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해 버스 1, 1-1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1번
기점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삼계차고지)종점경상남도 김해시 지내동(경남은행)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5:20
막차22:20막차23:15
평일배차17~22분주말배차20~24분
운수사명가야IBS인가대수10대[1]
노선삼계차고지 - 공원묘지입구 - 삼계서희스타힐스[단독] - 가야대학교 - 매정공원 - 구산신주공아파트 - 광남백조아파트 - 부원역 - 김해시청역 - 복음병원 - 활천동 - 삼성초등학교 - 어방2주공아파트 - 인제대학교 - 영운초등학교 - 삼방시장 - 신어중학교 - 한일여고 → 경남은행 → 지내동입구(지내역) → 동원아파트사거리 → 활천초등학교 → 한일여고 →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해 1번, 1-1번 버스 노선도 V2.png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1-1번
기점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삼계차고지)종점경상남도 김해시 지내동(김해대학역)
종점행첫차05:08기점행첫차05:30
막차22:30막차23:20
평일배차17~22분주말배차20~24분
운수사명가야IBS인가대수10대[2]
노선삼계차고지 - 공원묘지입구 - 감분마을 - 가야대역 - 구산신주공아파트 - 광남백조아파트 - 부원역 - 김해시청역 - 복음병원 - 활천동 - 삼성초등학교 - 어방2주공아파트 - 인제대학교 - 영운초등학교 - 삼방시장 - 신어중학교 - 한일여고안동공단 → 김해대학역 → 경남은행 → 지내동입구(지내역) → 동원아파트사거리 → 한일여고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가야IBS에서 운행하는 김해시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9.1km(1번), 31.0km(1-1번)이다. 1번 1-1번


3. 역사[편집]


  • 외동터미널이 들어서기 전까지 모든 김해 시내버스 노선들은 어방동이 기점이었다.[3] 그러나 당시에도 1번은 전통적으로 삼계 출발을 유지하던 특이한 노선이었다.

  • 1991년 8월 당시 노선은 '삼계 - 가락로 - 안동 - 삼방동'이었고 첫차는 6시, 막차는 23시 30분에 운행했다.

  • 1992년 7월 15일에 노선이 '삼계 - 구산동 - 김해백화점 -시외버스주차장 - 김해시청 - 복음병원 - 어방1주공 - 어방2주공 - 삼방1통'으로 변경되었고 차량도 8대로 증차되었다.

  • 1994년 1월 10일에 노선이 '어방동 - 삼방동 - 인제대학교 - 어방동 - 복음병원 - 김해시청 - 금강병원 - 구산백조아파트 - 공병학교 - 삼계 - 공원묘지입구'로 바뀌었다. 이 때는 8대가 1일 60회 운행했다.

  • 1994년 11월 20일에 2번(어방동 - 신천, 6대, 1일 60회)을 흡수해 14대가 하루 90회 운행하게 되었다. 2번은 이후 결번이었다가 이듬해인 1995년 11월 20일에 현 2번이 신설되면서 번호를 가져갔다.

  • 1998년 6월 27일 당시 노선은 '어방동 - 지내동 - 삼방동 - 인제대 - 복음병원 - 가락로 - 공병학교 - 삼계정수장'이었으며 19대가 하루 171회 운행했다.

  • 2000년 4월 29일에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된 21대로 바뀌면서 운행횟수도 1일 189회로 늘어났다.

  • 2000년 6월 1일에 외동터미널 출발로 변경되어 '외동터미널 - 김해시청 - 지내동 - 삼방동 - 인제대 - 복음병원 - 가락로 - 구.공병학교 - 삼계정수장'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 2001년 12월에 노선이 '삼계정수장 - 삼계사거리 - 북부동주민센터 - 금강병원 - 김해시청 - 복음병원 - 삼성초교 - 인제대 - 화인아파트 - 신어중 - 한일여고 - 활천초교 - 지내동'으로 변경되었고 23대가 하루 225회(5분 간격) 운행하게 되었다.

  • 2003년 1월 10일에 가야대학교 김해캠퍼스가 개교하면서 26대로 증차되었고 그 중 절반을 가야대학교를 경유하는 1번으로, 나머지 절반을 북부동주민센터를 경유하는 1-1번으로 분리했다.

  • 2007년 9월에 1-1번이 7번을 대신해 안동공단를 경유한다.

  • 2020년 2월 26일에 1번이 삼계서희스타힐즈 주민들을 위해 (구)신명마을입구[4] 정류장을 삼계서희스타힐스 정류장으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4. 특징[편집]


  • 1번과 1-1번은 쌍둥이 노선으로서 서로 번갈아 배차되고 있다. 그리고 1번은 종점이 경남은행이고 1-1번은 종점이 안동공단입구다.


  • 경남은행 정류장의 경우 회차상의 이유로 단독 정류장에 정차한다.

  • 1번은 삼계서희스타힐스 주민들에게 최고의 노선이다.


4.1. 노선[편집]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김해대로
지내동입구 ▼
분성로삼안로
한일여고 ▼
삼안로
삼방동장애인복지관 ▼▲ 영운초등학교
인제로
어방2주공아파트 ▼▲ 어방마을
분성로501번길
삼성초등학교 ▼▲ 송림공원
활천로36번길
복음병원 ▼▲ 활천동
활천로
복음병원입구 ▼▲ 복음병원입구
김해대로
금강병원 ▼▲ 부원역
가락로
매정공원 ▼▲ 구지마을
삼계로
삼계축협 ▼▲ 매정공원
가야로
▲ 두곡마을
해반천로
공원묘지입구 ▼
생림대로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1-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김해대로
지내동입구 ▼▲ 김해대학역
분성로김해대로2635번길
▲ 안동사거리
분성로
한일여고 ▼
삼안로
삼방동장애인복지관 ▼▲ 영운초등학교
인제로
어방2주공아파트 ▼▲ 어방마을
분성로501번길
삼성초등학교 ▼▲ 송림공원
활천로36번길
복음병원 ▼▲ 활천동
활천로
복음병원입구 ▼▲ 복음병원입구
김해대로
금강병원 ▼▲ 부원역
가락로
삼계푸르지오2차 ▼▲ 구지마을
삼계로
장신대역 ▼▲ 삼계푸르지오2차
해반천로
삼계푸르지오1차 ▼▲ 가야대역
가야로
감분마을 ▼▲ 삼계푸르지오1차
생림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지내역[5], 김해대학역, 김해시청역, 부원역, 장신대역, 가야대역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좌석9798
일반상동공영1상동공영2
11-12-1[a]7[b]
88-1100912
[a] 대유유토피아 방면 운행 시 경유. / [b] 삼방동 방면 운행 시 경유.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청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일반상동공영1[a]상동공영2[b]대동공영
11-12-1
4782911
부산시1004123127
[a] 부원역 방향 운행 시에만 경유. / [b] 성모병원 방향 운행 시에만 경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02:21:39에 나무위키 김해 버스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감차로 인해 평일 9대, 주말 8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감차로 인해 평일 9대, 주말 8대 운행[3] 당시 삼부여객(현 가야IBS)의 본사가 어방동에 있었다.[4] 옛날에 60번, 61번이 경유했었지만 삼계서희스타힐스 공사 때문에 경로를 변경해서 이전까지는 아무도 다니지 않았다.[5] 지내역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고, 주변에 있는 지내동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