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동어/음운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동어

1. 성모
2. 운모
2.1. 모음 일람
2.2. 운모
3. 성조
4. 보통화와의 음운적 차이
4.1. 종성
4.2. 장단음
4.3. 권설음, 설면음이 없음
4.4. 성모 /ŋ/와 영성모
4.5. 원순 성모
5. 외부 링크


1. 성모[편집]


성모는 초성과 같다. 광동어에는 19개의 성모가 존재한다.

양순음순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원순음
비음m [m]n [n]ng [ŋ]
파열음무기음b [p]d [t]g [k]gw [kʷ]
유기음p [pʰ]t [tʰ]k [kʰ]kw [kʷʰ]
파찰음무기음z [t͡s]
유기음c [t͡sʰ]
마찰음f [f]s [s]h [h]
접근음l [l]j [j]w [w]


2. 운모[편집]



2.1. 모음 일람[편집]


전설중설후설
비원순원순
고모음i [ɪ]i [iː]yu [yː]u [ʊ]u [uː]
중모음e [e]e [ɛː]eo [ɵ]oe [œː]o [o]o [ɔː]
저모음a [ɐ]aa [äː]


2.2. 운모[편집]


운모는 한국어의 중성(+종성)에 해당한다. 광동어에는 53개의 운모가 존재한다.

단모음이중모음비음입성음
i [i̯ ~ y̑]u [u̯]m [m]n [n]ng [ŋ]p [p̚]t [t̚]k [k̚]
aa [äː]aa [äː]aai [äːi̯]aau [äːu̯]aam [äːm]aan [äːn]aang [äːŋ]aap [äːp̚]aat [äːt̚]aak [äːk̚]
a [ɐ]ai [ɐi̯]au [ɐu̯]am [ɐm]an [ɐn]ang [ɐŋ]ap [ɐp̚]at [ɐt̚]ak [ɐk̚]
o [ɔː]
o [o]
o [ɔː]oi [ɔːi̯ ~ ɔːy̑]ou [ou̯]on [ɔːn]ong [ɔːŋ]ot [ɔːt̚]ok [ɔːk̚]
oe [œː]
eo [ɵ]
oe [œː]eoi [ɵy̑]eon [ɵn]oeng [œːŋ]eot [ɵt̚]oek [œːk̚]
e [ɛː]
e [e]
e [ɛː]ei [ei̯]eu [ɛːu̯]em [ɛːm]eng [ɛːŋ]ep [ɛːp̚]ek [ɛːk̚]
i [iː]
i [ɪ]
i [iː]iu [iːu̯]im [iːm]in [iːn]ing [ɪŋ]ip [iːp̚]it [iːt̚]ik [ɪk̚]
u [uː]
u [ʊ]
u [uː]ui [uːi̯ ~ uːy̑]un [uːn]ung [ʊŋ]ut [uːt̚]uk [ʊk̚]
yu [yː]yu [yː]yun [yːn]yut [yːt̚]
성절자음m [m̩]ng [ŋ̍]


3. 성조[편집]


  • 보통화가 음평, 양평, 상성, 거성의 4성조 체계인 데 비해, 광동어는 9개 성조가 있다. 그러나 제7~9성은 각각 1~3성의 입성이기 때문에 사실상 6성이다.
  • 낮은 성조인 제4, 5, 6성은 회화에서 제1, 2성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書局(책방)은 syu1guk6인데, 높이 올려서 syu1guk2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하지만 낭독할 때에는 원 성조를 유지한다. 또 我(ngo5)를 제3성으로 발음하기도 하는 등, 회화에서의 성조 변화가 심하다.
월병사성고저비고
1陰平5553으로 발음되는 예외 존재
2陰上35또는 25
3陰去33
4陽平2111로 발음되는 예외 존재
5陽上23
6陽去22
7陰入55제1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8中入33제3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9陽入22제6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4. 보통화와의 음운적 차이[편집]


  • 그 외의 음운적 특질도 보통화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 개음(介音)이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화에는 -i-, -u-, -y-와 같은 개음이 존재한다.


4.1. 종성[편집]


  • 보통화에는 없는 종성 -p, -t, -k(입성) 및 -m이 존재한다. 때문에 한국 한자음과 느낌이 비슷하다. 北京이라는 단어의 발음은 보통화로는 '뻬이찡'이지만 광동어로는 '빡낑'이다. 여담으로 이웃한 베트남어로는 '박낑'으로 더 비슷하다.
  • 한국 한자음과 느낌이 다르지만 어떤 글자는 한국 한자음과 종성이 다른 경우도 있다. 한국 한자음이 중고음의 입성과 가장 가깝다. 한국 한자음의 ㄹ 종성에 해당하는 한자음은 광동어의 /-t/ 종성이다.[1][2][3]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fánfaan4무릇 범
fànfaan3넘칠 범
fān[4]faan3돛 범
fànfaan4[5]범어 범
fànfaan4넘칠 범
fànfaan6범할 범
fànfaan6본뜰 범
biǎnbin2깎아내릴 폄
biānbin1돌침 폄
shànsin6넉넉할 섬
chánsim4터닦을 선
chánsim4매미 선
zhǎzaam2눈 깜빡일 잡
nièjip6허물 얼
xièsit3빛날 섭
faat3법 법
fat6모자랄 핍
sik1모두 실
sik1귀뚜라미 실

  • 보통화는 -n으로 끝나는데, 광동어와 한국 한자음은 -ng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kěnhang2즐길 긍
gèngang2걸칠 긍
mǐnming5그릇 명
pìn[6]ping3부를 빙
rènjing6[7]알 인
zhēnzing1곧을 정
zhēnzing1정탐할 정
chèn[8]cing3마주 볼 칭
xīnhing1향기 형


4.2. 장단음[편집]


한자광동어 장음한국어 훈음한자광동어 단음한국어 훈음
baai3절 배bai3닫을 폐
baai6질 패bai6폐할 폐
caai1시기할 시cai1아내 처
daai3띠 대dai3임금 제
daai6큰 대dai6아우 제
faai3쾌할 쾌fai3허파 폐
gaai1거리 가gai1닭 계
maai4묻을 매mai4미혹할 미
saai3쬘 쇄sai3세상 세
caam4누에 잠cam4잠길 침
gaam1볼 감gam1이제 금
haam4짤 함ham4머금을 함
laam4쪽 람lam4수풀 림
saam1셋 삼sam1적삼 삼
baan1나눌 반ban1손님 빈
caan1먹을 찬can1친할 친
daan6다만 단dan6이글거릴 돈
gaan2가릴 간gan2요긴할 긴
haan4틈 한han4흔적 흔
saan1뫼 산san1새 신
caang2등자 등cang4일찍 증
gaang1밭갈 경gang1고칠 경
maang4소경 맹mang4맹세 맹
zaang1다툴 쟁zang1미워할 증
baat3여덟 팔bat1아니 불
caat3비빌 찰cat1[9]일곱 칠


4.3. 권설음, 설면음이 없음[편집]


  • 권설음, 설면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자음은 설첨음으로 조음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화의 권설음, 설면음에 해당하는 광동어 성모에 혼란이 있다.
  • 다만, 설치음 성모 z, c, s는 i, yu 앞에 오면 설면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설면음이 변이음으로써 존재한다. 그래서 광주화 병음방안[10]에서는 이들 성모를 i, ü[11] 앞에서는 한어병음에서 동일한 발음이 나는 j, q, x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zhāngzoeng1베풀 장
zhěncan2진찰할 진
zhìsi6[12]우뚝 솟을 치
zhàosiu6조짐 조
zhàosiu6비롯할 조
zhēnjan1살필 견
chéncan4베풀 진
chéngsing4이룰 성
shēngsang1낳을 생
shǔcyu5관청 서
gei1터 기
jiùzau6나아갈 취
qiūcau1가을 추
hei2일어날 기
qúnkwan4무리 군
qiūjau1언덕 구
qiūjau1추장 추
jap1울 읍
heoi2허락할 허
ceoi4천천할 서
xīnsan1새로울 신
zaap3익힐 습
zik6자리 석
[13]zik6저녁 석
xiūjau1쉴 휴
xīnjan1기쁠 흔
xìnjan6피 바를 흔[14]
jyu3[15]주정할 후

  • 보통화에서는 /r/인 성모가 /j/로 발음된다. 이는 한국어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들 한자는 낮은 성조인 제4,5,6성으로만 발음된다.
한자표준중국어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ránjin4그러할 연
rǎnjim5물들일 염
ràngjoeng6사양할 양
jit6더울 열
je5이끌 야
rénjan4사람 인
rěnjan5참을 인
rènjam6맡길 임
rènjing6알 인
réngjing4인할 잉
jat6날 일
ròujuk6고기 육
róujau4부드러울 유
jyu4같을 여
ruǎnjyun5연할 연
ruìjeoi6밝을 예
rùnjeon6윤택할 윤
ruòjoek6약할 약


4.4. 성모 /ŋ/와 영성모[편집]


  • 성모 /ŋ/이 있다. 많은 경우, 제4,5,6성이다. 단, 홍콩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어두의 /ŋ/을 발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16][17].
  • 중세 한국어에서 한글을 창제할 때 존재했던 옛이응의 음가와 같다. 한어병음과 대조하자면 영성모, y-, w-, n-에 해당하며, 드물게 x-, g-과도 대응된다. 한국어에도 드물게 /k-/와도 대응된다.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ànngon6언덕 안
éngo4갑자기 아
éngo4예쁠 아
éngo4거위 아
ngo5나 아
èngo6주릴 아
éngaak6[18]이마 액
ángngong4오를 앙
ngaa4어금니 아
yánngaan4얼굴 안
yǎnngaan5눈 안
yànngaan6기러기 안
yànngaan6거짓 안
yǎongaau5깨물 교
yàongaau6좋아할 요[19]
ngai6재주 예
yínngan4은 은
yìngngaang6굳을 경
yuèngok6큰산 악
yuèngok6풍류 악
wàingoi6바깥 외
wēi[20]ngai4위험할 위
wěi[21]ngai4거짓 위
wèingai6나라 이름 위
ngaa5기와 와
ngai4어린이 예
niúngau4소 우
yáongaau4안주 효
xiáo[22]ngaau4섞일 효
gōungau1꺾을 구
gōungau1갈고리 구
  • 홍콩 젊은이들이 /ŋ/ 성모를 영성모로 하는 경향이 많지만, 도리어 영성모를 /ŋ/ 성모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로 방송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음반을 내는 가수들 사이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며, 일종의 과도교정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愛(사랑 애)는 광동어로 oi3라고 읽으며 성모가 없는 영성모인데, 일부러 /ŋ/ 성모를 붙여서 ngoi3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4.5. 원순 성모[편집]


  • 광동어에는 gw-, kw-라는 원순 성모가 있는데, 이는 보통화의 g- + -u- 구조 및 k- + -u- 구조와 발음이 완전히 같다. 예를 들어 過(지날 과, guò)를 광동어로 gwo3라고 읽는데, 보통화는 guo를 성모 g-와 운모 -uo로 인식하지만, 광동어는 gwo를 성모 gw-와 운모 -o로 인식한다는 것. 대부분 그런 관계로 대응되지만 예외도 있기는 하다.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gwo1창 과
guògwo3지날 과
guōgwok3둘레 곽
guógwok3나라 국
guānggwong1빛 광
guǎnggwong2넓을 광
kuòkwok3둘레 곽
kuángkwong4미칠 광
kuàngkwong3쇳돌 광
kuòkwok3[23]넓힐 확
  • 그런데 홍콩 사람들 중에서는 운모가 -o-로 시작할 때 gw-, kw- 성모를 g-, k- 성모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怪(괴이할 괴, gwaai3)이나 誇(자랑할 과, kwaa1)같이 다른 운모가 오면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4.6. 성절 자음[편집]


  • 광동어에는 특이하게 m과 ng이라는 음운이 있는데, 성모가 없고 운모도 종성만 있는 음운이다. 정확히는 해당 한자들의 발음을 보면 성모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 한자들의 성모와 운모는 모두 같으며 성모는 광동어의 ng과 같다. 한글로는 보통 '음'이나 '응'이라고 쓰는데 완전히 같지는 않다. '음'과 '응'에는 '으'라는 중성이 있기 때문이다. 광동어에서 부정을 나타내는 唔를 제외하고는 다 ng이라고 읽는다.
한자보통화 독음광동어 독음한국어 훈음
m4글 읽는 소리 오
ng4나라 이름 오
ng5다섯 오
ng5줄 오
ng6깨달을 오
ng6그릇될 오


5. 외부 링크[편집]





[1] 이는 베트남어에서도 그렇다.[2] 쉬운 유사 사례로 일본어 한자 독음도 들 수 있는데, 한국 한자음의 ㄹ 종성에 대응하는 일본어 한자 독음의 종성은 대개 ツ(tsu) 혹은 チ(chi)로 끝난다.[3] 다만 중세 한국어 이영보래 표기를 볼 때, 당시 한문을 낭독할 때의 이 음가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일상적으로 사용되진 않았다고 보고 있으며, 그 근거로 이영보래 표기가 보편화되지 않고 금방 사라졌다는 점을 뽑을 수 있다.[4] 대만에서는 fán으로 발음한다.[5] 아나운서들은 faan6으로 발음하기도 한다.[6] 대만에서는 pìng으로 발음한다.[7] 특이하게 -ng으로 끝나는 경우인데, 중고음 反切 표기 而證切에서 온 발음이다. 보통화와 한국 한자음은 而振切에서 온 발음이다.[8] 대만에서는 chèng으로 발음한다. '일컬을 칭'으로서의 稱은 chēng으로 발음한다.[9] 여담으로 cat6이라고 할 경우 비속어가 되니 주의할 것. 영 좋지 않은 곳과 관련이 있다.[10] 1960년 광둥성 교육부에서 만든 광동어 로마자 표기법[11] 월병의 yu에 해당하는 철자[12] zi6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13] 대만에서는 xì로 읽는다. 여담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식', '석'이라고 읽는 息(숨쉴 식), 熄(불 꺼질 식), 昔(옛날 석), 惜(아낄 석), 錫(주석 석)은 중국에서 xī, 대만에서 xí로 읽는다.[14] 획수가 무려 25획이나 되며, 挑釁(도흔, 도발하다)이라고 할 때에나 쓴다. 간체자로는 이라고 쓰며, 피(血)가 반(半)이라는 뜻이다.[15] heoi3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16] 비슷한 예로 홍콩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l-/과 /n-/의 사이에 혼란이 있고, /-n/과 /-ŋ/, /-k/와 /-t/ 사이의 혼란이 있다. 그런데 대만에서도 표준중국어를 발음할 때 /-n/과 /-ŋ/ 사이에서도 혼란이 있다.[17] 사실 어두에 /ŋ/이 오지 않는 대표적인 언어가 바로 영어다.[18] 구어에서는 위로 올려서 ngaak2으로 발음한다.[19] 智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라고 할 때에나 쓴다. 줄여서 樂山樂水라고도 한다.[20] 대만에서는 wéi라고 발음한다.[21] 대만에서는 wèi라고 발음한다.[22] 대만에서는 yáo라고 발음한다.[23] kwong3은 틀린 발음이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