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채원(작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 문서에 대한 내용은 김채원 문서
김채원번 문단을
김채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3회 이상문학상 수상
임철우, 한승원
붉은 방
해변의 길손
(1988)
김채원
겨울의 환
(1989)
김원일
마음의 감옥
(1990)
제61회 현대문학상 수상
편혜영
소년이로
(2015)
김채원
베를린 필
(2016)
김금희
체스의 모든 것
(2017)

파일:attachment/김채원/Example.jpg
젊은 시절
파일:external/image.yes24.com/cfb49169f9f7ebf1e149d152e1693629.jpg
어머니, 언니와 함께
이름김채원(金采原)
출생1946년 12월 13일(77세)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덕소리
(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가족아버지 김동환, 어머니 최정희, 언니 김지원
배우자 백동규, 아들 백수장
학력이화여자대학교 (회화과 / 학사)
데뷔1975년 단편 '밤인사'

1. 개요
2. 약력
3. 작품집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소설가. 본명은 김항란이다.

시인 김동환(1901.9.21~?[1])과 소설가 최정희(1906.12.3~ 1990.12.21)[2]의 차녀로, 부모 양쪽 모두 친일파였다는 골치아픈 가계에 속해 있다.[3]

언니는 소설가 김지원(1942.11.10~2013.1.30)이고, 아들은 배우 백수장이다.

실존의 크고 작은 고뇌를 섬세한 시선으로 그려냄으로써 문학적 아름다움을 성취하는 서정적 아이러니를 지나침 없이 담담한 태도로 보여준다.


2. 약력[편집]


  • 1946년 12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덕소리(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태생.
  • 1968년 이화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 1975년 『현대문학』에 단편 밤인사가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 1984년 창작집 초록빛 모자를 발간하였다.
  • 1989년 중편소설 겨울의 환으로 제13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 2015년 소설 『베를린 필』로 제61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하였다 .


3. 작품집[편집]


  • 창작집
『초록빛 모자』(1984)
『봄의 환(幻)』(1990)
『달의 몰락』(1995)
『가을의 환(幻)』(2003)
『지붕밑의 바이올린』(2004)
『쪽배의 노래』(2015)

  • 장편
『형자와 그 옆사람』(1993)
『달의 강』(1997)
『미친 사랑의 노래(여름의 환(幻))』(1998)

  • 수상집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겨울의 환(幻)』(1989)
『현대문학상 수상작품집, 베를린 필』(2015)

  • 꽁트집
『장미빛 인생』(1992)

  • 수필집
『꿈꿀 시간 있으세요?』(1993)

  • 동화집
『장이와 가위손』(1996)

  • 김지원 김채원 자매소설집
『먼 집 먼 바다』(1977)
『집, 그 여자는 거기에 없다』(1996)


[1] 6.25 전쟁납북되었다.[2] 김동환의 둘째 부인이다.[3] 다만 해방 후 김동환이 반민특위에 자수했고,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김동환의 아들 중 1명이 아버지의 친일 행적을 숨기지 않는지라 상대적으로 최정희에 비해 덜 까이는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0:17:30에 나무위키 김채원(작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