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니콜라이 카푸스틴/작품

덤프버전 :

1. 개요
1.1. 관현악
1.2. 협주곡
1.3. 밴드&앙상블
1.4. 실내악
1.5. 피아노
1.5.1. 피아노 소나타
1.5.2. 그 외



1. 개요[편집]


니콜라이 카푸스틴의 작품 목록. 대부분 악보가 분실되었다.

1.1. 관현악[편집]


  • 코랄과 푸가 Op.4(1962)
  • 환상곡 "로즈 마리" Op.6 (1963)

자오선 Op.34 (Oleg Ludstrem 빅 밴드 연주)
  • 닫힌곡선 Op.35 (1982)
  • 즐거운 모임 Op.37 (1983)
  • 불길한 예감 Op.38 (1983)
  • 신포니에타 Op.49 (1986) [1]
  • 실내 교향곡 Op.57 (1990)


1.2. 협주곡[편집]


두 대의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협주곡 Op.104 (루드밀 앙헬로프, 다니엘 델 피노 피아노)
  • 피아노 소협주곡 Op.1 (1957)
  • 피아노 협주곡 1번 Op.2 (1961; 원보 분실)/Op.147(2012: 재창작)
  • 피아노와 대규모 밴드를 위한 변주곡 Op.3 (1962)
1961년에 작곡한 곡으로, 3분정도의 짧은 곡이다. 즉흥 재즈의 느낌이 나며, 가볍게 듣기 좋은 곡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피아노 협주곡 2번(카푸스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밴드&앙상블[편집]


  • 방파제 Op.11 (1966)
  • 4개의 소품 Op.18 (1973)
  • 미뉴에트 Op.21 (1974)

  • 환상곡 Op.27 (1976)
  • 러시아워 Op.42 (1985)
  • 4월의 한 날 Op.43 (1985)
  • 아침 Op.44 (1985)
  • 서곡 Op.51 (1987)
  • 11대의 악기를 위한 협주곡 Op.90 (1998)


1.4. 실내악[편집]


두 대의 플루트, 첼로, 피아노를 위한 디베르티멘토 Op.91 (니콜라이 카푸스틴 피아노)


1.5. 피아노[편집]



1.5.1. 피아노 소나타[편집]






1.5.2. 그 외[편집]


  • Op.8 피아노와 밴드를 위한 토카타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중 하나로, 피아노의 기교와 신나는 분위기가 합쳐져 있는 짧은 곡이다. 원고는 분실되었다.
  • Op.12 밴드를 위한 수족관 블루스
Oleg Lundstrom 밴드를 위해 쓰여진 작품 중 하나로, 트럼펫이 메인이 되는 곡이다. 트럼펫의 기교가 돋보이는 곡.
  • 새벽(일출) Op.26 (1976)
  • 고전풍의 모음곡 Op.28 (1977)
  • 작은 토카타 Op.36 (1983)
  • 8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Op.40 (1984)
  • 변주곡 Op.41 (1984) [2]
  • 원동력 Op.45 (1985)
  • 큰 밴드 소리 (피아노 변주) Op.46 (1986) [3]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큰 밴드의 소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명상(冥想) Op.47 (1987)
  • 네 손을 위한 신포니에타 Op.49 (1986) [4]
  • 밴드를 위한 인트라다 Op.52
  • 24개의 전주곡 Op.53 (1988)
  • 안단테 Op.58 (1990)
  • 10개의 바가텔 Op.59 (1991)
  • 3개의 즉흥곡 Op.66 (1991)[5]
    • 즉흥곡 Op.66 2번
니콜라이 카푸스틴의 연주

2013년에 작곡한 곡으로, 짧은 즉흥연주풍의 곡이다.
  • 방랑 Op.153 (2013)
  • 호기심 Op.157 (2015)
  • 우천(雨天) Op.159 (2015)
  • 어떤 것이든 Op.160 (2015)
  • 달빛 무지개 Op.161 (2016)[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8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1 (이전 역사)






[1] 작곡가 자신에 의해 피아노 연탄곡으로 편곡되기도 했다.[2] 이 곡의 테마가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에서 차용되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그는 그저 러시아 민속 음악의 선율을 사용한 것이며, 이 곡을 쓰며 스트라빈스키를 전혀 떠올리지 않았다고 한 인터뷰에서 말했다. 여기서 말하는 러시아 민속 음악은 리투아니아 민요 "Tu, mano seserėlė"인 것으로 추정.[3] 원곡은 Op.10 이다.[4] 원래 관현악곡이지만 작곡자 자신이 연탄곡으로 편곡.[5] 2번은 카푸스틴의 모든 곡들을 통틀어 유명한 곡 중 하나이다.[6] 2020년 7월 새로운 곡을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면서, 이것이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