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도시철도 신천선

덤프버전 :



이 사업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의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파일:대구도시철도공사 CI_좌우.svg
대구 도시철도 신천선
大邱道市鐵道 新川線
Sincheon Line
||
파일:대구 도시철도 신천선.png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노선 정보
분류도시철도[1]
기점봉무역
종점파동역
역 수9개
구성 노선대구 도시철도 신천선
개업일미정
소유자파일:대구광역시 휘장_국영문.svg
운영자파일:대구도시철도공사 CI_좌우.svg
사용차량미정
차량기지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미정
궤간1700mm 콘크리트 광궤
선로구성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신호방식Kyosan Signal ATP/ATO[2]
최고속도70㎞/h
영업속도60㎞/h
표정속도28.8㎞/h
지상구간전구간
통행 방향우측통행
개통 연혁미정
개통 예정미정

1. 개요
2. 상세
3. 역 목록
4. 기타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 계획중이었던 도시철도노선. 2012년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당시에는 신교통수단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남북을 가르는 횡단노선으로 동구, 북구, 중구, 남구, 수성구 등 골고루 정차한다.

파일: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gif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에서는 신4호선이라 불리던 노선. 기존 순환선이 5호선으로 밀리고, 이 노선이 4호선의 명칭을 부여받았기 때문. 하지만 이후 계획에서 등장하지 않아 최종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2. 상세[편집]


1990년대에 계획한 대구 도시철도 5호선의 북부구간과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의 남부구간을 합한 노선이었다. 2012년 이후 계획에 등장하진 않았지만 파동계획만은 존치되어져 왔다. 대구 6호선과 같은 노선으로 파동선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등장한 적이 있다. 현재 파동을 잇는 노선은 대구 도시철도 공청회에서 대구 3호선 파동지선 구상계획으로 남아있음이 밝혀졌다. 현재는 대구 도시철도 엑스코선이 대구 도시철도 4호선으로 계획 중에 있다.


3. 역 목록[편집]


역번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0.0이시아폴리스동구
대구공항
경대북문북구
칠성시장七星市場 1호선
경대병원慶大病原 2호선중구
건들바위- 3호선남구
봉덕시장
수성못[3]수성구
파동


4. 기타[편집]


가끔 유튜브 등에서 대구 4호선 주행 시뮬레이션 영상이라고 하며 모노레일 운행 게임 시뮬레이션 영상이 몇몇 있는데 해당 시뮬레이션 게임 제작 시기나 영상에 나오는 노선 및 역명들을 미루어 보아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4]이 아닌 예전에 신4호선으로 계획되었다가 폐지된 본 노선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57:35에 나무위키 대구 도시철도 신천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 구간[2] 차상 속도코드 방식[3] 현재의 수성못역과 다른 위치[4] 순환선이 4호선에서 5호선으로 변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