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



1. 개요
2. 특징
2.1. 편애 문제
2.2. 명칭 관련
3. 1세대 포켓몬 목록
4. 관동도감 목록
4.1. 색인번호 일람
4.2. 진화 계보 목록


1. 개요[편집]


포켓몬스터 레드·그린·블루·피카츄 버전부터 등장하는 포켓몬의 목록.


2. 특징[편집]


각 포켓몬 디자인은 몇번이나 고치고 고치는 장고 끝에 결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덕분에 대부분의 유저들이 호평하는 세대이며 3세대 이후 포켓몬들이 화려해지거나 우락부락해졌다며 이 때를 그리워하는 팬들도 많다.[1] 여기서 더 나아가면 신규 포켓몬이 나올 때마다 1세대의 디자인과 비교하며 평가절하하는 전작빠[2]들도 있으며, 한국에서는 포켓몬의 2번째 전성기라 할 수 있는 4세대로 입문한 팬들과 마찰을 빚는 경우도 있다.

독 타입이 151종 중 20%가 넘는 33종이라는 압도적인 비율을 자랑했던 세대다.[3] 덕분에 독 타입에 상성이 강한 에스퍼 타입들 전부가 사기 포켓몬 취급 받던 시절이기도 하다. 나름 벌레, 고스트라는 약점 타입이 있었지만, 고스트 포켓몬은 팬텀 일가 3마리 뿐이고, 그마저도 사이코키네시스 수준만한 고스트 타입 기술도 없어 사탕도 아닌 에스퍼 포켓몬들을 미친 듯이 핥기만 해야 했던데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1세대 RGBY에서는 버그 때문에 공격이 아예 들어가지 않았다. 거기다가 팬텀 일가는 에스퍼 타입 기술들에게 2배 타격을 받는 독 타입이랑 병행 타입이기 때문에 오히려 역으로 털리기 일쑤였다[4]. 벌레 타입 포켓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태반이 독과 병행 타입이었으며, 그럴듯한 기술도 없었다. 사실 이 쪽은 모든 포켓몬들의 밥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나마 준수한 성능의 스라크, 쁘사이저가 있었지만, 게임 중후반부인 사파리존에서나 드물게 등장한데다, 쥬피썬더를 제외하면 쓸 수 있는 벌레 기술도 없었다. 상대적 쉽게 잡을 수 있는데다 그 때는 수준급 공격기인 사이코키네시스 기술머신을 체육관 돌파도 아닌, 그냥 노랑시티에 있는 NPC랑 대화만 해도 줬던 에스퍼 타입 포켓몬들에게는 상대가 안 됐다.

물 타입 역시 1세대 포켓몬 전체의 20% 가량인 32종으로, 독 타입 다음으로 매우 많다. 당시에는 강철, 악, 페어리 타입이 없었기 때문에 1세대 포켓몬 중에 그런 타입이 있는 포켓몬은 세대가 지나면서 타입이 추가되거나 바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철 타입은 코일-레어코일뿐이고[5], 드래곤 타입과 고스트 타입은 신비주의 전략으로 인해 망나뇽 계열과 팬텀 계열만 있다. 얼음 타입은 5마리로 드래곤, 고스트 타입 다음으로 적으며, 단일 얼음 타입은 없다.[6] 또, 바위 타입은 대부분 땅 타입과의 복합 타입이고 비행 타입은 분류가 애매해서, 단일 바위 및 단일 비행 타입도 나오지 않았다.[7] 풀 타입도 덩쿠리를 제외하면 대부분 독 타입과의 복합 타입이다. 그리고 악 타입은 리전폼이나 메가 진화가 없으면 아예 없다. 현재까지도 유일한 타입 조합은 고스트/독(팬텀), 독/비행(골뱃 계열) 타입 조합이다.

독특하게도 1세대 시리즈는 리메이크판이 나와도 이후 세대에 추가된 진화 전/후 포켓몬을 관동도감에 추가하지 않는다. 때문에 FRLG는 도감 확장 이전까지 알까기는 물론, 2세대 이후에 등장한 진화형으로 진화하지 못하며 레츠고 시리즈에서는 아예 입수는 커녕 데이터 자체가 없다. 반면 다른 지방 도감에는 후술할 편애 문제도 있어 자주 끼어드는 편이다. 9세대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도나리 계열이 등장였고 를 제외한 모든 1세대 포켓몬이 관동&성도 이외 지방의 도감에 실렸다.

관동도감의 숫자인 151은 포켓몬에게 있어 하나의 상징이 되었다. 카레도감, 포켓몬잡, 샌드위치 레시피가 151종류이며 갑옷섬의 디그다도 151마리이다.

2.1. 편애 문제[편집]


여러모로 편애받는 세대로, 5세대 포켓몬은 아예 1세대를 오마주했고, XY에서는 1세대 스타팅과 전설의 새들, 뮤츠를 잡을 수 있고, 7세대에 추가된 리전 폼도 썬·문 기준으로 1세대밖에 없었다.[8]

문제는 이 편애가 너무 과하다 보니 1세대를 싫어하게 된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 버렸고, 소드실드에서 1세대 포켓몬인 리자몽이 챔피언의 에이스 포켓몬으로 선택되어 이 안티층이 더 커졌다.[9] 게다가 8세대의 핵심 컨텐츠 중 하나인 거다이맥스를 딱히 받아야할 이유도 없는 1세대가 12마리[10]나 받아갔다. 반면, 8세대를 제외하면 5세대에서 더스트나가, 7세대에서 멜메탈이 거다이맥스를 받았으며, 2, 3, 4, 6세대 포켓몬은 거다이맥스를 하나도 받지 못했다. 포켓몬빵띠부띠부씰 역시 전부 1세대 포켓몬의 비중이 높은 편이며, 2022년에 다시 판매될 당시에는 아예 1세대 포켓몬만 있다. 이로 인해 1세대 포켓몬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1세대 포켓몬을 틀딱이라고 부르고 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이 1세대 편애 내에서도 또 다른 편애가 존재한다. 불후의 인기 포켓몬 피카츄야 말할 것도 없고, 애니메이션에서 지우의 에이스로 활약한 리자몽 계열과 마찬가지로 1세대 스타팅 출신인 이상해씨, 거북왕 계열, 1세대 전설과 환상의 포켓몬 뮤츠, 상당히 특이하고 기괴한 리전폼의 모습으로 단숨에 유명해진 나시처럼 인기 있는[11] 녀석들만 타 매체에 비중있게 등장하거나 게임 내에서 메가진화, Z 기술, 거다이맥스같은 특수 배틀 기믹들을 받게 되었다.

나머지는 순전히 1세대라 운 좋게 곁다리로 끌려온 경우가 많지만, 어디까지나 운 좋게 끌려왔을 뿐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해 잊혀지는게 태반이다. 풀/벌레라는 암울한 타입에 파워인플레로 그나마 높은 공격력마저 밀려나버린 파라섹트, 높은 스피드와 돌머리라는 좋은 특성을 살릴 공격 기술이 없는 모순을 선보이는 프테라, 그나마 메가진화를 얻었고 이름이라도 유명한 피죤투와는 달리 많은 사람들이 이름조차 기억 못하는 깨비드릴조까지, 1세대의 편애라는 벽 뒤 그림자에 가려진 암울한 포켓몬도 많다.[12]

2.2. 명칭 관련[편집]


한국에서는 1세대 게임이 발매되지 않았지만, 기사에 따르면 포켓몬 관련 한국어 명칭 로컬라이징은 국내 IP판권을 맡은 대원이 전 그룹사에서 일본어에 능통한 직원 10명 가량을 차출해 TF팀을 꾸려 만든 것이라고 한다.[13]

3세대 이후부터 주요 비판점이 된 포켓몬 컴퍼니의 괴랄한 번역 명칭이 없는 편이며 지금도 좋은 평가를 듣는 번역 명칭이 많다.

실제로 대원 측에서 노력을 많이 기울인 것인지, 단순히 일본어 이름을 번역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도감설정 등을 참고하여 짓기도 하는 등 현재까지도 상당히 네이밍센스가 괜찮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원을 따져본 후 국내 문화권에서 통하지 않는 유래이거나, 말장난 이름 번역이 안된다 싶으면 아예 새로 창작을 하는 등 고심을 한 흔적이 많다. 영어등 제3문화권의 이름인 경우 그대로 가져다 쓰기도 하고, 먼저 로컬라이징된 영어판 명칭을 참고한 듯한 것도 보이는 한편 요즘같으면 그냥 가져다 썼을 법한 영어식 이름을 좀더 간지나거나 친숙한 방향으로 바꾸는 등 여기저기 조금이라도 잘 바꿔보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당시는 포켓몬 컴퍼니 설립 전인 시대였고 초창기였다보니, 대원이 명칭표준을 총괄하기는 하였지만 모든 매체에 대해 명칭 통일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내부적으로도 명확하지 않았던 것 같은 흔적이 보인다. 오피셜이 되었어야 할 1세대 게임이 미발매 상태로 전개되다보니 어쩔 수 없었다.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가 열리기 조금 전이었던 시기라, 지금 개념으로는 당연히 있을 것 같은 공홈도 없고 팬페이지 정도가 전부였던 시대였다.

그러다보니 애니, 포켓몬스터 SPECIAL, 띠부띠부씰에서 서로 명칭이 갈려 다소간의 혼란이 있었다. 뚜벅초/뚜벅쵸. 수륙챙이/슈륙챙이, 덩쿠리/덩구리 등이 그 예시. 애니메이션은 이름이 매번 언급되는 것도 아닐 뿐더러 글자로 박혀 나오는 일이 드물고, 포켓몬 스페셜은 오타에다 같은 권에서도 이름이 오락가락해서 일관적이지 못했다. 그래도 띠부띠부씰은 이름이 박혀나오기 때문에 하술할 오류들에도 불구하고 오피셜 취급을 받곤 했는데, 이마저도 주변에 해당 스티커를 가지고 있는 친구가 있어야 확인이 가능했다. 당시 띠부띠부씰에서는 위 포켓몬들이 뚜벅초, 수륙챙이, 덩쿠리로 찍혀 나왔었다.[14] 그리고 당시 띠부띠부씰도 오류가 굉장히 많아 신뢰성이 많이 떨어졌다. 자료를 보면 , 독침, 버터, 우츠보, 쁘사이, 리오, 라스 등 수많은 이름들이 버젓이 잘못 찍혀 나와있다.[15]

상술했듯 오피셜이 되었어야 할 1세대 게임의 한국어판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전개된 IP였던 탓에, 이런 혼란은 1세대 기술명, 지역명, 캐릭터명, 아이템명, 타입명 등 모든 고유명사가 마찬가지였고, 게임 외 매체에 의존해야 했던 문제는 2002년 금/은의 한국어판이 발매되고부터 어느정도 해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처음으로 한국어판으로 공식 발매된 금/은에서는 륙챙이, 로 나왔었는데, 이는 당시까지만해도 명칭 통일과 관련해서 국내 IP관리주체인 대원에서 제대로 감수가 되지 않거나 내부적으로도 명확하지 못했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포켓몬 이름을 실존하는 생물의 영칭 그대로 붙인 포켓몬이 많은 세대이다. 피죤, 크랩, 라플레시아 같은 포켓몬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3. 1세대 포켓몬 목록[편집]


타입별 추가 비율[16]
타입비율추가 수타입비율추가 수타입비율추가 수


14.57%22

5.30%8

7.28%11


7.95%12

21.85%33

1.99%3


21.19%32

9.27%14

1.99%3


9.27%14

12.58%19

0%0


5.96%9

9.27%14

1.32%2


3.31%5

7.95%12

[17]
3.31%5

메가진화
메가진화15
리전 폼
알로라 리전 폼1836
가라르 리전 폼11
히스이 리전 폼4
팔데아 리전 폼3

No.포켓몬타입
0001파일:icon0001_f00_s0.png이상해씨
0002파일:icon0002_f00_s0.png이상해풀
0003파일:icon0003_f00_s0.png이상해꽃
파일:icon0003_f01_s0.png메가이상해꽃
0004파일:icon0004_f00_s0.png파이리
0005파일:icon0005_f00_s0.png리자드
0006파일:icon0006_f00_s0.png리자몽
파일:icon0006_f01_s0.png메가리자몽X
파일:icon0006_f02_s0.png메가리자몽Y
0007파일:icon0007_f00_s0.png꼬부기
0008파일:icon0008_f00_s0.png어니부기
0009파일:icon0009_f00_s0.png거북왕
파일:icon0009_f01_s0.png메가거북왕
0010파일:icon0010_f00_s0.png캐터피
0011파일:icon0011_f00_s0.png단데기
0012파일:icon0012_f00_s0.png버터플
0013파일:icon0013_f00_s0.png뿔충이
0014파일:icon0014_f00_s0.png딱충이
0015파일:icon0015_f00_s0.png독침붕
파일:icon0015_f01_s0.png메가독침붕
0016파일:icon0016_f00_s0.png구구
0017파일:icon0017_f00_s0.png피죤
0018파일:icon0018_f00_s0.png피죤투
파일:icon0018_f01_s0.png메가피죤투
0019파일:icon0019_f00_s0.png꼬렛
파일:icon0019_f01_s0.png꼬렛
0020파일:icon0020_f00_s0.png레트라
파일:icon0020_f01_s0.png레트라
0021파일:icon0021_f00_s0.png깨비참
0022파일:icon0022_f00_s0.png깨비드릴조
0023파일:icon0023_f00_s0.png아보
0024파일:icon0024_f00_s0.png아보크
0025파일:icon0025_f00_s0.png피카츄
0026파일:icon0026_f00_s0.png라이츄
파일:icon0026_f01_s0.png라이츄
0027파일:icon0027_f00_s0.png모래두지
파일:icon0027_f01_s0.png모래두지
0028파일:icon0028_f00_s0.png고지
파일:icon0028_f01_s0.png고지
0029파일:icon0029_f00_s0.png니드런♀
0030파일:icon0030_f00_s0.png니드리나
0031파일:icon0031_f00_s0.png니드퀸
0032파일:icon0032_f00_s0.png니드런♂
0033파일:icon0033_f00_s0.png니드리노
0034파일:icon0034_f00_s0.png니드킹
0035파일:icon0035_f00_s0.png삐삐[A]
0036파일:icon0036_f00_s0.png픽시[A]
0037파일:icon0037_f00_s0.png식스테일
파일:icon0037_f01_s0.png식스테일
0038파일:icon0038_f00_s0.png나인테일
파일:icon0038_f01_s0.png나인테일
0039파일:icon0039_f00_s0.png푸린[B]
0040파일:icon0040_f00_s0.png푸크린[B]
0041파일:icon0041_f00_s0.png주뱃
0042파일:icon0042_f00_s0.png골뱃
0043파일:icon0043_f00_s0.png뚜벅쵸
0044파일:icon0044_f00_s0.png냄새꼬
0045파일:icon0045_f00_s0.png라플레시아
0046파일:icon0046_f00_s0.png파라스
0047파일:icon0047_f00_s0.png파라섹트
0048파일:icon0048_f00_s0.png콘팡
0049파일:icon0049_f00_s0.png도나리
0050파일:icon0050_f00_s0.png디그다
파일:icon0050_f01_s0.png디그다
0051파일:icon0051_f00_s0.png닥트리오
파일:icon0051_f01_s0.png닥트리오
0052파일:icon0052_f00_s0.png나옹
파일:icon0052_f01_s0.png나옹
파일:icon0052_f02_s0.png나옹
0053파일:icon0053_f00_s0.png페르시온
파일:icon0053_f01_s0.png페르시온
0054파일:icon0054_f00_s0.png고라파덕
0055파일:icon0055_f00_s0.png골덕
0056파일:icon0056_f00_s0.png망키
0057파일:icon0057_f00_s0.png성원숭
0058파일:icon0058_f00_s0.png가디
파일:icon0058_f01_s0.png가디
0059파일:icon0059_f00_s0.png윈디
파일:icon0059_f01_s0.png윈디
0060파일:icon0060_f00_s0.png발챙이
0061파일:icon0061_f00_s0.png슈륙챙이
0062파일:icon0062_f00_s0.png강챙이
0063파일:icon0063_f00_s0.png캐이시
0064파일:icon0064_f00_s0.png윤겔라
0065파일:icon0065_f00_s0.png후딘
파일:icon0065_f01_s0.png메가후딘
0066파일:icon0066_f00_s0.png알통몬
0067파일:icon0067_f00_s0.png근육몬
0068파일:icon0068_f00_s0.png괴력몬
0069파일:icon0069_f00_s0.png모다피
0070파일:icon0070_f00_s0.png우츠동
0071파일:icon0071_f00_s0.png우츠보트
0072파일:icon0072_f00_s0.png왕눈해
0073파일:icon0073_f00_s0.png독파리
0074파일:icon0074_f00_s0.png꼬마돌
파일:icon0074_f01_s0.png꼬마돌
0075파일:icon0075_f00_s0.png데구리
파일:icon0075_f01_s0.png데구리
0076파일:icon0076_f00_s0.png딱구리
파일:icon0076_f01_s0.png딱구리
0077파일:icon0077_f00_s0.png포니타
파일:icon0077_f01_s0.png포니타
0078파일:icon0078_f00_s0.png날쌩마
파일:icon0078_f01_s0.png날쌩마
0079파일:icon0079_f00_s0.png야돈
파일:icon0079_f01_s0.png야돈
0080파일:icon0080_f00_s0.png야도란
파일:icon0080_f01_s0.png메가야도란
파일:icon0080_f02_s0.png야도란
0081파일:icon0081_f00_s0.png코일[C]
0082파일:icon0082_f00_s0.png레어코일[C]
0083파일:icon0083_f00_s0.png파오리
파일:icon0083_f01_s0.png파오리
0084파일:icon0084_f00_s0.png두두
0085파일:icon0085_f00_s0.png두트리오
0086파일:icon0086_f00_s0.png쥬쥬
0087파일:icon0087_f00_s0.png쥬레곤
0088파일:icon0088_f00_s0.png질퍽이
파일:icon0088_f01_s0.png질퍽이
0089파일:icon0089_f00_s0.png질뻐기
파일:icon0089_f01_s0.png질뻐기
0090파일:icon0090_f00_s0.png셀러
0091파일:icon0091_f00_s0.png파르셀
0092파일:icon0092_f00_s0.png고오스
0093파일:icon0093_f00_s0.png고우스트
0094파일:icon0094_f00_s0.png팬텀
파일:icon0094_f01_s0.png메가팬텀
0095파일:icon0095_f00_s0.png롱스톤
0096파일:icon0096_f00_s0.png슬리프
0097파일:icon0097_f00_s0.png슬리퍼
0098파일:icon0098_f00_s0.png크랩
0099파일:icon0099_f00_s0.png킹크랩
0100파일:icon0100_f00_s0.png찌리리공
파일:icon0100_f01_s0.png찌리리공
0101파일:icon0101_f00_s0.png붐볼
파일:icon0101_f01_s0.png붐볼
0102파일:icon0102_f00_s0.png아라리
0103파일:icon0103_f00_s0.png나시
파일:icon0103_f01_s0.png나시
0104파일:icon0104_f00_s0.png탕구리
0105파일:icon0105_f00_s0.png텅구리
파일:icon0105_f01_s0.png텅구리
0106파일:icon0106_f00_s0.png시라소몬
0107파일:icon0107_f00_s0.png홍수몬
0108파일:icon0108_f00_s0.png내루미
0109파일:icon0109_f00_s0.png또가스
0110파일:icon0110_f00_s0.png또도가스
파일:icon0110_f01_s0.png또도가스
0111파일:icon0111_f00_s0.png뿔카노
0112파일:icon0112_f00_s0.png코뿌리
0113파일:icon0113_f00_s0.png럭키
0114파일:icon0114_f00_s0.png덩쿠리
0115파일:icon0115_f00_s0.png캥카
파일:icon0115_f01_s0.png메가캥카
0116파일:icon0116_f00_s0.png쏘드라
0117파일:icon0117_f00_s0.png시드라
0118파일:icon0118_f00_s0.png콘치
0119파일:icon0119_f00_s0.png왕콘치
0120파일:icon0120_f00_s0.png별가사리
0121파일:icon0121_f00_s0.png아쿠스타
0122파일:icon0122_f00_s0.png마임맨[B]
파일:icon0122_f01_s0.png마임맨
0123파일:icon0123_f00_s0.png스라크
0124파일:icon0124_f00_s0.png루주라
0125파일:icon0125_f00_s0.png에레브
0126파일:icon0126_f00_s0.png마그마
0127파일:icon0127_f00_s0.png쁘사이저
파일:icon0127_f01_s0.png메가쁘사이저
0128파일:icon0128_f00_s0.png켄타로스
파일:icon0128_f01_s0.png켄타로스
파일:icon0128_f02_s0.png켄타로스
파일:icon0128_f03_s0.png켄타로스
0129파일:icon0129_f00_s0.png잉어킹
0130파일:icon0130_f00_s0.png갸라도스
파일:icon0130_f01_s0.png메가갸라도스
0131파일:icon0131_f00_s0.png라프라스
0132파일:icon0132_f00_s0.png메타몽
0133파일:icon0133_f00_s0.png이브이
0134파일:icon0134_f00_s0.png샤미드
0135파일:icon0135_f00_s0.png쥬피썬더
0136파일:icon0136_f00_s0.png부스터
0137파일:icon0137_f00_s0.png폴리곤
0138파일:icon0138_f00_s0.png암나이트
0139파일:icon0139_f00_s0.png암스타
0140파일:icon0140_f00_s0.png투구
0141파일:icon0141_f00_s0.png투구푸스
0142파일:icon0142_f00_s0.png프테라
파일:icon0142_f01_s0.png메가프테라
0143파일:icon0143_f00_s0.png잠만보
0144파일:icon0144_f00_s0.png프리져
파일:icon0144_f01_s0.png프리져
0145파일:icon0145_f00_s0.png썬더
파일:icon0145_f01_s0.png썬더
0146파일:icon0146_f00_s0.png파이어
파일:icon0146_f01_s0.png파이어
0147파일:icon0147_f00_s0.png미뇽
0148파일:icon0148_f00_s0.png신뇽
0149파일:icon0149_f00_s0.png망나뇽
0150파일:icon0150_f00_s0.png뮤츠
파일:icon0150_f01_s0.png메가뮤츠X
파일:icon0150_f02_s0.png메가뮤츠Y
0151파일:icon0151_f00_s0.png

버전 별 출현은 각 포켓몬의 항목을 참조.

4. 관동도감 목록[편집]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에 나오는 도감에는 위에 나온 포켓몬들을 비롯해 멜탄과 멜메탈까지 등장하기 때문에 총 153마리에 해당된다.

1세대 포켓몬 내역이 아닌 1세대와 3세대, 레츠고 리메이크 게임의 관동도감으로서의 내역을 서술한다.
  • 포획지는 'NPC와의 교환<>필드>낚싯대>진화' 순이다.
    • NPC와 교환 받은 포켓몬의 서식지가 NPC가 있는 장소보다 나중에 나오거나 없을 경우, 'NPC와의 교환'을 먼저 적는다.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의 나오는 도감에는 위의 나온 포켓몬들을 비롯해 멜탄과 멜메탈까지 등장하기 때문에 총 153마리에 해당된다.
  • 엔딩 후 출현은 볼드체.
No.포켓몬타입최초 출현
00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1.png이상해씨오박사에게서 제공받음(RGB, FRLG), 블루시티(Y)
00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2.png이상해풀이상해씨 레벨 16
003파일:이상해꽃 도트.png이상해꽃이상해풀 레벨 32
00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4.png파이리오박사에게서 제공받음(RGB, FRLG), 24번도로(Y)
005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5.png리자드파이리 레벨 16
006파일:8세대 리자몽 도트.png리자몽리자드 레벨 36
00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7.png꼬부기오박사에게서 제공받음(RGB, FRLG), 오렌지배지 획득 후 갈색시티(Y)
00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08.png어니부기꼬부기 레벨 16
009파일:거북왕 도트.png거북왕어니부기 레벨 36
01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0.png캐터피2번도로(GB, FRLG), 상록숲
01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1.png단데기상록숲
012파일:버터플 도트.png버터플단데기 레벨 10
01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3.png뿔충이2번도로(RB, FRLG), 상록숲
01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4.png딱충이상록숲
015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5.png독침붕딱충이 레벨 10
01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6.png구구1번도로
01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7.png피죤14번도로(RGB), 5번도로(Y), 13번도로(FRLG)
018파일:피죤투 도트.png피죤투피죤 레벨 36
019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19MS.png꼬렛1번도로
020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20MS.png레트라16번도로, 9번도로(Y)
02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1.png깨비참3번도로, 22번도로
02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2.png깨비드릴조17번도로, 9번도로(Y)
02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3.png아보4번도로(R, FR)
02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4.png아보크23번도로(R, FR)
025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5.png피카츄상록숲(RGB, FRLG), 오박사에게서 제공받음(Y)
026파일:라이츄 도트.png라이츄블루시티동굴(RG), 무인발전소(B), 미등장(Y), 피카츄에게 천둥의돌(FRLG)
02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7.png모래두지4번도로(RB, LG), 3번도로(Y)
028파일:고지 도트.png고지4번도로(RB, LG), 블루시티동굴(Y)
02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9.png니드런♀22번도로, 2번도로(Y), 3번도로(FRLG)
03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0.png니드리나사파리존, 9번도로(Y)
031파일:니드퀸 도트.png니드퀸니드리나에게 달의돌 사용
03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2.png니드런♂22번도로, 2번도로(Y), 3번도로(FRLG)
03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3.png니드리노사파리존, 9번도로(Y)
034파일:니드킹 도트.png니드킹니드리노에게 달의돌 사용
035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5.png삐삐[E]달맞이산
036파일:픽시 도트.png픽시[E]삐삐에게 달의돌
03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7.png식스테일7번도로(G, LG), 무지개 게임코너(Y)
038파일:나인테일 도트.png나인테일식스테일에게 불꽃의돌
03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9.png푸린[F]3번도로(RGB, FRLG), 5번도로(Y)
040파일:푸크린 도트.png푸크린[F]푸린에게 달의돌
04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1.png주뱃달맞이산
042파일:골뱃 도트.png골뱃쌍둥이섬(RGBY),
04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3.png뚜벅쵸5번도로(RB, FR), 12번도로(Y), 1번도로(LP)
04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4.png냄새꼬15번도로(RBY, FR)
045파일:라플레시아 도트.png라플레시아냄새꼬에게 리프의돌
04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6.png파라스달맞이산
04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7.png파라섹트사파리존
04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8.png콘팡12번도로(RGB, FRLG), 14번도로(Y)
049파일:도나리 도트.webp도나리사파리존(RGB, FRLG), 14번도로(Y)
05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0.png디그다디그다의굴
051파일:닥트리오 도트.png닥트리오디그다의굴
052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52MS.png나옹5번도로(GB, FRLG)
053파일:페르시온 도트.png페르시온나옹 레벨 28(RGBY), 인연다리(FRLG)
05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4.png고라파덕4번도로(RGB, FR), 6번도로(Y)
055파일:골덕 도트.png골덕쌍둥이섬(RG, FRLG), 고라파덕 레벨 33(B), 6번도로(Y)
05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6.png망키5번도로(R), 3번도로(Y, FRLG), 22번도로(FRLG)
05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7.png성원숭망키 레벨 28(R), 23번도로(Y, FRLG)
05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8.png가디7번도로(RB, FR), 포켓몬맨션(Y)
059파일:윈디 도트.png윈디가디에게 불꽃의돌
06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0.png발챙이모든 물(RGBY)/연분홍시티(Y)에서 좋은낚싯대
06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1.png슈륙챙이10번도로(RGB)/22번도로(Y)/6번도로(FRLG)에서 대단한낚싯대
062파일:강챙이 도트.png강챙이슈륙챙이에게 물의돌
06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3.png캐이시24번도로(RGB, FRLG), 5번도로(Y)
06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4.png윤겔라블루시티동굴(RGB, FRLG), 8번도로(Y)
065파일:후딘 도트.png후딘윤겔라 통신교환
06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6.png알통몬돌산터널
06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7.png근육몬챔피언로드, 횃불산(FRLG), 5번도로 게이트에서 탕구리와 교환(Y)
068파일:괴력몬 도트.png괴력몬근육몬 통신교환
06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9.png모다피5번도로(G, LG), 12번도로(Y), 1번도로(LE)
07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0.png우츠동12번도로(GY, LG)
071파일:우츠보트 도트.webp우츠보트우츠동에게 리프의돌
07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2.png왕눈해19번도로(RGBY)/모든 물(FRLG)에서 파도타기
073파일:독파리 도트.png독파리왕눈해 레벨 30(RGB), 19번도로(Y, 대단한낚싯대), 일곱섬(FRLG)
07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4.png꼬마돌달맞이산
075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5.png데구리챔피언로드(RGB), 돌산터널에서 바위깨기(FRLG)
홍련섬에서 윤겔라와 교환(Y)
076파일:딱구리 도트.webp딱구리데구리 통신교환
07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7.png포니타포켓몬저택(RGB), 17번도로(Y), 뜨거운 길(FRLG)
078파일:날쌩마 도트.png날쌩마포니타 레벨 40(RGY), 블루시티동굴(B), 뜨거운 길(FRLG)
07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9.png야돈쌍둥이섬(RGBY), 무지개시티(LG)
080파일:야도란 도트.png야도란쌍둥이섬(RGBY, LG)
08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1.png코일[C]무인발전소
082파일:레어코일 도트.png레어코일[C]무인발전소
08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3.png파오리갈색시티에서 깨비참(RG, FRLG)/구구(B)와 교환, 12번도로(Y)
08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4.png두두16번도로
085파일:두트리오 도트.webp두트리오블루시티동굴(RGB), 17번도로(Y), 두두 레벨 31(FRLG)
08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6.png쥬쥬쌍둥이섬
087파일:쥬레곤 도트.webp쥬레곤쌍둥이섬
08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8.png질퍽이포켓몬저택
08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9.png질뻐기포켓몬저택(RGBY, LG)
09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0.png셀러쌍둥이섬(RGB), 갈색시티(FRLG는 태초마을, 홍련섬 포함)에서 대단한낚싯대(Y, FRLG)
091파일:파르셀 도트.png파르셀셀러에게 물의돌
09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2.png고오스포켓몬타워
09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3.png고우스트포켓몬타워
094파일:팬텀 도트.png팬텀고우스트 통신교환
095파일:롱스톤 도트.png롱스톤돌산터널
09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6.png슬리프11번도로
097파일:슬리퍼 도트.webp슬리퍼블루시티동굴(RGB), 슬리프 레벨 25(Y), 나무열매숲(FRLG)
09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8.png크랩쌍둥이섬에서 파도타기(GBY, LG), 대단한낚싯대(R), 좋은낚싯대(FR)
099파일:킹크랩 도트.png킹크랩쌍둥이섬에서 파도타기(GBY)
23번도로(R)/19~21번수로에서 대단한낚싯대(LG)
크랩 레벨 40(FR)
10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0.png찌리리공10번도로
10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1.png붐볼무인발전소
10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2.png아라리사파리존
103파일:나시 도트.png나시아라리에게 리프의돌
10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4.png탕구리포켓몬타워
105파일:텅구리 도트.png텅구리챔피언로드(RGB, FRLG), 사파리존(Y)
106파일:시라소몬 도트.png시라소몬격투도장(1마리)
107파일:홍수몬 도트.png홍수몬격투도장(1마리)
10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8.png내루미18번도로 게이트 2층에서 야도란(RG, LG)/골덕(FR)과 교환
사파리존(B), 블루시티동굴(Y)
10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9.png또가스포켓몬저택(RGB, FRLG)
110파일:또도가스 도트.png또도가스포켓몬저택(RGB, FR)
111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1.png뿔카노사파리존
112파일:코뿌리 도트.png코뿌리블루시티동굴(RGB), 홍련섬에서 골덕과 교환(Y), 뿔카노 레벨 42(FRLG)
11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3.png럭키사파리존
114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4.png덩쿠리[18]21번수로(RBG, FRLG), 사파리존(Y)
115파일:캥카 도트.png캥카사파리존(RGY, FRLG), 11번도로 게이트에서 코뿌리와 교환(B)
116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6.png쏘드라19번~21번 수로(RGB, FRLG)/갈색시티(Y, FRLG)
(대단한낚싯대, FRLG는 좋은낚싯대로도 낚임)
11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7.png시드라쌍둥이섬(R), 쏘드라 레벨 32(LG)
23번도로(RGB)/12번도로(Y)/19~21번수로(FR)에서 대단한낚싯대
11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8.png콘치모든 물(RGBY)/상록시티 등지(FRLG)에서 좋은낚싯대
119파일:왕콘치 도트.png왕콘치23번도로(RGBY)/연분홍시티 등지(FRLG)에서 대단한낚싯대
12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0.png별가사리쌍둥이섬(RGBY), 태초마을/홍련섬/갈색시티에서 대단한낚싯대(LG)
121파일:아쿠스타 도트.png아쿠스타별가사리에게 물의돌
122파일:마임맨 도트.png마임맨[B]2번도로에서 캐이시(RG, FRLG)/푸린(B)/삐삐(Y)와 교환
123파일:스라크 도트.png스라크사파리존(RBY, FR)
124파일:루주라 도트.png루주라블루시티에서 슈륙챙이와 교환(RG, FRLG), 쌍둥이섬(B)
125파일:에레브 도트.png에레브무인발전소(R, FR)
126파일:마그마 도트.png마그마포켓몬저택(G), 횃불산(LG)
127파일:쁘사이저 도트.png쁘사이저사파리존(GBY, LG)
128파일:켄타로스 도트.png켄타로스사파리존(RGY, FRLG), 18번도로 게이트에서 페르시온과 교환(B)
129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9.png잉어킹모든 물가에서 낡은낚싯대
130파일:갸라도스 도트.png갸라도스잉어킹 레벨 20(RGB), 연분홍시티(Y)/모든 물가(FRLG)에서 대단한낚싯대
131파일:라프라스 도트.png라프라스실프주식회사(1마리)
132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2.png메타몽13번도로(RGB, FRLG), 포켓몬저택(Y)
133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3.png이브이무지개맨션(1마리)
134파일:샤미드 도트.png샤미드이브이에게 물의돌
135파일:쥬피썬더 도트.png쥬피썬더이브이에게 천둥의돌
136파일:부스터 도트.png부스터이브이에게 불꽃의돌
13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7.png폴리곤무지개 게임코너
13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8.png암나이트조개화석 복원
139파일:암스타 도트.png암스타암나이트 레벨 40
140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0.png투구껍질화석 복원
141파일:투구푸스 도트.png투구푸스투구 레벨 40
142파일:프테라 도트.png프테라비밀의호박 복원
143파일:잠만보 도트.png잠만보12번도로, 16번도로(각 1마리씩)
144파일:프리져 도트.png프리져쌍둥이섬
145파일:썬더 도트.png썬더무인발전소
146파일:파이어 도트.png파이어챔피언로드(RGBY), 횃불산(FRLG)
147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7.png미뇽사파리존
148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8.png신뇽미뇽 레벨 30(RG), 무지개 게임코너(B), 사파리존에서 대단한낚싯대(Y, FRLG)
149파일:망나뇽 도트.png망나뇽신뇽 레벨 55
150파일:뮤츠 도트.png뮤츠블루시티동굴
151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1MS.png배포 포켓몬
152파일:external/www.serebii.net/808.png멜탄포켓몬 GO에서 전송
153파일:external/www.serebii.net/809.png멜메탈포켓몬 GO에서 전송

4.1. 색인번호 일람[편집]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 색인번호 참조.


4.2. 진화 계보 목록[편집]





[1] 팬덤 내부에서도 입문 세대가 다양하게 갈린 현재는 루주라, 질뻐기 등의 소수 포켓몬을 화려한 또는 우락부락한 디자인의 예시로 들며 단순히 추억보정일 뿐이라고 반박하는 의견 또한 볼 수 있지만 3세대 이후 포켓몬은 대다수가 화려해지거나 우락부락해졌다는 것엔 이견이 없다.[2] 영어권에서는 Genwunner라고 한다.[3] 심지어 2세대부터 7세대 USUM까지의 모든 독 타입 포켓몬 수와 같다.[4] 물론 팬텀 또한 1세대부터 사기 포켓몬에 속했지만, 최면술+꿈먹기 조합을 통한 사기 포켓몬이었다. 잘 아는 사람들은 척봐도 알겠지만, 꿈먹기는 에스퍼 타입 기술이라 에스퍼 타입에게 반감되고, 에스퍼 타입이 물리 방어는 약해도 특수 방어까지 약하진 않으므로 이 기술만 가지고는 에스퍼 타입을 공략할 수 없다.[5] 이후 2세대에서 롱스톤이 바위 타입을 버리고 강철/땅 타입의 강철톤, 스라크가 비행 타입을 버리고 벌레/강철 타입의 핫삼으로 진화한다.[6] 그나마 이후 시드라가 2세대에서 물/드래곤 타입의 킹드라, 9세대에서 격투/고스트 타입의 저승갓숭으로 진화한다.[7] 단일 얼음 타입은 3세대의 얼음귀신 계열과 레지아이스가 처음이고, 단일 바위 타입은 2세대의 꼬지모, 단일 비행 타입은 5세대의 토네로스가 처음이다.[8] 꼬마돌, 데구리, 딱구리, 식스테일, 나인테일, 나시, 모래두지, 고지, 라이츄, 꼬렛, 레트라, 나옹, 페르시온, 질퍽이, 질뻐기, 디그다, 닥트리오, 텅구리. 그나마 8세대 부터는 다른 세대의 포켓몬들도 리전폼을 얻게 되었다. 다만 신작에서 신규 리전폼이 나올 때마다 1세대 출신의 신규 리전폼은 꼭 들어간다.[9] 그런데 사실 리자몽에 대한 편애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리자몽 문서 참고. 당장 메가진화만 봐도 리자몽 혼자 메가진화 가능 스타팅 중에서 메가진화 폼이 2개다. 7세대에서는 알로라 포켓몬도 아니면서 스타팅 중 유일하게 포켓라이드로 출현했다.[10]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피카츄, 나옹, 버터플, 잠만보, 괴력몬, 팬텀, 킹크랩, 라프라스, 이브이[11] 미국과 서양 쪽까지 따지면 푸린도 인기 포켓몬이다. 이 녀석의 노래하기가 영미권에서 컬트적인 밈이 되었기 때문.[12] 추가 진화형, 메가진화, 전용 Z기술, 거다이맥스, 리전폼 중 하나도 가지지 못한 1세대 포켓몬들 중 대다수는 가히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의 반열에 든다고 해도 좋을 지경이다.[13] 기사에 나온 담당자의 말에 따르면 본인이 잠만보고라파덕 등의 이름을 붙였지만, 아이디어 고갈로 작업 후반엔 일본어 이름을 거의 그대로 가져다 쓰기도 했다고.[14] 참조1, 참조2 [15] 참조1, 참조2 [16] 리전폼 및 메가진화는 기존의 포켓몬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카운트에서 제외되었다.[17] 6세대 이후 일부 포켓몬의 타입 변경.[A] A B 5세대까지는 노말타입[B] A B C D 5세대까지는 페어리타입이 없었다.[C] A B C D 1세대에서는 강철타입이 없었다.[E] A B 6세대부터는 페어리타입[F] A B 6세대부터 페어리타입 추가[18] 2세대 정발 소프트에서의 이름은 덩구리였다. 그런데 사실 맞춤법에 따르면 덩쿨이 아니라 덩굴이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