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he Muppet Show

덤프버전 :

  • The Muppet Show는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방영한 TV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등장한 머펫 캐릭터들과 파생된 프랜차이즈 전반도 이 기사에서 설명합니다.

The Muppet Show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2013년 미국 작가 조합의 회원들인 미국의 각본가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잘 쓰여진 TV 시리즈 순위다.
1위소프라노스
2위사인펠드
3위환상특급
4위《올 인 더 패밀리》
5위M.A.S.H.
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7위Mad Men
8위치어스
9위더 와이어
10위웨스트 윙
11위심슨 가족
12위왈가닥 루시
13위브레이킹 배드
14위《딕 반다이크 쇼》
15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18위《식스 핏 언더》
19위《택시》
20위《래리 샌더즈 쇼》
21위30 Rock
22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3위프레이저
24위프렌즈
25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26위엑스파일
27위로스트
28위ER
29위《더 코스비 쇼》
30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31위《더 허니무너스》
32위데드우드
33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4위모던 패밀리
35위트윈 픽스
36위《뉴욕경찰 24시》
37위《캐롤 버넷 쇼》
38위배틀스타 갤럭티카
39위섹스 앤 더 시티
40위왕좌의 게임
공동 41위《밥 뉴하트 쇼》
공동 41위《유어 쇼 오브 쇼스》
공동 43위다운튼 애비
공동 43위《떠스티썸팅》
공동 43위Law&Order
공동 46위《홈사이드》
공동 46위《St. Elsewhere》
48위홈랜드
49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공동 50위콜베어 르포
공동 50위더 오피스(영국)
공동 50위굿 와이프
53위《알래스카의 빛》
54위《케빈은 열두살》
55위《L.A. 로》
56위Sesame Street
57위형사 콜롬보
공동 58위폴티 타워즈
공동 58위《록포드 파일즈》
공동 60위블루문 특급
공동 60위《프릭스 앤 긱스》
62위《뿌리》
공동 63위사우스 파크
공동 63위내 사랑 레이먼드
65위《플레이하우스 90》
공동 66위덱스터
공동 66위더 오피스(미국)
68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69위《더 골든 걸스》
70위《앤디 그리핀 쇼》
공동 71위24
공동 71위더 실드
공동 74위《머피 브라운》
공동 74위House M.D.
공동 76위《클라우디우스 1세》
공동 76위《바니 밀러》
78위《오드 커플》
공동 79위스타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공동 79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공동 7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83위겟 스마트
공동 84위《디펜더스》
공동 84위《건스모크》
공동 86위트루 블러드
공동 86위저스티파이드
공동 86위《필 실버스 쇼》
8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89위《로완 & 마틴 쇼》
90위《프리즈너》
공동 91위The Muppet Show
공동 91위《앱솔루틀리 패뷸러스》
93위보드워크 엠파이어
94위윌 앤 그레이스
95위《패밀리 타이즈》
공동 96위《머나먼 대서부》
공동 96위《수프》
공동 98위도망자
공동 98위레이트 나잇 위드/쇼 데이비드 레터맨
공동 98위루이
공동 101위《오즈》
2013년 발표 / 출처



파일:The-Hollywood-Reporter-Logo.png
할리우드에서 가장 좋아하는 TV 쇼
[ 펼치기 · 접기 ]

※ 2015년 미국 잡지 할리우드 리포터가 주최한 할리우드 업계에서 가장 좋아하는 TV 쇼다.
2,800명의 배우, 제작자, 감독 및 기타 업계 인사들이 뽑은 순위다.
1위프렌즈
2위브레이킹 배드
3위엑스파일
4위왕좌의 게임
5위사인펠드
6위소프라노스
7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8위왈가닥 루시
9위Mad Men
10위심슨 가족
11위웨스트 윙
12위섹스 앤 더 시티
13위M.A.S.H.
14위모던 패밀리
15위로스트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환상특급
18위30 Rock
19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20위트윈 픽스
21위하우스 오브 카드
22위윌 앤 그레이스
23위치어스
24위워킹 데드
25위빅뱅 이론
26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27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28위ER
29위《식스 핏 언더》
30위더 와이어
31위더 오피스(미국)
32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33위셜록
34위사우스 파크
35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6위The Muppet Show
37위덱스터
38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39위《올 인 더 패밀리》
40위프레이저
41위《해피 데이즈》
42위캐슬
43위《캐롤 버넷 쇼》
44위다운튼 애비
45위홈랜드
46위Veep
47위《딕 반다이크 쇼》
48위더 골든 걸스
49위오펀 블랙
50위《프릭스 앤 긱스》
51위길모어 걸스
52위트루 디텍티브
53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54위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
55위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56위《케빈은 열두살》
57위굿 와이프
58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5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60위《머피 브라운》
61위Roseanne
62위《아내는 요술쟁이》
63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64위House M.D.
65위패밀리 가이
66위《택시》
67위블루문 특급
68위파이어플라이
69위앙투라지
70위《내사랑 지니》
71위《베이사이드 얄개들》
72위《모크 앤 민디》
73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74위24
75위닥터후 (1963-1989)》
76위풀 하우스
77위스캔들
78위《못말리는 번디 가족》
79위세서미 스트리트
80위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81위Law&Order: SVU
82위길리건의 섬
83위겟 스마트
84위앨리어스
85위Law&Order
86위트루 블러드
87위스크럽스
88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89위《록포드 파일즈》
90위애로우
91위아메리칸즈
92위《밥 뉴하트 쇼》
93위《더 브래디 번치》
94위《페어런트 후드》
95위배틀스타 갤럭티카
96위내 사랑 레이먼드
97위앨리 맥빌
98위《패밀리 타이즈》
99위폴티 타워즈
100위위기의 주부들
2015년 발표 / 출처




롤링 스톤 선정 100대 TV쇼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소프라노스
2위더 와이어
3위브레이킹 배드
4위매드맨
5위사인펠드
6위심슨 가족
7위환상특급
8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9위올 인 더 패밀리
10위더 데일리 쇼
11위프릭스 앤 긱스
12위왕좌의 게임
13위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
14위래리 샌더즈 쇼
15위웨스트 윙
16위M.A.S.H.
17위트윈 픽스
18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19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20위치어스
21위더 오피스(영국)
22위루이
23위데드우드
24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5위부통령이 필요해
26위프렌즈
27위못말리는 패밀리
28위엑스파일
2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30위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31위세서미 스트리트
32위왈가닥 루시
33위사우스 파크
34위30 Rock
35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36위Law&Order
37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3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39위로스트
40위더 실드
41위신혼여행자들
42위뉴욕경찰 24시
43위더 아메리칸즈
44위형사 콜롬보
45위배틀스타 갤럭티카
4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47위락포드 파일즈
48위더 오피스(미국)
49위택시
50위ER
51위파고
52위콜베어 르포
53위밥 뉴하트 쇼
54위머펫 쇼
55위식스 핏 언더
56위24
57위폴티 타워즈
58위뿌리
59위힐 스티리트 블루스
60위비비스와 버트헤드
61위유어 쇼 오브 쇼스
62위섹스 앤 더 시티
63위케빈은 열두살
64위샤펠 쇼
65위해피 데이스
66위다운튼 애비
67위별난 커플
68위더 스테이트(1993)
69위에드 설리번 쇼
70위로잔느 아줌마
71위미스터 쇼 위드 밥 앤 데이비드
72위걸스
73위트렌스페어런트
74위렌과 스팀피
75위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사람들 vs OJ 심슨
76위레이트 나이트 위드 코난 오브라이언
77위워킹 데드
78위써티썸씽
79위인 리빙 컬러
80위도망자
81위댈러스
82위더 제퍼슨스
83위하우스 오브 카드
84위리얼 타임 위드 빌 마허
85위더 리얼 월드
86위굿 타임스
87위닥터 후
88위파티 다운
89위홈랜드
90위딕 밴다이크 쇼
91위브로드 시티
92위아메리칸 아이돌
93위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94위제퍼디!
95위Key & Peele
96위건스모크
97위포틀랜디아
98위더 골든 걸스
99위오즈
100위이스트바운드 앤 다운
2016년 발표 / 출처



역대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버라이어티 시리즈 부문
제29회
(1977년)
제30회
(1978년)
제31회
(1979년)
반 다이크 앤드 컴퍼니머펫 쇼스티브 & 아이디 셀러브레이트 어빙 빌런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MuppetShow.jpg
파일:attachment/muppetgroup.jpg
The Muppet Show

It's time to get things started

On the most sensational, inspirational, celebrational,

Muppetational,

This is what we call the Muppet Show!


1. 소개
2. 테마곡
3. 제작
4. 인기
5. 반복되는 스케치
6. 등장 머펫
7. 극장판
8. 여담


1. 소개[편집]


짐 헨슨머펫들을 등장시키며 제작한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방영된 30분짜리 버라이어티 코미디 프로그램. 5시즌동안 120개의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머펫 극장(The Muppet Theater)을 무대로 개구리 커밋의 진행으로 펼쳐지는 뮤지컬 코미디 공연. 뮤직 홀(Music Hall)이나 보드빌같은, 춤과 노래, 코미디가 섞인 극장 버리이어티 쇼의 형식을 띄고 있으며 무대 뒤의 배우들의 준비 과정 이야기도 균형있게 등장한다. 무대 뒤 이야기에는 일단 에피소드마다 시트콤처럼 연속된 줄거리가 존재하며 방송 끝날 즈음에 문제가 해결되거나 더 막장으로 치닫게 된다. 언어도단의 슬랩스틱 코미디, 부조리한 초현실 유머, 적절한 패러디가 개그의 주를 이룬다. 에피소드마다 인간 게스트 스타가 하나씩 등장하며 프로그램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많은 유명인사들이 TV방송과 극장판에 게스트를 자청하게 된다. 미국의 옛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의 향수를 느끼게 하는 분위기가 느껴진다.

모든 캐릭터가 연예인 설정인 탓인지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제4의 벽 따위 씹고 들어간다. 이 모든 것이 작중작인 듯한 연출에 매우 혼란스럽다. 첫번째 극장판에는 아예 그 영화 대본을 주고받는 장면이 있다.

출연하는 머펫 배우들의 많은 수가 세서미 스트리트에서도 연기하였으며 초반에는 일부 머펫 캐릭터나 노래 등을 공유하기도 했다.

겉모습과는 달리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은 아니다. 두 개의 파일럿 에피소드 중 하나의 부제가 섹스와 폭력이니 설명 끝.[1] 그래도 일단은 온가족이 보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이며, 디즈니로 판권이 넘어간 후로는 전체 이용가 취급을 받는다. 일반적으로는 추억보정으로 아동물 취급을 받고 있다.


2. 테마곡[편집]


The Muppet Show Theme. 에피소드나 시즌마다 미묘하게 바뀐다.

2011년 극장판의 오프닝. 잭 블랙이 찬조출연한다.

OK Go의 커버 버전.

가사
It's time to play the music
It's time to light the lights
It's time to meet the Muppets on the Muppet Show tonight.
It's time to put on makeup
It's time to dress up right
It's time to raise the curtain on the Muppet Show tonight.
Why do we always come here
I guess we'll never know
It's like a kind of torture
To have to watch the show
And now let's get things started
Why don't you get things started
It's time to get things started
On the most sensational inspirational celebrational Muppetational
This is what we call the Muppet Show!

2014년에 개봉한 극장판 머펫 대소동 2에서는 스페인어판을 볼 수가 있다.


3. 제작[편집]


짐 헨슨세서미 스트리트로 대박을 쳤고 그 결과에 만족했으나 세서미의 치명적 폐해가 있었으니 머펫과 인형극=애들 대상이라는 대중의 인식이다. 헨슨은 새로운 인형극 프로그램의 제작을 원했으며 ABC 방송국에 두 편의 파일럿 비디오, 더 머펫 밸런타인 쇼(The Muppet Valentine Show)와 더 머펫 쇼 - 섹스와 폭력(The Muppet Show: Sex and Violence)를 보냈다. 그러나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영국의 방송 신디케이터 루 그레이드(Lew Grade)의 도움으로 영국의 ATV에서 1976년 9월 5일에 방송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니까 엄밀한 의미에서 더 머펫 쇼 자체는 영국 TV 프로그램이다.

첫 방송 직후 국제적으로 대박을 친다. 그러나 정작 미국 본토에서는 시청률이 영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방송 2년차부터 점차 프로그램의 형식과 캐릭터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미국에서도 인기를 모으게 된다. 엘튼 존, 밥 호프, 스티브 마틴, 존 클리스 등의 거물 게스트도 많이 등장했다. 여러 언어로 더빙되어 전세계에 수출되었고 타임지에서는 지구상 가장 인기있는 TV 엔터테인먼트 쇼라고 부르기도 했다.

시즌 5까지 방송하고 끝났지만, 절대로 인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짐 헨슨이 영화 제작 등 다른 활동에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1980년 8월 22일에 더 머펫 쇼는 정식으로 제작이 중단되었지만 TV스페셜과 극장판, 그 외 미디어믹스는 지금까지도 활발하다.

2004년, 머펫의 캐릭터 프랜차이즈가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인수되었다. 사실 이미 1989년에 디즈니 CEO 마이클 아이스너가 1억 5000만 달러에 짐 헨슨 컴퍼니 전체를 인수하겠다는 협상을 벌인 적이 있으나 바로 다음 해에 짐 헨슨 본인이 사망하면서 백지 상태로 되돌아간 적이 있다. 이전의 협상과 달리 2004년에 이루어진 거래는 어디까지나 회사 전체를 넘긴 것이 아니고 머펫 프랜차이즈만 팔아넘긴 것이며 현재 회사 자체는 비상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짐 헨슨의 아들이 운영 중이다. 어찌되었든, 지금 영화나 방송에서 나오는 머펫들은 전부 디즈니 소유의 캐릭터다.


4. 인기[편집]


방영 중에도, 방영 후 지금까지도 TV스페셜, 극장판, 음악 앨범, 캐릭터 상품, 장난감, 코믹스 등 엄청 많은 미디어믹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방송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르지만 캐릭터는 어디서 봤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 재방송도 많이 한다.


5. 반복되는 스케치[편집]


  • A Poem by Rowlf : 개 롤프가 고전 명시를 낭송하지만 결국 도중에 다른 머펫들에게 방해받는다. 시즌 1에만 등장.
  • An Editorial by Sam the Eagle : 독수리 샘이 특정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는 사설을 발표하지만 자가당착 등의 이유로 중단한다. 시즌 2에만 등장.
  • At the Dance : 무도회. 시즌 1에서는 레귤러로 등장했지만 그 후에는 빠질 때도 있었다. 머펫 커플들이 쌍을 지어 춤을 추며 화면 앞으로 나올 때마다 농담 따먹기를 한다. 간단하고 전통적인 것으로는 "당신 정말 춤을 잘 추네요... 춤추기 시작하고부터 바닥에 발이 닿은 것 같지가 않아요." "내 발을 밟고 있으니까 그렇지!"(...) 섹스와 폭력에서부터 등장한 코너로 시즌 5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전체 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했다.
  • Bear on Patrol : 포지 베어가 경찰로 등장하여 무능한 상사 링크 호그스롭, 범죄자들과 황당한 상황을 연출한다. 시즌 3부터 등장.
  • Blackouts : 짧다. 보드빌 공연이 코너마다 화면이 어두워지고 커튼이 내려가는 데에서 비롯해서 그 사이에 짧은 코미디를 끼워넣는 것. 시즌 1에만 등장.
  • Cold Openings : 주로 게스트 스타를 소개하며 프로그램 시작을 알리는 것. 시즌 1에는 오프닝 음악이 끝난 뒤에 등장한 반면 시즌 2부터는 오프닝 전에 나왔다. 게스트 스타와 짧은 농담 따먹기를 하는 게 원칙.
  • Fozzie Bear's Act : 포지 베어의 스탠드업 코미디 시간이지만 스테이틀러와 월도프에게 까이고 그들에게 저항하는 가엾은 포지의 모습이 주를 이룬다. 후기 시즌에서는 포지 베어가 무대 밖 등장이 느는 바람에 이 코너는 좀 줄어들었다.
  • Gonzo's Stunts : 위대한 곤조의 스턴트 코너. 대부분 중간에 야유를 받고 끝난다.
  • Muppet Labs : '미래가 오늘 만들어지는 곳'인 머펫 연구소에서 온갖 정신 나간 발명과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오작동이 일어난다.
  • Muppet Melodrama : 미스 피기가 악당에게 납치당해 위험에 처하고 히어로를 기다리는 코너. 시즌 3에서만 등장.
  • Muppet News Flash : 뉴스 속보를 보도하는 코너. 대서양이 납치당하는 등 초현실 유머가 선보여진다. 보도하는 사건 사고가 아나운서에게 그대로 일어나는 일도 잦다.
  • Muppet Sports : 여러 스포츠에 관련된 스케치. 시즌 3부터 등장.
  • Musical Chickens : 닭들이 피아노를 쪼아서 연주하며 유명한 노래를 하는 코너.
  • Panel Discussions : 개구리 커밋이 게스트 스타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는 부분. 그다지 내실 있는 얘기는 아니고 거의 잡담이나 커밋 자신에 대한 얘기에 가깝다. 시즌 1에만 등장.
  • Pigs in Space : 스타트렉이나 1930년대 SF를 패러디한 시리즈로 미스 피기를 비롯한 돼지들이 등장한 우주선 항해 이야기다. 주로 미스 피기가 여자라고 무시받는 줄거리다. 초반에 등장인물 소개가 들어가는데 아주 이상한 식으로 소개할 때가 많다.
  • Planet Koozebane : 괴기한 생물들이 사는 행성 쿠즈베인을 무대로 한 스케치로, 커밋이 리포터로 등장하여 쿠즈베인 행성의 외계인들의 생태를 살펴보거나 Pigs in Space와 섞여있을 때가 많다.
  • Rowlf at the Piano : 개 롤프가 피아노를 치고 때로 다른 머펫들이 함께할 때도 있다.
  • Talk Spots : 커밋이 주로 벽돌담 위에 앉아서 게스트와 대화한다. 주로 첫번째 시즌에 나왔지만 후에도 가끔 나왔다. 다른 머펫들이 참가할 때가 많다.
  • Talking Houses : 말하는 집들이 서로 농담을 한다. 시즌 1에서만 등장했다.
  • The Electric Mayhem : 닥터 티스가 이끄는 밴드 일렉트릭 메이헴의 음악과 공연.
  • The Swedish Chef : 스웨디시 셰프의 요리 교실을 빙자한 코미디 쇼. 요리는 개그가 터질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짐 헨슨과 프랭크 오즈의 즉흥 연기가 일품이다. 섹스와 폭력에서 첫 등장.
  • UK Spots : 영국에서 방영할 땐 광고 시간이 미국보다 짧기 때문에, 영국에서만 방영하는 약 2분간의 코너를 따로 만들었다. 보통은 짧은 노래가 들어간다.
  • Vendaface : 딱 세 번 등장했다. 머펫들에게 성형수술을 시켜주는 자판기 벤다페이스의 꽁트이다. 원래는 딱 한 번 나오고 말 코너였는데, 벤다페이스 머펫 제작비용이 상당해서 아깝다고 등장을 늘렸다.
  • Veterinarian's Hospital : 메디컬 드라마를 패러디한 병원 개그. 동물병원인데 의사도 간호사도 동물이다. 다른 코너와 크로스오버될 때가 많다. 개 롤프가 닥터로 나오며 미스 피기와 재니스가 간호사 역할. 의료 장면은 찾아볼 수 없고 완전히 농담 따먹기 코너이다.
  • Wayne and Wanda : 저질스러운 머펫 쇼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독수리 샘이 소개하는 코너. 남녀 커플인 웨인과 완다가 주로 사랑 노래를 하지만 매번 망한다. 30초도 버티지 못하고 작살난다. 시즌 1에만 등장했지만 다른 시즌에서 웨인만 등장할 때도 있다.


6. 등장 머펫[편집]


The Muppet Show/등장 머펫 참조.


7. 극장판[편집]


  • 머펫 무비(The Muppet Movie) - 1979년
  • 그레이트 머펫 케이퍼(The Great Muppet Caper) - 1981년
  • 머펫, 뉴욕을 점령하다(The Muppets Take Manhattan) - 1984년
  • 머펫의 크리스마스 캐롤(The Muppet Christmas Carol) - 1992년
  • 머펫의 보물섬(Muppet Treasure Island) - 1996년
  • 별나라에서 온 머펫(Muppets from Space) - 1999년
  • 머펫 대소동(The Muppets) - 2011년
  • 머펫 대소동 2(Muppets Most Wanted) - 2014년
  • 머펫 헌티드 맨션(Muppets Haunted Mansion) - 2021년[2]


8. 여담[편집]


  • 방영 기간 동안 수 차례 에미상 후보로 올라갔고, 총 4개의 에미상을 수상했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FT+13.jpg
  • 무대 밑의 오케스트라가 보라색 정장을 입는 게 머펫 쇼의 고전적 특징이라면 특징. 주로 곤조가 보라색 턱시도를 입은 모습이 유명하지만 플로이드와 줏도, 애니멀같은 머펫들도 입는다.

  • 디즈니로 넘어가 세서미 스트리트와 관계가 거의 완전히 끊어진 후에도, '어린애들이 보는 인형 나오는 그 프로' 라는 식으로 작중에서 언급할 때가 있다.

파일:external/www.toughpigs.com/Muppet-Movie-Blu-ray.jpg
  • 현대 세서미 스트리트가 고전 팬들에게 비판을 받는 것처럼, 머펫 역시 디즈니로 넘어간 이후 지나친 상업성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을 까는 고전 팬들도 존재한다. 특히 2013년 8월에 첫 번째 극장판이었던 머펫 무비블루레이가 발매되었는데 그 표지가 팬들에게 무지막지하게 까이고 있다. 이 영화는 디즈니와 그다지 관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즈니를 강조해놓은 점, The Original Classic이라는 노골적인 문구를 참 크게 박아놓은 점, 표지 이미지는 그냥 최근에 찍은 머펫 사진들을 포토샵으로 합쳐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점, 일렉트릭 메이헴이 영화의 주역이었는데도 플로이드와 줏이 표지에 없다는 점 등 지적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거의 35주년이 된 것을 기념해 발매했다는 유머(?)도 웃기기는 커녕 팬들을 더욱 열받게 했다. 무엇보다도 고전 명작 영화의 35주년 기념 재발매치고는 표지에서 빈티지스러움이 눈꼽만큼도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 1979년 개봉되었을 때의 포스터와 비교하면 눈물이 날 지경이다. # 지금까지 발매된 다른 DVD들도 표지가 매우 성의없어 욕을 먹었는데 이건 정말 너무 심했다는 평가이다. 분노한 팬들은 한심한 표지가 등장할 때마다 표지를 재디자인하는 콘테스트도 열고 있다. 물론 대부분 까는 방향으로 재디자인된다.

파일:external/static4.wikia.nocookie.net/Snl-jim.jpg
  • 2006년 SNL의 패러디 애니메이션에 따르면 미키 마우스는 짐 헨슨과 커밋을 감금해서 캐릭터들을 인수해갔다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스타워즈의 등장인물들이 게스트로 나온 에피소드에서 머펫들과 함께 피노키오의 주제가 When You Wish Upon a Star를 합창했는데, 이 노래는 이후 디즈니의 로고송이 되었다.

  • 과거에는 국내에서는 방영된 적도 없기 때문에 찾아보기 힘들었다. "머펫, 뉴욕을 점령하다" 이후의 극장판들은 DVD가 출시되었다. 그러다 2021년 디즈니+가 한국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스트리밍 중인 일부 작품들[3]은 한국어 더빙판이 새로 수록되었다. 여기서 머펫들을 담당한 주요 성우진은 김혜성, 이현, 신경선, 김현욱, 황창영, 장미, 장예나, 김하루 등이 맡았다.[4]

  • 2015년에는 쇼의 머펫들이 등장하는 시트콤 The Muppets가 방영되었다.

  • 2022년 5월에 레고71033 미니피규어 시리즈로 발매될 예정으로, 출시 목록으로는 커밋, 비커, 포지 베어, 곤조, 애니멀, 재니스, 스테이틀러, 월도프, 롤프, 미스 피기, 닥터 번슨 허니듀, 스웨디시 셰프로 총 12종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08:58:59에 나무위키 The Muppet Show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TV에 만연한 선정적인 내용을 풍자하는 내용이다. 그나마 애비뉴 Q처럼 대놓고 선정적인 내용을 다루지는 않는다.[2] 디즈니+에 한국어 더빙이 스트리밍되어 있다.[3] 머펫 나우, 머펫 프렌즈, 머펫 헌티드 맨션[4] 여담으로 김하루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대원방송 출신 성우들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