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수용(영화감독)

덤프버전 :

김수용 감독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은관.jpg
연도1999년
이름김수용
분야영화감독
은관문화훈장(2등급)

{{{#fff 역대}}} 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감독상
제2회
(1964년)
제3회
(1965년)
제4회
(1966년)
유현목
잉여인간
김수용
(저 하늘에도 슬픔이)
이만희
(시장)
제4회
(1966년)
제5회
(1967년)
제6회
(1969년)
이만희
(시장)
김수용
(사격장의 아이들)
유현목
(카인의 후예)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감독상
제5회
(1966년)
제6회
(1967년)
제7회
(1968년)
유현목
(순교자)
김수용
(안개)
신상옥
(대원군)
제12회
(1973년)
제13회
(1974년)
제14회
(1975년)
최훈
(수선화)
김수용
(토지)
이만희
(삼포 가는 길)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영화부문 감독상
제1회
(1965년)
제2회
(1966년)
제3회
(1967년)
신상옥
(벙어리 삼룡)
김수용
(갯마을)
이만희
(만추)
제14회
(1978년)
제15회
(1979년)
제16회
(1980년)
김호선
(겨울여자)
김수용
(사랑의 조건)
이원세
(돛대도 아니 달고)


김수용
金洙容|Kim Soo Yong
파일:김수용(영화감독).jpg
출생1929년 9월 23일 (94세)
경기도 안성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서울사범학교 (1950년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10기)
종교불교
데뷔1958년 영화 '공처가'

1. 개요
2. 생애
3. 필모그래피
4. 수상



1. 개요[편집]


대한민국영화감독, 전직 대학교수.


2. 생애[편집]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고 경기도 이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경기도 평택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안성공립농업학교를 거쳐 서울교육대학교의 전신인 서울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청소년 시절 문학에 관심을 가져 습작 소설을 쓰기도 했고, 자작 희곡을 무대에 올려 연출과 주연을 겸하는 등 연극에도 자질을 보였다.

1946년경부터 서울사범학교 연극부 부장 연출가로 활동하다가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에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육군 갑종장교 임관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이 되면서 처음 영화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정훈국에서는 작가 선우 휘의 지휘 아래 군인 교육용 영화를 약 30여 편 만들었다.

당시 문관으로 근무하던 영화감독 양주남의 주선으로 그의 조감독이 되면서 《배뱅이굿》(1957) 촬영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영화 작업에 뛰어들게 되었고, 이듬해 코미디 영화인 《공처가》로 영화감독이 되었다. 초기에는 《공처가》와 같은 계열의 희극 영화를 촬영했으나, 1963년 김승호황정순 주연의 《굴비》라는 영화 작품을 전환점으로 삼아 좀 더 진지한 영화로 전환했다.

대표작으로는 《굴비》 이후 관심을 갖게 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와 《갯마을》(1965)을 비롯하여 1970년대의 《야행》(1977), 《화려한 외출》(1978), 1980년대 작품으로는 《도시로 간 처녀》(1981), 《만추》(1982) 등이 있다. 기행 승려인 중광을 다룬 《허튼소리》(1986)는 불교계의 반발로 사회적인 논란 거리가 되기도 했다. 총 연출 작품 수가 100편이 넘는 다작 연출가이지만 대중성과 흥행성이 조화를 이루며 질적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을 받고 있다.

1991년까지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를 역임하기도 하였고 1992년까지 서울예술전문대학 영화학과 특임강사 겸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특임교수를 지내기도 한 그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영화감독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에 오르기도 했다.


3. 필모그래피[편집]


연도제목역할비고
1958년공처가연출데뷔작
1959년애상
구혼결사대
삼인의 신부
청춘배달
1960년버림받은 천사
돌아온 사나이
연애전선
1961년부부독본
구봉서의 벼락부자
일편단심
내 아내가 최고야
1962년사춘기여 안녕
서유기 (일명: 손오공)
부라보 청춘
1963년청춘교실
약혼녀
굴비
후라이보이 무전여행기
돈바람 님바람
혈맥
1964년위험한 육체
니가 잘나 일색이냐
월급봉투
학생부부
여자 19세
적자인생
아편전쟁
1965년갯마을
상속자
제3의 운명
막내딸
저 하늘에도 슬픔이
날개부인
큰댁
1966년유정
망향
연애탐정
학사기생
잘 있거라 일본땅
1967년어느 여배우의 고백
산불
고발
길잃은 철새
만선
까치소리
애인
사격장의 아이들
빙점
안개
1968년순애보
분녀
일본인
춘향
피해자
시발점
동경특파원
수전지대
맨발의 영광
1969년아무리 미워도
주차장
봄·봄
추격자
설원의 정
석녀
무영탑
1970년저것이 서울의 하늘이다
생활의 현대화
남자는 괴로워
청춘무정
신부일기
1971년옥합을 깨뜨릴 때
미스리
위자료
1972년작은 꿈이 꽃필 때 (일명: 불타라 청춘)
우중화
와와부인
1973년일요일의 손님들
딸부자집
1974년토지
본능
1975년황토
내일은 진실
극락조
1976년가위 바위 보
아라비아의 열풍
발가락이 닮았다
내마음의 풍차
내사랑 에레나
1977년산불
여기자 20년
야행
1978년여수
화려한 외출
웃음소리
망명의 늪
화조
1979년따뜻한 겨울
달려라 만석아
빨주노초파남보
사랑의 조건
1980년물보라
하얀미소
거울
1981년도시로 간 처녀
1982년만추
삐에로와 국화
저녁에 우는 새
1984년저 하늘에도 슬픔이
1986년허튼소리
1995년사랑의 묵시록
1999년침향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17제22회 춘사영화제공로상
2009제2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공로영화인
2008제16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춘사 대상
2000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특별공로예술인
1999은관문화훈장
1997일본 가톨릭중앙협회 일본가톨릭영화상
1997일본영화비평가상대상
1996한국문인협회 선정 영화부문 가장 문학적인 상
1993우암학술상
1990제35회 대한민국 예술원상연극부문
1982제20회 영화의 날 유공영화인 표창
1980제16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대상, 작품상달려라 만석아
1979제18회 대종상특별상-우수아동영화달려라 만석아
1979제15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감독상사랑의 조건
1978제14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대상, 작품상화려한 외출
1974제13회 대종상감독상토지
1971제8회 청룡영화상최우수작품상옥합을 깨뜨릴 때
1968제11회 부일영화상감독상안개
1968제4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최우수작품상사격장의 아이들
1967제5회 청룡영화상감독상사격장의 아이들
1967제6회 대종상감독상안개
1967제14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감독상안개
1966제9회 부일영화상감독상갯마을
1966서울시문화상영화부문
1966제2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감독상갯마을
1965제3회 청룡영화상최우수작품상, 감독상저 하늘에도 슬픔이
1958국방부장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