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널드 글로버

덤프버전 :


파일:글라스노트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소속 아티스트
Aurora AksnesBlowing TreesCHVRCHESChildish Gambino
EverleaFlo MorrisseyFoy Vance
Hamilton Leithauser + Rostam
Half Moon RunHUNTARIderI Hate Kate
James HerseyJeremy MessersmithJonas Sees in ColorJúníus Meyvant
KeleLawrence TaylorLittle Green CarsMadisen Ward and the Mama Bear
OberhofeePanama WeddingRoyal BangsSecondhand Serenade
ShibashiSon LuxsnnyTor Miller
William Prince


도널드 글로버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그래미 시상식[1]
파일:Grammy.svg
올해의 레코드상
제60회
(2018년)
제61회
(2019년)
제62회
(2020년)
24K Magic
브루노 마스
This Is America
차일디쉬 감비노
bad guy
빌리 아일리시
올해의 노래상
제60회
(2018년)
제61회
(2019년)
제62회
(2020년)
That's What I Like
브루노 마스
This Is America
차일디쉬 감비노
bad guy
빌리 아일리시


역대 에미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최우수 감독상 - 코미디 시리즈 부문
제68회
(2016년)
제69회
(2017년)
제70회
(2018년)
질 솔로웨이
(트랜스페어런트)
도널드 글로버
(애틀랜타)
에이미 셔먼 팔라디노
(더 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
최우수 남우주연상 - 코미디 시리즈 부문
제68회
(2016년)
제69회
(2017년)
제70회
(2018년)
제프리 탬버
(트랜스페어런트)
도널드 글로버
(애틀랜타)
빌 헤이더
(베리)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TV 시리즈 뮤지컬/코미디 부문
제73회
(2015년)
제74회
(2016년)
제75회
(2017년)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모차르트 인 더 정글)
도널드 글로버
(애틀랜타)
아지즈 안사리
(마스터 오브 제로)

[1] 그래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상들로 여겨지는 올해의 레코드상,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 최고의 신인상만이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부문의 상들은 따로 문서 내 수상 목록에 수록해주길.

도널드 글로버
Donald Glover
파일:Donald Glover.jpg
본명도널드 맥킨리 글로버
Donald McKinley Glover
이명Childish Gambino (차일디시 감비노)[1]
mcDJ[2]
출생1983년 9월 25일 (40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에드워즈 공군 기지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고향미국 조지아 주 스톤 마운틴[3]
신체175cm (5’9”)
직업가수, 배우,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코미디언, DJ
활동2002년현재
학력데칼프 스쿨 오브 더 아츠 (졸업)
뉴욕대학교 티시 예술대학 (극작학 / 학사)[4]
악기피아노, 드럼
장르힙합, 펑크, R&B, 소울, [5]
레이블RCA
mcDJ[6]
Wolf+Rothstein
Liberator
Glassnote
자녀슬하 3남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VEVO 로고.svg

1. 개요
2. 커리어
3. 필모그래피
3.1. 영화
3.2. TV 시리즈
4. 디스코그래피
4.1. 정규 앨범
4.1.1. Camp
4.1.2. Because the Internet
4.1.4. 3.15.20
4.2. EP
5. 싱글
5.1. 빌보드 1위
5.2. 빌보드 2위
5.3. 빌보드 3위~10위
5.4. 빌보드 11위~100위
6. 여담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Man, why does every black actor gotta rap some?

I don't know, all I know is I'm the best one[7]

Bonfire 中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엔터테이너.


2. 커리어[편집]


작가의 꿈을 가지고 대학에서 극작을 전공한 뒤, Upright Citizens Brigade(UCB) 극단의 DERRICK Comedy라는 스케치 코미디 그룹에서 활동하며 온라인 상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후에는 본인이 직접 각본을 만든 후 방송사 이곳저곳 투고했는데, 이것이 티나 페이의 눈에 들면서 2006년 NBC 시트콤 30 Rock의 작가진으로 전격 발탁된다. 30 ROCK에 직접 몇차례 단역으로 등장하기도 하면서 연기에도 발을 들이기 시작했고, 아예 본인이 직접 쓴 코미디 영화에 출연하며 영역을 넓혀나갔다.

이후 2009년, 시트콤 커뮤니티트로이 반스 역으로 출연해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린다.[8]

음악적으로는 2008년 믹스테이프를 내면서 본인이 역시 심취해있던 음악활동을 처음으로 시작했고, 2010년까지 총 5차례 믹스테이프를 내며 래퍼 및 프로듀서로서 인정을 받아 음악인으로 자리매김했다. 2011년 정규 앨범이 성공을 거두며 래퍼로서의 인지도도 급상승하여 음악인으로서와 배우로서 별개의 팬층이 공존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개인적 프로젝트에 집중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하차한 후 2016년 공개된 정규 3집에서는 힙합이 아닌 소울풀한 사운드를 시도하며 래퍼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했고 큰 호평을 받았다. 특히 싱글 'Redbone'은 영화 겟 아웃에 삽입되면서 상업적으로도 대히트하고 그래미 시상식에 최우수 트레디셔널 R&B 퍼포먼스 부문에서 커리어 첫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2019년 그래미 어워드 시상식에서 This Is America로 올해의 레코드상과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

본인이 아예 드라마 애틀랜타를 기획하고 직접 주인공 언 역으로 출연했는데, 평단과 대중 양측에게 압도적인 찬사를 받으며 뮤지컬 / 코미디부분에서 골든글러브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또한 에미상에서도 최우수 감독상과 남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감독상은 에미상 최초인 첫 흑인 감독의 수상이고 남우주연상은 32년만에 비백인이 상을 받게 됐을 정도. 시즌1의 성공을 발판삼아 시즌 2 또한 제작되었고, 역시 평론가들에게 전 시즌보다 더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처럼 현재까지 음악가로서의 커리어는 물론 배우, 감독으로서의 커리어 역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 또한 같이 애틀랜타에 출연한 다른 배우들 또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는 중이다.[9]


3. 필모그래피[편집]



3.1. 영화[편집]


연도작품배역비고
2009미스터리 팀제이슨 로저스
2010로봇 치킨: 스타 워즈 에피소드 3메이스 윈두
2011머펫 대소동Junior CDE Executive
2013더 투 두 리스트데릭
2014난 지구 반대편 나라로 가버릴테야그렉
2015라자루스니코
매직 마이크 XXL안드레
마션리치 퍼넬
2017스파이더맨: 홈커밍애런 데이비스
2018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랜도 칼리시안
2019구아바 아일랜드데니 마룬
라이온 킹심바
2023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애런 데이비스
TBA커뮤니티:더 무비트로이 반스

3.2. TV 시리즈[편집]


연도작품배역비고
2005레이트 나이트 위드 코난 오브라이언범죄자
2006-
2012
30 Rock다양
2007-
2010
UCB Comedy Originals피터 팬
2007-
2011
CollegeHumor Originals트로이 반스
2007Human Giant미첼
Bronx World Travelers스쿠피 브라운
2009-
2014
커뮤니티트로이 반스
2011레귤러 쇼알파 독
2013걸스샌디
세서미 스트리트LMNOP
2013-
2016
어드벤처 타임마셜 리
2015얼티밋 스파이더맨마일즈 모랄레스
China, IL빌리
2016-
2022
애틀랜타언 마크스[10]
2018Saturday Night Live: Cut For Time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선수
2023Swarm[11]
TBA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존 스미스[12]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정규 앨범[편집]



4.1.1. Camp[편집]


Camp
파일:gambino-camp.jpg
발매일 : 2011. 11. 15
트랙이름
1Outside
2Fire Fly
3Bonfire
4All the Shine
5Letter Home
6Heartbeat
7Backpackers
8Les
9Hold You Down
10Kids
11You See Me
12Sunrise
13That Power
정규 1집으로 메인스트림 데뷔 앨범이다. 무난한 평가와 흥행을 기록했다.[13]


4.1.2. Because the Internet[편집]


Because the Internet
파일:gambino-bti.jpg
발매일 : 2013. 12. 10
트랙이름
1The Library (Intro)
2I. Crawl
3II. Worldstar
4Dial Up
5I. The Worst Guys (feat. Chance The Rapper)
6II. Shadows
7III. Telegraph Ave. ("Oakland" by Lloyd)
8IV. Sweatpants
93005
10Playing Around Before the Party Starts
11I. The Party
12II. No Exit
13Death By Numbers
14I. Flight of the Navigator
15II. Zealots of Stockholm [Free Information]
16III. Urn
17I. Pink Toes (feat. Jhene Aiko)
18II. Earth: The Oldest Computer (The Last Night) [feat. [[아질리아 뱅크스|Azealia Banks]]]
19III. Life: The Biggest Troll [Andrew Auernheimer]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랩 앨범에 노미네이션 되고 RIAA 플래티넘 앨범 인증을 받으며 방송계와 별개로 래퍼로서 본인의 이름을 본격적으로 알린 앨범.

4.1.3. "Awaken, My Love!"[편집]


"Awaken, My Love!"
파일:gambino-aml.jpg
발매일 : 2016. 12. 2
트랙이름
1Me and Your Mama
2Have Some Love
3Boogieman
4Zombies
5Riot
6Redbone
7California
8Terrified
9Baby Boy
10The Night Me and Your Mama Met
11Stand Tall
힙합에서 벗어나 R&B, 소울, 펑크 등 다양한 흑인 계열 장르로서의 확장을 선택한 앨범이다.[14]

그래미 어워드 2가지 부문의 제너럴 필드, 3가지 부문의 장르 필드 후보에 올랐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RIAA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특히 이 앨범의 타이틀곡 'Redbone'은 감독 조던 필의 2017년 영화 "겟 아웃(Get Out)"에 수록되었고,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큰 인기를 얻은 바 있다.


4.1.4. 3.15.20[편집]


3.15.20
파일:Childish Gambino 3.15.20.jpg
발매일 : 2020. 3. 22
트랙이름
10.00
2Algorhythm
3Time
412.38
519.10
624.19
732.22
835.31
939.28
1042.26
1147.48
1253.49
2020년 3월 15일 Donald Glover Presents에서 앨범이 공개되었고 3월 22일 정식 발매되었다. 21 Savage, 아리아나 그란데가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Metacritic에서 83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짙어진 장르적 깊이와 실험적 사운드로 극찬 받으며 2020년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거론된 바 있다.


4.2. EP[편집]


EP
파일:gambino-ep.jpg
발매일 : 2011. 3. 8
트랙이름
1Be Alone
2Freaks and Geeks
3My Shine
4Lights Turned On
5Not Going Back

Kauai
파일:gambino-kauai.jpg
발매일 : 2014. 10. 3
트랙이름
1Sober
2Pop Thieves (Make It Feel Good) (feat. Jaden Smith)
3Retro (ROUGH)
4The Palisades (feat. Christian Rich)
5Poke (feat. Steve G Lover)
6Late Night In Kauai (feat. Jaden Smith)
7V. 3005 (Beach Picnic Version)


5. 싱글[편집]



5.1. 빌보드 1위[편집]


  • This Is America (2018)[15][16]


5.2. 빌보드 2위[편집]




5.3. 빌보드 3위~10위[편집]




5.4. 빌보드 11위~100위[편집]


  • Redbone (2017) - 12위[17]
  • V.3005 (2014) - 64위
  • Me And Your Mama (2016) - 68위
  • I. Crawl (2013) - 86위


6. 여담[편집]


  • 이 움짤의 장본인이기도 하다. 드라마 커뮤니티의 한 장면. 가끔 어느 소속에 있던 사람이 잠시 부재중이었다가 (주로 어떤 성취를 이뤄서 그걸 자랑하러) 돌아오니 소속됐던 단체가 난장판이 되었을 때 자주 인용된다.

  • 음악 활동을 할 때의 예명 "Childish Gambino"는 딱히 의미 있는 이름이 아니라 인터넷에 있는 랜덤 우-탱 클랜이름 생성기를 돌려 나온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들어가서 Donald Glover를 치면 Childish Gambino라는 이름이 나온다.

  • 2010년 커뮤니티의 한 팬이 반 장난삼아 새로 제작되는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에 글로버를 스파이더맨으로 캐스팅하자는 캠페인을 시작하며 #donald4spiderman라는 해쉬태그를 트위터에 올렸는데, 이 태그가 폭발적 호응을 얻으며 마블과 소니는 물론 원작자 스탠 리까지도 이를 접하고 반응을 보였다. 비록 스탠 리가 글로버의 오디션을 지지하기는 했지만 소니에서는 아무 연락을 취하지 않았고 그 이후 딱히 아무런 일도 없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 해 코믹스에서 흑인 스파이더맨인 마일즈 모랄레스가 등장한 뒤 작가 브라이언 마이클 벤디스가 "모랄레스의 모습은 도널드 글로버에게 영향을 받은 것"[18][19]이라 밝히며 이 일은 다시금 주목받았고, 이 인연을 통해 글로버는 얼티밋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에서 모랄레스의 성우를 맡고, 그 뒤 2017년 스파이더맨: 홈커밍에 원작에서 모랄레스의 삼촌인 애런 데이비스 역으로 출연하게 되었다.이젠 나이를 너무 많이 먹어서...2023년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영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애런 데이비스 역으로 다시 출연했다.[20]



  • 영화 블랙 팬서의 엔딩 크레딧에서 도널드 글로버의 이름이 나왔는데 촬영장에 와서 슈리 관련 대사들을 많이 손봐 주었고 영화에도 웃긴 몇몇 대사들은 도날드가 고쳐서 나온 것이다. #

  • 글로버의 음악적 파트너는 루드비히 고란손이다. 대부분의 곡을 고란손이 작곡했다. 힙합 프로듀서이자 영화음악 작곡가인 고란손은 라이언 쿠글러 감독과 함께 오스카 그랜트의 어떤 하루, 크리드, 블랙 팬서(영화)를 모두 작업하며 힙합스타일 영화음악의 독보적인 작곡가로 활동 중인 인물이기도 하다. (#)


  • 다소 의외지만 프로그래밍을 배운 이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T 97에서의 프리스타일 가사 중 "Ni**as need to learn code, man I'm sick with the Python" 이라는 가사가 있고, 또 그가 피쳐링한 Problem의 Dollaz and Sense / 0 to 100 이라는 곡 중에도 "Python, check the app, I'm hangin' with coders"이라는 가사가 등장한다. 심지어 인터뷰 중에는 흑인 어린이들이 의사나 변호사 대신 프로그래머가 되기를 바란다는 말까지 했다.

  •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에서 잠깐 카메오 형식으로 요원으로 등장했다. 대사는 없다.


7. 관련 문서[편집]



[1] 뮤지션 활동명.[2] 디스크자키 활동명.[3] 애틀랜타 교외에 위치.[4] 2006년 졸업.[5] 활동 초기에는 힙합 성향이 짙었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는 장르에 구애받지 않는 폭 넓은 범위의 음악을 하고 있다.[6] 본인의 레이블로 RCA의 라이선싱을 받으며 mcDJ에서 음반을 발매한다.[7] 왜 흑인 배우들은 다 랩을 해야하는데? 나도 몰라 내가 최고라는것 빼고.[8] 후술되어 있는 불타는 피자 짤로 유명하다.[9] 도미노역할로 유명하고 조커에도 나온 자지 비츠, 겟 아웃, 언컷 젬스, 나이브스 아웃에서 인상깊은 연기를 한 라키스 스탠필드, 역시 조커에 출연하고 이터널스에 캐스팅된 브라이언 타이리 헨리 등.[10] 감독겸 제작 참여[11] 감독겸 제작 참여[12] 제작 참여[13] 피치포크에서는 10점 만점에 1.6점을 받아 1,700 개에 육박하는 모든 평 중, 뒤에서 50등 안에 드는 수준의 그야말로 엄청난 혹평을 받는 바가 있다.[14] 목소리가 처음 들었을때는 높고 가늘어서 누구 목소리인가 할 수도 있겠으나, 놀랍게도 차일디쉬 감비노 본인의 목소리이다.[15] 2주 동안 1위 기록.[16] 미국 내에서 어마어마한 화제를 몰고온 가사와 뮤직비디오 덕분에, 2018년 5월 19일자 차트에서 첫 주 1위로 데뷔했다.[17] 영화 <겟 아웃>의 OST이자, 앨범 <Awaken, My Love!>의 타이틀곡.[18] 커뮤니티에서 이 사태에 대한 셀프 패러디 격으로 스파이더맨 코스튬을 입고 등장한 적이 있었다.[19] 그러나 흑인 스파이더맨이라는 캐릭터에 대한 구상 자체는 그 이전부터 해왔던 것이라 밝혔다.[20]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유일하게 실제 모습으로 등장한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