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덤프버전 :

파일: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로고 400x300.png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공식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채널

1. 개요
2. 목적과 의의
3. 운영
3.1. 종목별 체육 단체
3.2. 개최지 선정
3.3. 공식 로고 및 캐릭터
4. 역사
5. 종목
5.1. 육상
5.2. 체조
5.3. 테니스
5.4. 빙상
5.5. 탁구
5.6. 수영
5.7. 유도
6. 연계사업
6.1. 교보 체육꿈나무 육성 장학사업
7. 기타
7.1. 대회를 거쳐간 국가대표 선수



1. 개요[편집]


교보생명과 기초 종목 경기 단체 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민간 유일의 유소년 종합체육대회. 약칭은 '교보생명컵', 또는 '교보컵'.


2. 목적과 의의[편집]


어릴 때부터 꾸준한 운동으로 체력을 길러야 인격과 지식도 잘 자랄 수 있다.
- 교보생명 신용호 창립자

교육을 중요하게 여긴 교보생명 신용호 창립자의 유소년 체육 지원 의지로 시작했으며 체(體), 덕(德), 지(知)를 갖춘 유소년 체육 리더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85년에 첫 대회를 개최했고 민간에서 개최하고 있는 최초이자 현존 유일한 유소년 종합체육대회다.

규모 측면에서는 대한체육회가 개최하고 있는 전국소년체육대회에 버금간다.

약 40년간 누적 참가 규모가 약 14만 명에 달하고 400여 명에 달하는 국가대표 선수가 본 대회를 거쳐갔다.


3. 운영[편집]




3.1. 종목별 체육 단체[편집]


현재 하기 7개 체육단체와 교보생명이 공동 주최하고 있다.


3.2. 개최지 선정[편집]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는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을 위해 전국 각지를 돌아가며 개최지를 선정하고 있다.


3.3. 공식 로고 및 캐릭터[편집]


파일: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로고 400x300.png
로고는 교보생명의 시그니쳐인 '곡옥' 이미지를 활용해 제작됐으며, 하단의 캐릭터는 마찬가지로 곡옥 이미지를 활용해 각 종목을 표현했다. (좌측부터 빙상, 육상, 체조, 탁구, 유도, 테니스, 수영)


4. 역사[편집]


1~10회 [ 펼치기 · 접기 ]
시기회차참가 인원주요 선수종목개최지
19851회2,2139개 종목
체조, 육상, 양궁,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탁구, 핸드볼, 테니스
19862회2,94910개 종목
체조, 육상, 양궁,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탁구, 핸드볼, 테니스,유도(new)
19873회3,32710개 종목
체조, 육상, 양궁,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탁구, 핸드볼, 테니스, 유도
19884회3,39310개 종목
체조, 육상, 양궁,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탁구, 핸드볼, 테니스, 유도
19895회3,61910개 종목
체조, 육상, 양궁,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탁구, 핸드볼, 테니스, 유도
19906회3,265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수영, 빙상(쇼트트랙)
(스키, 양궁 제외)
19917회2,951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수영 제외)
19928회2,899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19939회2,94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199410회3,049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참가 인원 소계30,605


11~20회 [ 펼치기 · 접기 ]
시기회차참가 인원주요 선수종목개최지
199511회4,043(육상) 정순옥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199612회3,584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new), 씨름(new)
199713회4,522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씨름
199814회4,484(육상) 정혜림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씨름
199915회4,074(육상) 정혜림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씨름
200016회5,032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씨름
200117회4,4239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핸드볼,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씨름
200218회4,850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수영(new)
(핸드볼, 씨름 제외)
200319회5,493(육상) 진민섭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수영
200420회5,622(육상) 진민섭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수영
[대전]
참가 인원 소계46,127


21~30회 [ 펼치기 · 접기 ]
시기회차참가 인원주요 선수종목개최지
200521회6,518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수영
[전주]
200622회5,2568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태권도, 수영
[부산,김해,마산,진해,창원]
200723회4,372(육상) 우상혁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 수영
(태권도 제외)
[홍천,양구,춘천]
200824회2,699(육상) 우상혁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new)), 수영
[청주]
200925회5,00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김천]
201026회5,00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목포]
201127회5,00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춘천]
201228회3,90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김천]
201329회3,360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김천]
201430회3,313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경기도]
수원(탁,테,유,체),
부천(육), 아산(빙), 김천(수)
참가 인원 소계44,418


31회~현재
시기회차참가 인원주요 선수종목개최지
201531회3,335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강원도]
양구(체,테), 홍천(탁), 동해(유),
정선(육), 춘천(빙), 김천(수)
201632회3,253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충청남도]
아산(육,체,탁,빙,수),
보령(유), 김천(수)
201733회3,424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전라북도]
보령(육,체,탁,수,유),
전주(빙), 순창(테)
201834회3,688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경상남도]
부산(체,빙), 창원(유), 양산(육)
김천(테,탁,수)
201935회3,498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전라남도]
무안(체), 장흥(유), 나주(육),
순창(테), 광양(탁),
수영(김), 아산(빙)
2020
2021
36회
37회
코로나19로 미개최
202238회3,495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경상북도]
김천(체,탁,유,테,수),
영천(육), 서울 목동(빙)
202339회7개 종목
체조, 육상, 유도, 탁구, 테니스,
빙상(쇼트트랙,피겨), 수영
[강원도]
정선(육), 홍천(체,탁), 영월(유), 인제(테),
경기도 의정부(빙), 경북 김천(수)
참가 인원 소계20,693

* 대회 참가 인원 총계(~2022년): 141,843


5. 종목[편집]



5.1. 육상[편집]


경기 단체: 대한육상연맹

전국 14개 시,도에서 선발된 초등 4~6학년 재학생이 출전하며(대한육상연맹 선수 등록), 1인당 2종목(계주 제외)까지 출전해 시·도 대항전 형태로 진행된다. 시·도 대항전 형태로 진행하는 만큼 기록에 따라 받게 되는 개인시상 외에도 종합 시상이 있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학년종목비고
4학년달리기(80m)
5학년달리기(100m,800m,4x100mR)
높이뛰기
멀리뛰기
6학년달리기(100m,800m,4x100mR)
높이뛰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세부 종목
학년종목비고
4학년달리기(80m)
5학년달리기(100m,800m,4x100mR)
높이뛰기
멀리뛰기
6학년달리기(100m,800m,4x100mR)
높이뛰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5.2. 체조[편집]


경기 단체: 대한체조협회

저학년(1~3학년)과 고학년(4~6)으로 나누어 저학년은 시·도 대항전으로 진행하고 고학년은 각종별(소속별) 단체/개인 대학전으로 진행하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학년구분종목비고
저학년
(1~3학년)
남자5개 종목
마루운동, 안마, 도마, 평행봉, 철봉
여자4개 종목
마루운동,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고학년
(4~6학년)
남자6개 종목
마루운동,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여자4개 종목
마루운동,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세부 종목
학년구분종목비고
저학년
(1~3학년)
남자5개 종목
마루운동, 안마, 도마, 평행봉, 철봉
여자4개 종목
마루운동,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고학년
(4~6학년)
남자6개 종목
마루운동,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여자4개 종목
마루운동,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5.3. 테니스[편집]


경기 단체: 한국초등테니스연맹

단체전은 시·도 대항전으로 남녀 각 6명, 개인전은 10세 이하부와 12세 이하부로 나뉘어 진행한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구분방식비고
단체전6게임 1세트6:6 타이브레이크
개인전예선6게임 1세트6:6 타이브레이크
본선(64드로)4게임 3세트세트올 매치 타이브레이크 10포인트
준결승,결승6게임 3세트세트올 매치 타이브레이크 10포인트


세부 종목
구분방식비고
단체전6게임 1세트6:6 타이브레이크
개인전예선6게임 1세트6:6 타이브레이크
본선(64드로)4게임 3세트세트올 매치 타이브레이크 10포인트
준결승,결승6게임 3세트세트올 매치 타이브레이크 10포인트


5.4. 빙상[편집]


경기 단체: 대한빙상경기연맹


세부 종목(2023년) [펼치기·접기]
구분방식비고
피겨
(프리스케이팅)
유치부30초 내외
동호인,
전문등록선수(초급)
1분 30초 내외
전문등록선수(1~8급)대한빙상경기연맹 규정
쇼트트랙유치부222m
동호인등록선수222m, 333m, 444m,
500m(챔피온전)
학년별
전문등록선수500m, 1000m, 1500m, 2000m1-2학년 / 3-4학년 / 5-6학년
500m S.F, 2000m 계주우수선수선발전


세부 종목
구분방식비고
피겨
(프리스케이팅)
유치부30초 내외
동호인,
전문등록선수(초급)
1분 30초 내외
전문등록선수(1~8급)대한빙상경기연맹 규정
쇼트트랙유치부222m
동호인등록선수222m, 333m, 444m,
500m(챔피온전)
학년별
전문등록선수500m, 1000m, 1500m, 2000m1-2학년 / 3-4학년 / 5-6학년
500m S.F, 2000m 계주우수선수선발전


5.5. 탁구[편집]


경기 단체: 한국초등학교탁구연맹

단체전과 개인 단식으로 진행하며 단체전과 4~6학년부의 경우 대한탁구협회 '경기인 등록규정'에 따라 '전문체육목적'으로 등록한 선수만 참가 가능하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구분방식비고
단체전5단식 2복식전문선수등록자만 출전 가능
단일 1팀, 팀당 5명 이상
개인 단식예선1~2학년부비등록부 포함
회장기 대회 참고 추첨
3학년부
4~6학년부등록 선수만 출전 가능
학년별 랭킹순으로 분리 후 조별 리그
본선각 학년부각 조 1, 2위 시드 순번에 따라 추첨


세부 종목
구분방식비고
단체전5단식 2복식전문선수등록자만 출전 가능
단일 1팀, 팀당 5명 이상
개인 단식예선1~2학년부비등록부 포함
회장기 대회 참고 추첨
3학년부
4~6학년부등록 선수만 출전 가능
학년별 랭킹순으로 분리 후 조별 리그
본선각 학년부각 조 1, 2위 시드 순번에 따라 추첨


5.6. 수영[편집]


경기 단체: 대한수영연맹

유년부(초1~4), 초등부(초5~6), 중학부로 나뉘어 소속 대항전으로 진행하며 1인 2종목(계영, 혼계영 제외) 참여 가능하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구분자유영배영평영접영개인혼영혼계영계영비고
남,여유년부50, 10050, 10050, 10050, 100200--
초등부50, 100, 20050, 10050, 10050, 100200200200
중학부50, 100, 20050, 10050, 10050, 100200200200


세부 종목
구분자유영배영평영접영개인혼영혼계영계영비고
남,여유년부50, 10050, 10050, 10050, 100200--
초등부50, 100, 20050, 10050, 10050, 100200200200
중학부50, 100, 20050, 10050, 10050, 100200200200


5.7. 유도[편집]


경기 단체: 대한유도회

13세 이하 출전 가능하며 남녀 성별로 구분해 운영된다. 경기는 단체전과 개인전으로 나뉘며 단체전의 경우 체급별 1명씩 출전 가능하다.

과거 세부 종목 [펼치기·접기]
2023년
구분종목비고
단체전남자7체급: -36, -42, -48, -54, -60, -66, +66 kg
여자5체급: -40, -44, -48, -52, +52 kg
개인전남자7체급: -36, -42, -48, -54, -60, -66, +66 kg
여자6체급: -36, -40, -44, -48, -52, +52 kg


세부 종목
구분종목비고
단체전남자7체급: -36, -42, -48, -54, -60, -66, +66 kg
여자5체급: -40, -44, -48, -52, +52 kg
개인전남자7체급: -36, -42, -48, -54, -60, -66, +66 kg
여자6체급: -36, -40, -44, -48, -52, +52 kg


6. 연계사업[편집]



6.1. 교보 체육꿈나무 육성 장학사업[편집]


교보생명은 2019년부터 교보교육재단과 함께 교보 체육꿈나무 장학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에 출전한 초등학교 6학년 이내의 유소년 체육 선수 중 종목별 1~2명의 장학생을 선발해서 운영하며, 중·고교 6년간 장학금과 심리상담, 재활치료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미래의 스포츠 리더로 성장해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기 장학생(2019) [펼치기·접기]
종목이름(소속)
육상박시훈(구미인덕초)
한수아(홍성한울초)
체조안지민(인천서림초)
안준기(포항제철초)
탁구박가현(서대전초)
정대영(온양권곡초)
유도이현지(신제주초)
신유미(제주보목초)
빙상이재근(인천선학초)
김원빈(서울강월초)
테니스류창민(안동용상초)
양우정(동춘천초)
수영박가현(서대전초) -> 명예졸업
정대영(온양권곡초)

2기 장학생(2022) [펼치기·접기]
종목이름(소속)
육상박상현(충주남한강초)
권가은(인천논곡초)
체조진성규(포항제철초)
홍현준(여고초)
탁구김대환(능내초)
이현호(포항장원초)
유도안혜원(서울송중초)
백서영(서울송중초)
빙상이비호(서울목동초)
진주은(탕정초)
테니스김시아(서울홍연초)
정율호(전주금암초)
수영김승원(교동초)
김우진(온양동신초)


7. 기타[편집]



7.1. 대회를 거쳐간 국가대표 선수[편집]


우상혁: 육상 - 높이뛰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1:55:00에 나무위키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