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꼬마

덤프버전 :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icon0360_f00_s0.png 0360 마자파일:icon0361_f00_s0.png 0361 눈꼬마파일:icon0362_f00_s0.png 0362 얼음귀신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1. 정보
2. 소개
3. 스토리 및 포획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6. 기타
7. 삽화



1. 정보[편집]



파일:361 눈꼬마.png
눈꼬마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icon0361_f00_s0.png
눈꼬마
ユキワラシ(유키와라시)
Snorunt
전국: 0361
호연: 171RSE / 179ORAS
신오: 206Pt
알로라: 246SM / 323USUM
가라르: 079본토 / 025왕관설원
히스이: 205
팔데아: 357본토 / 172북신



특성(숨겨진 특성은 * / 메가진화 특성은 **)
정신력풀죽지 않는다.
아이스바디날씨가 싸라기눈, 설경일 때 HP가 회복된다.
*변덕쟁이턴이 끝날 때마다 랜덤으로 한 스탯이 1랭크 하락하고 다른 스탯이 2랭크 상승한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0361 눈꼬마눈우산 포켓몬0.7m16.8kg190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카운트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요정, 광물201,000,000

진화
진화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snorunt.gif
0361 눈꼬마
레벨 42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glalie.gif
0362 얼음귀신
파일:각성의돌.png 각성의돌(암컷 한정)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froslass.gif
0478 눈여아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icon0361_f00_s0.png
눈꼬마
505050505050300

울음소리
파일:icon0361_f00_s0.png
눈꼬마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icon0361_f00_s0.png
0361 눈꼬마
루비/OR눈이 많은 토지에 사는 포켓몬.
봄이나 여름처럼 눈이 안 내리는 계절에는 종유 동굴 안에서 조용히 산다.
포켓몬 GO
사파이어/AS눈이나 얼음만 먹고 산다. 눈꼬마가 방문한 집은 대대로 번창한다는 전설이 남아 있다.
에메랄드5마리 정도의 그룹으로 행동한다.
설국에서는 한밤중에 눈꼬마가 모습을 드러내면 아침에 눈이 쌓인다고 전해진다.
FRLG눈꼬마가 찾아온 집은 부자가 된다고 전해진다. 영하 100도에도 끄덕없다.
바이올렛
디아루가/펄기아/BDSP눈꼬마가 자리 잡은 집은 부자가 된다고 하는 전설이 설국에는 남아 있다.
Y
기라티나커다란 잎사귀 아래서 여러 마리의 눈꼬마가 모여 사이좋게 살고 있다고 한다.
BW/BW2
X
스칼렛
HGSS한밤중에 나타나는 눈꼬마는 큰 눈을 내리게 한다고 전해진다. 눈과 얼음을 먹으며 지낸다.
소드
어느새 알로라에서 늘어나 있었다. 눈꼬마가 살고있는 집은 자자손손 번창한다고 한다.
추운 땅에서만 살 수 있다. 영하 100도의 환경에서도 건강하게 뛰어다닌다.
실드
울트라썬눈과 얼음이 주요 먹이다. 따듯한 알로라에서는 한정된 장소에서만 살 수 있다.
울트라문추운 토지의 부자들은 모두 어린 시절에 눈꼬마와 놀았던 추억이 있다고 한다.
PLA첫눈이 내릴 때쯤 나타난다. 방문한 집은 대대로 번창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맑은 물을 얼린 얼음덩이를 대문에 두는 관습이 있다.

2. 소개[편집]


3세대에서 추가된 포켓몬. 얼음귀신이나 (4세대부터) 눈여아로 진화할 수 있다.

모티브는 눈꼬마가 자시키와라시 + 유킨코


3. 스토리 및 포획[편집]



얼음귀신눈여아 참고

4. 대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얼음귀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대전@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5.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편집]


포켓몬스터 AG에서 지우의 포켓몬으로 나와서 얼음귀신이 나타난 배틀에서는 지우가 한 번도 지지 않았던 전적이 있다. 단 눈꼬마 시절에는 패배한 적은 있다.[1] 리자몽, 피죤투, 헤라크로스, 나무킹, 딥상어동과 더불어 이 녀석도 XY에서 메가진화하지 못했다.

W 64화에서 눈꼬마와 얼음귀신 3마리가 등장. 얼음귀신이 산 위에 있는 어느 동굴에 숨어서 냉기를 뿜어대며 주변을 꽁꽁 얼리며, 야생 앱솔이 눈꼬마와 얼음귀신들을 지키고 있었다. 스페셜 예고편에서 선행 공개되었을 당시 고우가 포획한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고우는 눈꼬마와 얼음귀신들을 보호하던 앱솔을 포획한다.

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에서 라이징 볼트태클즈의 비행선에 사는 야생 포켓몬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평소엔 비행선 포켓몬들과 함께 포켓몬 푸드를 먹거나 노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머독의 주방에 있는 냉장고 속에 있을때도 있다. 다른 비행선 포켓몬들은 비행선에서 맡은 역할이 있는 반면에 빠모와 더불어 맡은 역할이 없다. [2]

5.2. 포켓몬 GO[편집]


361 눈꼬마
파일:361.png
명칭한국어눈꼬마
일본어ユキワラシ
영어Snorunt
분류눈우산 포켓몬타입
몸무게16.8 kg0.7 m
설명바위로 된 몸을 얼음 갑옷으로 단단히 했다.
공기 중의 수분을 얼려서 자유로운 형태로 바꾸는 능력을 지닌 포켓몬이다.
진화눈꼬마 → 얼음귀신(100) / 눈여아(100+신오의 돌)
기술일반* 얼음뭉치 (12)
* 얼음숨결 (10)
특수* 섀도볼 (100)
* 눈사태 (90)
* 자이로볼 (80)
종족치공격방어체력
162162190
전투력-리서치알/레이드레이드+날씨최대 Lv
CP? ~ ?? ~ ?? ~ ?2105
HP? ~ ?? ~ ?? ~ ??
획득 방법필드리서치레이드
OXX★(눈꼬마)
★★(얼음귀신
포획률20%
색이 다른 포켓몬있음파일:이로치_361.png

3세대 업데이트로 등장했다. 최대 CP는 1945. 이벤트 때가 아니면 필드에서 보기가 매우 힘들다. 그래도 눈이 오면 대굴레오보다는 아니지만 종종 보이는 편이다.

종족값이 너무 낮고 분배도 공방체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되어 있는데다 이미 얼음귀신의 화력을 뛰어넘는 얼음타입 포켓몬들이 널리고 널렸기에 배틀용으로 활용하기에는 조금 힘들고, 약점이 많은 얼음타입답게 체육관 방어에도 좋지 않다.

본래 얼음귀신으로 진화하는데 드는 사탕의 갯수는 50개였는데, 눈여아 업데이트 이후 100개로 변경되었다.


6. 기타[편집]


  • 6세대부터 눈꼬마의 스프라이트에서 부들부들 떨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교배 그룹은 요정, 광물. 얼음귀신눈여아도 동일해서, 얼음귀신의 경우 흉측한 외모임에도 불구하고 요정 그룹에 들어가게 되었다.

  • 디자인 자체는 1세대 때부터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3], 포켓몬스터 금·은/특별체험판에도 이들의 원형이 된 것으로 보이는 포켓몬이 보이지만 결국 등장하지는 못했으며 3세대에 와서야 신규 포켓몬으로 출현한다.



7.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361 눈꼬마 dex.png
눈꼬마

[1] 아단과의 배틀에서 졌다.[2] 눈꼬마와 빠모가 후에 주인공인 리코(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드(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혹은 도트(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포획할 예정이라 나오하or뜨아거,꾸왁스,찌리비처럼 현재 비행선에서 맡고 있는 역할이 없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눈꼬마와 빠모를 제외한 다른 비행선 포켓몬들은 자신들만의 상시주거 구역이 있고 그곳에서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이 자주 묘사되는 편인데, 눈꼬마와 빠모는 그런 모습이 묘사된적이 없다. 게다가 현재 주인공들의 포켓몬들의 엔트리와 겹치는 타입도 아니며, 똑같은 개체는 아니지만 눈꼬마는 전작의 주인공인 지우의 포켓몬 중 하나였고 빠모는 9세대의 전기쥐 포켓몬인만큼 리코나 로드의 포켓몬이 될 가능성이 낮진 않기에 신빙성 없는 가설은 아니다.[3] 마그마번-에레키블과 함께 삼색 빔을 상징하는 포켓몬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미싱노 39마리에 포함되어 루주라로 통폐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