데 기여하거나, 크게 키우는데 일조하면 개국공신으로 인정해준다. 그리고 다 망해가던 기업을 살린 경우에도 개국공신이라 부른다. 그리고 시청률도 조금밖에 안나오던 TV 프로그램을 연기력 등으로 소화해내어 시청률을 올리는데에 기여한 사람이나, 방송국 개국 시절에 방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개국공신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개국공신이라고 불린다.

토사구팽의 희생양이 되기 쉽다. 개국군주도 물론 능력과 야심 모두 대단하지만 그 곁에서 도운 개국공신들 역시도 개국군주 못지 않게 능력과 야심이 대단하며 개국군주가 찬탈이나 정복을 통해 나라를 세웠다면 개국공신들 역시도 못하리란 법이 없어서 일단 나라를 세우면 개국군주와 개국공신은 적이 되기 쉽다. 개국군주는 그래도 자신의 권위나 의리로 공신들을 통제하고 숙청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신 그 뒤를 이은 아들은 아버지만한 권위와 의리로 통제할 수 없기에 공신들을 숙청하는 일도 있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4:11:40에 나무위키 개국공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치통감에서 명시한 16명의 공신들이다.[2] 아이러니하게도 정치적 문제를 통해 제거하는 일도 자주 당하기도 하는 계층이기도 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