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녹색 - 녹색 대안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의석수 표기는 연방의회(상원), 국민의회(하원) 순.
연립 여당
파일:ovp.png
오스트리아 인민당
25석 · 71석
파일:오스트리아 녹색당 로고.png
녹색 - 녹색 대안
5석 · 26석
야당
파일:1200px-Logo_SPÖ.svg.png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19석 · 40석
파일:오스트리아 자유당 로고.png
오스트리아 자유당
11석 · 30석
파일:네오스 정당 로고.png
신오스트리아 자유포럼
1석 · 15석
무소속
0석 · 1석
재적
61석 · 183석




파일:오스트리아 녹색당 로고.png
Die Grünen – Die Grüne Alternative
약칭GRÜNE
한글명칭녹색 - 녹색 대안
상징색
초록색
대변인(대표)베르너 코글러(Werner Kogler)
창당일1993년
이념녹색 정치
진보주의
에코 페미니즘
직접민주주의
친유럽주의
정치적 스펙트럼중도좌파 ~ 좌익
당사3Lindengasse 40
A-1071
국제 조직

청년 조직녹색 청년-녹색 대안 청년
당원 수7,000명(2017년 기준)
유럽 정당유럽 녹색당
유럽의회 정당녹색당-유럽자유동맹
상원 의석
5석 / 61석
하원 의석
26석 / 183석
연방주의회
47석 / 440석
유럽의회
3석 / 19석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오스트리아의 녹색 정당이다. 현재 인민당과 연정 정당 중 하나이다. 오스트리아의 현재 대통령인 알렉산더 판데어벨렌도 녹색당 출신이다.


2. 상세[편집]


1983년에 있었던 하인부르크 수력발전소 반대시위를 바탕으로 녹색대안(Grüne Alternative)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였다. 1986년 총선에서 첫 원내 입성하면서 활동하다가 같은 녹색 정당 녹색 오스트리아 연합(Vereinte Grüne Österreichs)과 1994년 총선을 앞두고 합당하게된다.

그 뒤로 꾸준히 성장하여 20석을 넘게 되지만, 2017년 총선 앞두고 페터 필츠(Peter Pilz)가 지도부와 난민 대응에 대한 실망으로 탈당하고 예츠트 - 페터 필츠 명단(JETZT - Peter Pilz)라는 정당을 창당하는 바람에, 녹색당 지지층이 이쪽에 쏠려 원외로 가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이후 녹색당 본연의 색깔이 강해지고 페터 필츠(Peter Pilz)의 성추행 의혹이 겹치는 바람에 다시 지지층이 돌아오기 시작했고, 2019년 총선에서 다시 예츠트를 밀어내고 다시 원래의 의석 수 수준으로 돌아왔다. 이와 더불어 사민당의 부진, 자유당의 추락이라는 상황 덕분에 인민당과 예상 밖의 연정을 구성하고 연립 여당이 되었다.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와 베르너 코글러 대표와의 개인적인 친분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코글러 대표는 연정 구성 후 부총리 겸 예술문화공공행정체육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 외에도 3명이 입각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편집]


연도의석수득표율순위결과
199413/1837.31%4위비집권
19959/1834.81%5위비집권
199914/1837.40%4위비집권
200217/1839.47%4위비집권
200621/18311.05%3위비집권
200820/18310.43%5위비집권
201324/18312.42%4위비집권
20170/1833.80%6위원외
201926/18313.90%4위인민당과의 연정에 참여


3.2. 유럽의회 선거[편집]


연도의석수정원[1]득표율순위
19961216.81%4위
19992219.29%4위
200421812.89%4위
20092179.93%5위
201431814.52%4위
2019-2- 3[2]-18- 19[3]14.08%4위


3.3. 주의회 선거[편집]


연도의석수정원득표율순위결과
부르겐란트20202366.72%4위비집권
케른텐20180363.12%5위원외
니더외스터라이히20183566.43%4위비집권
오버외스터라이히202175612.32%4위인민당, 자유당, 사회민주당과의 연정에 참여
잘츠부르크20183369.31%4위인민당, 네오스와의 연정에 참여
슈타이어마르크201964812.08%4위비집권
티롤201843610.67%4위인민당과의 연정에 참여
포어아를베르크201973618.89%2위인민당과의 연정에 참여
20201610014.80%3위비집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0:37:07에 나무위키 녹색 - 녹색 대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스트리아에 배정된 의석 한정.[2] 브렉시트 이후로 오스트리아에 배정된 의석 증가 후 득표율에 의거하여 녹색당에게 1석 추가 배정.[3] 브렉시트 이후로 오스트리아에 배정된 의석이 18석에서 19석으로 늘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