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덕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덕현(동명이인) 문서
김덕현(동명이인)번 문단을
김덕현(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덕현
金德現 | Kim Deokhyeon
파일:김덕현_2016.jpg
출생1985년 12월 8일 (38세)
전라남도 보성군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학력벌교중앙초등학교 (졸업)
삼광중학교 (졸업)
광주체육고등학교 (졸업)
조선대학교 (체육학과 / 학사)
종목육상
주종목멀리뛰기, 세단뛰기
소속광주광역시청
신체180cm, 68kg
종교개신교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평가
4.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남자 육상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05년[편집]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 세단뛰기에서 16.78m을 뛰며 박민수가 가지고 있던 종전 한국신기록을 11년 만에 경신하면서 일약 육상계의 스타로 떠올랐다.

2.2. 2007년[편집]


세계선수권 세단뛰기 예선에서 16.78m의 기록으로 결선에 진출해 이진택과 이명선에 이어 3번째로 세계선수권 결선에 진출하는 선수가 되었으며, 결선에서 최종 9위를 기록하였다.

2.3. 2009년[편집]


17.10m로 한국신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2009 베오그라드 하계 유니버시아드 멀리뛰기에서 우승하며 한국신기록을 21년 만에 경신했다. 다만 8.41m와 8.20m의 기록을 한 번씩 찍었으나 앞의 기록은 바람이 강해 신기록으로 공인되지는 않았고 8.20m의 기록이 멀리뛰기 한국신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2.4. 2010년[편집]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멀리뛰기에서 8.11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세단뛰기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5. 2011년[편집]


이렇듯 국제무대에서 좋은 활약을 이어 가면서 자국에서 열리는 2011 세계선수권에서 좋은 성적이 기대되었고 멀리뛰기 결선 진출까지는 성공하였으나, 세단뛰기 예선에 참가하다가 발목 인대 파열 부상을 입어 두 종목을 모두 기권하였다.[1]

2.6. 2014년[편집]


서술한 부상 이후로는 전성기의 폼을 회복하지는 못했다. 자국에서 개최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따지는 못했지만 멀리뛰기와 세단뛰기 두 종목 모두 포디움에 오르며 그나마 위안을 삼았다.

2.7. 2020년[편집]


10월 28일은퇴하였다.

3. 평가[편집]


한국 육상 역사에서 마라톤 이외 종목에서 세계 수준에 근접했던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이었다. 2000년대 이전에는 남자 멀리뛰기의 김종일, 여자 높이뛰기의 김희선, 남자 높이뛰기의 이진택, 여자 포환던지기의 이명선 정도가 세계 10위권의 레벨에서 경쟁했던 선수였지만[2], 2000년 이후로 보면 경보의 김현섭과 김덕현, 이 단 두 명의 선수라고 할 수 있다. 멀리뛰기와 세단뛰기 두 종목 모두 現 한국 신기록 보유자다. 그리고 2020년대 들어서는 남자 높이뛰기의 우상혁이 한국 육상의 신성으로 떠올랐다.

4. 수상 기록[편집]


아시안 게임
금메달2010 광저우멀리뛰기
은메달2014 인천멀리뛰기
동메달2014 인천세단뛰기
동메달2006 도하세단뛰기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5 우한세단뛰기
은메달2007 암만세단뛰기
동메달2005 인천세단뛰기
유니버시아드
금메달2007 방콕세단뛰기
금메달2009 베오그라드멀리뛰기
동아시안 게임
금메달2005 마카오세단뛰기
[1] 김덕현처럼 멀리뛰기와 세단뛰기를 병행하는 선수가 드물긴 해도 없는 것은 아닌데, 하필 같은 날 오전에 세단뛰기 예선, 저녁에 멀리뛰기 결선을 잡아 놓은 조직위의 일정 배치가 아쉬운 부분이다.[2] 해방 이전까지 거슬러올라가면 남자 세단뛰기에서 잠시나마 당대 세계 최고의 선수로 명성을 날렸던 김원권의 사례도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