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예르모 로드리게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초대2제3대
후안 호세 플로레스비센테 로카푸에르테후안 호세 플로레스비센테 라몬 로카
제4대제5대제6대제7대
디에고 노보아호세 마리아 우르비나프란시스코 로블레스가브리엘 가르시아 모레노
제8대제9대제7대2제10대
헤로니모 카리온하비에르 에스피노사가브리엘 가르시아 모레노안토니오 보레로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
이그나시오 데 베인테미야호세 플라시도 카마뇨안토니오 플로레스 히혼루이스 코르데로 크레스포
제15대제16대제17대제15대2
엘로이 알포로레오니다스 플라사리사르도 가르시아엘로이 알포로
제18대제16대2제19대제20대
에밀리오 에스트라다레오니다스 플라사알프레도 바케리소호세 루이스 타마요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곤살로 코르도바이시드로 아요라후안 데 디오스 마르티네스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제25대제26대제24대2제27대
아우렐리오 모스케라카를로스 알베르토 아로요 델 리오호세 마리아 벨라스코마리아노 수아레스 베인티미야
제28대제29대제24대3제30대
카를로스 훌리오 아로세메나 톨라갈로 플라사호세 마리아 벨라스코카밀로 폰세 엔리케스
제24대4제31대제32대제24대5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카를로스 훌리오 아로세메나 몬로이오토 아로세메나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하이메 롤도스오스발도 우르타도레온 페브레스 코르데로로드리고 보르하 세바요스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식스토 두란 바옌압달라 부카람로살리아 아르테아가파비안 알라르콘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자밀 마후아드구스타보 노보아루시오 구티에레스알프레도 팔라시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라파엘 코레아레닌 모레노기예르모 라소다니엘 노보아
※ 에콰도르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에콰도르 대통령 권한대행
기예르모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라라
Guillermo Antonio Rodríguez Lala
파일:Gral-Guillermo-Rodriguez-Lara.jpg
출생1924년 11월 4일 (99세)
에콰도르 코토팍시 주 푸힐리
국적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배우자아이다 주디스 레온(1928년생 / 1953년 결혼)[1]
자녀5명
재임기간에콰도르 대통령 권한대행
1972년 2월 15일 ~ 1976년 1월 11일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에콰도르의 군인, 전 대통령.


2. 생애[편집]


공병 출신으로, 파나마에 있는 미국의 군사학교에서 공부한 뒤, 교수를 지냈었다. 이후 1966년 에콰도르의 육군사관학교에서 근무했다.

쿠데타 이전까지는 무명의 군인이었다. 그러나 1972년 해군 사령관 호르헤 케이롤로 고메스와 함께 휴일날 기습적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이바라 대통령을 몰아내고 정권을 잡았다.

정치적으로 온건 좌파임을 표방하여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탄압을 받은 칠레의 좌파들이 에콰도르로 망명오기도 했다.

쿠데타로 집권한 독재 정권임에도 정적에 대한 잔혹한 탄압은 임기 초반을 넘긴 후에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재임기간 석유를 개발해 그 자금으로 학교와 병원을 세우고, 키토와 툴칸을 잇는 고속도로를 건설했다. 에스메랄다스에 정유 공장도 건립했다.

하지만 부의 분배가 제대로 되지 않아 민심을 잃어갔고, 결국 1975년 로드리게스에 반대하는 야당과 육군 파벌에서 쿠데타를 시도해 수도에서 큰 충돌이 벌어져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쿠데타는 진압됐고, 주동자 라울 곤살레스 알베아르 장군은 칠레로 망명했다.

하지만 4개월 후인 1976년 1월, 군부의 압력에 의해 권좌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퇴진 후 정계를 완전히 떠났고, 고향 인근에서 농사를 지으며 여생을 보내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