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국대학교 야구부

덤프버전 :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 야구부
(Dongguk University)
창단1946년
지역서울권
감독이건열
우승 기록[1]19회
홈페이지동국대학교 체육교육과



역대 전적
대회우승준우승4강[2]
대통령기3회(1984, 1986, 2008)4회(1982, 1997, 2015, 2018)-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5회(2006, 2013, 2014, 2016, 2023[3])3회(1982, 2000, 2011)-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3회(2011, 2012, 2014)2회(2015, 2018)-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7회(1983, 1985[4], 1996, 1999, 2013, 2014(이상 춘계), 1986(이상 추계))6회(1981, 1986, 1987, 2007(이상 춘계), 1979[5], 1986(이상 추계))-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1회(1987)2회(1986, 2000)-

1. 개요
2. 학번별 출신 선수
3. 여담



1. 개요[편집]


한국 프로야구 최상급 선수들을 다수 배출한 전통의 명문학교. 최근에도 이건열 감독의 부임 후 한해 3관왕, 4관왕을 차지할 만큼의 대학야구 전통의 강호로 자리잡고 있다. 많은 연습량으로 강팀이 된 게 아닌 선수들이 스스로 알아서 하게끔 하는 스타일을 팀에 이식시킨 성과다. 대학야구 침체기에 접어들었음에도 한국프로야구에 입단하는 유망한 선수들이 꾸준하다는 평이다.

홈구장은 경기도 고양시 식사동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뒷편(정확히는 동국대 바이오메디캠퍼스 내)에 있다.

2. 학번별 출신 선수[편집]


출신 선수
학번이름
1975정구선, 최정기
1978김성한
1979장호연, 한대화
1980김민호, 김봉근, 이문한
1981김영신
1982김평호, 이건열
1983박철우, 백인호, 이동석, 이중화
1984송진우
1985박준태, 윤재호, 이강철
1986조정수, 지화동
1987강길용, 김기열, 김홍기, 백성진, 윤용하, 이영재
1988가득염
1989공의식, 박상근, 정영규
1990류택현
1991강준기, 구대회, 김경호, 김낙관[6], 봉상철, 이보형, 지병호
1992김태호, 장윤완, 정동원, 정석
1993김경묵, 김덕환, 김준태, 박강수, 반재욱, 백재호, 이경민, 이동호
1994김태준, 박상섭, 방수환, 신경현
1995권혁태, 김국광, 김병일, 김철수, 문성준, 양원준, 오진수, 윤근주, 한상준
1996박정환, 이정주, 정원석, 조윤채, 주영대, 표성대
1997김준희, 김희상, 박한이, 유강식, 이도헌, 이종현, 정창용, 정철규, 조원봉
1998강귀태, 김민구, 김준호, 민유기, 서승화 윤호석, 이경배, 이대환
1999김상욱, 김영배, 백승훈, 양윤희, 양재만, 유왕식, 이경환, 이상윤, 임동규
2000박정권, 방승재, 유한준, 이경환, 전준호, 최희영, 하성진
2001김동혁, 김요한, 김현우, 조동우, 최대곤, 최준원
2002김영광, 박훈범, 박희수, 송광민, 유민용, 이동걸, 이여상, 최종군
2003강종만, 김상식, 송명근[7], 심선호, 이승훈[A], 정다운
2004김웅비, 소병선, 여정호[8], 원형진[B], 이문광, 이영욱, 정요셉, 한종우, 홍석무
2005강민욱, 김정운, 김정혁, 김지수, 나정현, 배영섭, 유명환, 이호영
2006김결, 김민호, 김형철, 박원기, 박지원[C], 서동희, 신재욱, 오현민, 이태원
2007김동한, 김병재, 장지환, 전진호, 정상학, 조정민, 황인창
2008강장산, 강하승, 노성호, 박용운, 송만수, 양성우, 위준호, 이장희, 홍영찬[C]
2009김동영, 안우주, 최기운, 이동훈, 임종혁, 송원호[9], 조득주, 최병욱[10], 하해웅, 홍영현
2010강민국, 고영표, 구황, 김병희, 김성호, 김윤식, 박세민, 심상욱[A], 안상민, 양석환, 정우민
2011고지원, 권태연, 김선현, 김호령, 백찬이, 윤영수, 이현석, 임규빈, 임세황, 차희태
2012김문교, 박경택, 박광명, 박승주, 서예일, 이의종, 최용준, 최재원, 홍준표
2013박상훈, 박창빈, 최동현, 허진석[11], 홍성은, 황인건
2014송현우, 이승민, 이용균[B], 이준혁, 정종운, 최규혁, 한주석, 허진호
2015강인호, 구본혁, 김태우, 박승수, 박형석, 이동건
2016김연우, 김재욱, 류현욱, 석호준, 장웅정, 최이경, 최지훈
2017김륜모, 유승오, 이지원, 정수근
2018고동현, 곽도현, 성원준, 신승환, 안광준, 홍대용
2019고경민, 김준영, 김태원, 김현서, 송대현, 이후석, 장재원, 채준형
2020강경민, 권동욱, 윤세웅, 이재호, 최준서
2021장민호
2022정준재[12]
중퇴윤정현(2012)


3. 여담[편집]


호남 출신 선수들이 유독 많이 나온 연세대학교 야구부만큼은 아니지만 이 학교도 과거 호남 출신 선수들이 꽤 많이 입학했다. 김성한, 김평호, 이건열, 백인호, 이동석(이상 군산상고), 박철우, 박준태, 이강철(이상 광주일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 이후에도 조윤채 現 광주일고 감독, 최지훈(SSG) 등 광주일고 출신 선수들이 꾸준히 입학했다.

팀마다 스타일이 다르나 이건열 감독은 1학년 선수를 게임에 출전을 덜 시키는 편이다. 프로 지명을 앞둔 4학년 선수들이 스카우트 눈에 많이 띄도록 하기 위함인듯 하다.

동국대 4학년 당시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던 최병욱은 이건열 감독에 면담을 신청하여 '프로지명을 받으려면 스카우터들의 눈도장을 찍어야 하니 선발투수로 기용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프로경력(선수, 코치)이 많았던 이건열은 많은 이닝을 소화하지 않아도 스카우터들은 재목을 골라내는 눈이 있다며 거절한 바 있다. 4학년 때 전국대회 도합 10이닝 남짓 던졌음에도 두산 베어스의 지명을 받았다.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말하길 이건열 감독처럼 평소에 화를 절대 내지 않는 분이 제대로 한 번 화를 내면 더 무섭다고 한다. 그리고 자율을 선수들에게 부여한 만큼 책임도 뒤따르는데 이건열 감독이 자리를 비워도 선수들 스스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동국대 연극영화과 출신 배우인 강석우가 야구부 출신 동문들하고도 막역하다. 한대화한화 이글스 감독 시절 가수 이루의 사인 CD들을 보내주기도 하고 오랜만에 모교 캠퍼스에 방문했다가 마주친 야구부원들에게 '이감독 어딨나?'라고 물을 정도다.

동국대 야구부의 역사에 대해 잘 정리된 블로그가 있다. 관심이 있다면 방문해서 글을 읽어보자.네이버 블로그



[1]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2]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3] 고려대학교와 공동 우승[4] 부산산업대학교와 공동 우승[5] 고려대학교, 건국대학교와 공동 준우승[6] 현대 피닉스 → 현대 유니콘스(1997년 2차 9순위 전체 72번)[7] 제주관광대에서 편입[A] A B 세계사이버대에서 편입[8] 제주한라대에서 편입[B] A B 동강대에서 편입[C] A B 제주산업정보대에서 편입[9] 송유석의 아들, 현 KBO 심판위원.[10] 한일장신대에서 편입[11] 강릉영동대에서 편입[12] 2024년 얼리 드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