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귀촉도

덤프버전 :

파일:gwichokdo.jpg
작가서정주
출판사선문사
출간일1948년 4월 1일
수록 편수24편

1. 개요[편집]


미당 서정주의 두 번째 시집. 1948년 선문사에서 출간되었다. 일제 말기인 1940년대 초반에서 해방 직후까지 씌어진 시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화사집의 강렬한 어두운 에너지의 세계와는 상당히 다른 순화되고 안정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시집 말미에는 작가 김동리의 발문이 실려 있다.

2. 수록 작품[편집]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밀어
1밀어백민 1947년 3월호
2거북이에게춘추 1942년 6월호
3무제-
4민심 1945년 11월호
5견우의 노래신문학 1946년 6월호
6혁명-
7석굴암 관세음의 노래민주일보 1946.12.1.
8골목예술 1946년 1월호
귀촉도
9귀촉도춘추 1943년 10월호
10문 열어라 정도령아조선주보 1946.1.8.
11목화-
12누님의 집민주일보 1946.7.21.
13푸르른 날생활문화 1946년 2월호
14고향에 살자-
15서귀로 간다민심 1946년 3월호
16노을예술부락 1946년 1월호
멈둘레꽃
17소곡-
18행진곡신세기 1940년 11월호
19멈둘레꽃삼천리 1941년 4월호
20만주에서인문평론 1941년 2월호
21밤이 깊으면인문평론 1940년 5월호
22조금춘추 1941년 7월호
23역려-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24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신시대 1942년 7월호[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7:55:34에 나무위키 귀촉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제는 '향토산화-네 명의 소녀 있는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