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남 방언/음운

덤프버전 :


1. 음소
1.1. 모음
1.1.1. ㅓ와 ㅡ의 구분 부재
1.1.2. 단모음화
1.1.3. 전설모음화
1.2. 자음
1.2.2. 비모음화 / ㄴ 탈락
1.2.3. 그 외 자음 탈락
1.2.4. 구개음화
1.2.5. ㅅ과 ㅆ의 구분 부재
1.2.6. 순경음 비읍, 반치음
1.3. 준말
2. 운소


1. 음소[편집]



1.1. 모음[편집]



1.1.1. ㅓ와 ㅡ의 구분 부재[편집]


동남 방언의 모음은 표준어와 차이가 있다. 표준어의 10단모음(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혹은 현실적인 발음인 7단모음(ㅏ, ㅓ, ㅐ=ㅔ, ㅗ, ㅜ, ㅡ, ㅣ)과 다르게 동남 방언은 6단모음 체계(ㅏ, ㅐ=ㅔ, ㅗ, ㅜ, ㅓ=ㅡ, ㅣ)를 사용한다. 다만 최근 젊은 화자와 늙은 화자를 비교한 논문에 따르면 대구 10-20대 화자들은 ㅓ와 ㅡ발음을 서울 사람만큼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40대 정도만 봐도 ㅓ와 ㅡ 구분이 거의 겹칠 정도로 덜 명확하다고.

동남 방언의 단모음은 /a/, /ʌ ~ ə ~ ɯ/, /e/, /i/, /o/, /u/로, 여기서 /ʌ ~ ə ~ ɯ/는 ㅡ 또는 ㅓ로 적힌다. 즉 동남 방언에는 ㅡ와 ㅓ의 발음 구별이 없다[1]. 이런 특징을 극대화 하기 위해 인터넷 상에서 ㅓ와 ㅡ를 섞어 쓰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가독성이 심하게 떨어진다. 외안뒈와 비슷한 상황으로, 표준어에서 ㅙ와 ㅚ와 ㅞ의 발음이 같다고 섞어 쓰지 않듯 진지하게 동남 방언을 표기해야 한다면 그러지 않는 게 좋다.

참고로 경북대 이상규 교수에 따르면 경북 서·북부 지역(울진, 봉화, 영풍, 상주, 의성, 금릉)의 경우 아주 예전부터 ㅓ와 ㅡ의 발음을 구분해 왔다고 한다. 이 지역들은 강원도와 경상도의 방언연속체적인 특징을 많이 보여주며, 강원도와 어휘를 많이 공유한다.

신기한 사실이 하나 있는데 경상남도 진주시는 1950년대에 ㅐ와 ㅔ 발음은 구분하였으나 ㅓ와 ㅡ발음은 구분하지 않았다고 한다. 1950년대 이후로 점차 표준어의 영향 때문에 ㅐ와 ㅔ는 합쳐지고 ㅓ와 ㅡ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1.1.2. 단모음화[편집]


표준어에서는 이중모음인 것이 동남 방언에서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이중모음 /ㅕ/의 경우 단모음 [ㅔ]로 발음되는데, /ㅕ/의 음절 부음(副音)인 반모음 /j/가, 이어지는 음절 주음(主音) /ㅓ/를 [ㅔ]로 전설화하고 그 자신은 사라지는 현상. 표준어에서도 꽤 많이 발견되며, 비슷한 예를 찾자면 '하셔요' → '하세요'가 있다. 음절 초 자음, 즉 초성이 있을 경우에 국한되기에, 초성 없는 /ㅕ/가 들어간 '영남'을 '엥남'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 며칠: 메칠
  • 멸치: 메르치
  • 격리: 겍리
  • 뭐라고: 머라고
  • 줘라고: 조라고(북부)/주라고(남부)

일부 표준어에서 "ㅟ"를 쓰는 단어가 동남 방언에서 "ㅜ"인 것도 가끔 보인다.

  • 쉽다: 숩다

동남 방언에서 ㅚ와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거나 ㅐ[e], ㅣ[i] 단모음으로 변하여 나타난다.

1.1.3. 전설모음화[편집]


일부 모음이 전설모음화 된다. 이는 ㅔ와 ㅐ 발음이 합쳐질 때 ㅔ가 ㅣ에 통합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보통 경북 동부 지역은 이런 현상 약간 덜하다. 나이 드신 분들은 이런 전설모음화가 확실히 지켜진다. 그래도 '-는데'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는데'만 나타난다.

  • 그게요, 그게 제 말이 아니고요: 그기예, 그기 지 말이 아이고예

전설모음화로 굳어진 용언들은 보통 나이 구분 없이 쓰인다.

  • 아끼다: 애끼다
  • 막히다: 맥히다


1.2. 자음[편집]



1.2.1. 자음동화[편집]


표준어보다 자음동화가 자유롭다. 특히 비음의 변동이 심하며, 서로 다른 비음 두 개가 만나면 동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ㅇㅇ은 장음이다.
표준어표준어 발음동남 방언 발음
엔간히엔간히엥간히[2]
안녕하십니까안녕하심니까안녕하심미까
종료하다종뇨하다종요하다
갑각류갑깡뉴각깡유
있고읻꼬익꼬

발음이 애매하더라도 특유의 강세로 인해 의미를 쉽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명옥의 "한국어의 방언"에 따르면 동남 방언권은 모든 지역에서 말이 느리든 빠르든 간에 다양한 자음동화가 그대로 일어난다. 표준어에서 일어나지 않는 자음동화는 연구개음소화(ㄷ→ㄱ, ㄴ→ㅇ, ㅂ→ㄱ, ㅁ→ㅇ), 양순음소화(ㄷ→ㅂ, ㄴ→ㅁ)가 있다. 이중 몇 가지는 다른 방언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남 방언은 더 뚜렷하고 더 많이 드러난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이 동남 방언을 들리는 그대로 표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어 '안녕하십니꺼'를 '안녕하십미꺼', 더 심하면 '안녕하심미꺼'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동남 방언의 규칙적인 자음동화에 의한 현상이므로 발음대로 적는 것보다 형태소를 밝혀 적는 게 효율적이다.


1.2.2. 비모음화 / ㄴ 탈락[편집]


자음 'ㄴ'과 '-ㅣ, -이, -히, -ㅡ, -으'가 만나면 'ㄴ' 발음이 탈락되는 현상이다. 이를 비모음, 즉 비음(콧소리)가 섞인 모음이라 본다. 모든 화자가 ㄴ을 탈락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ㄴ을 발음한다. 이런 발음 변화를 한글로 표기할 방법이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 표기를 달리 해야 한다.

ㄴ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발음 중시 표기
걸으니걸으니걸으이
뛰니뛰니뛰이
싸우니사우니사우이
그러니그러니그러이
아니다아니다아이다
예빈이예빈이예비이
종민이종민이종미이
많이많이마이
많으니많으니마으이
오늘오늘오을
괜히갠히개히
엔간히엔간히엔가히

ㄴ을 생략해서 적어 버리면 동남 방언 화자가 아닐 경우 형태소를 파악하는 데에 꽤나 어려움이 생긴다. 대부분 학계는 비모음을 표기할 때 ~물결표 표시를 선호하는 편이다.
ㄴ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1기호2
걸으니걸으니걸으~이걸으~이~
뛰니뛰니뛰~이뛰~이~
싸우니사우니사우~이사우~이~
그러니그러니그러~이그러~이~
아니다아니다아~이다아~이~다
예빈이예빈이예비~이예비~이~
종민이종민이종미~이종미~이~
많이많이마~이마~이~
많으니많으니마~으~이마~으~이~
오늘오늘오~을오~을~
괜히갠히개~히개~히~
엔간히엔간히엔가~히엔가~히~

이 문서는 간편함을 위해 1번 방법을 택한다.

가끔 '받침 ㅇ/ㄴ'과 '초성 ㅇ/ㅎ'이 만났을 때 빨리 발음하면서 '받침 ㅇ/ㄴ'을 탈락시키기도 하며, 북부는 입을 크게 벌리는 단어는 조사 '-에' 와 만나면 모음 동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받침 ㅇ/ㄴ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준말
형아힝아(대구)히~아
고등학교고등학교고드~학교
고양이고앵이/갱이고애~이/개~이
못하다몬하다모~하다
세상에 그렇게세사~아 그렇게
방에바~아


1.2.3. 그 외 자음 탈락[편집]


모음소와 어두 ㅎ이 만나면 빨리 발음해서 탈락시키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것은 동남 방언 외 대부분 지역에서도 흔한 현상이며 발음 그대로 쓰면 뜻을 알기 어려우므로 삼가는 게 좋다.
ㅎ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준말
엔간히엔간히엔가~이
뭐 한다고머 한다고머 안다고만다고
뭐 하려머 할라머 알라말라

빈번히 사용되는 표현 중 발음이 자주 생략되는 단어들이 있다. 특히 'ㄱ'이 자주 탈락되는 편이다. 이들도 화자가 필요에 따라 탈락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 표기를 바꿔야 한다.

ㄱ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준말
이것, 요것이것, 요것/요곳이엇/여엇, 요옷엿, 욧
저것, 조것저것, 조것/조곳저엇, 조옷젓, 좃
그것, 고것그것, 고것/고곳그엇/거엇, 고옷것, 곳
이거, 요거이거, 요거/요고이어/여어, 요오여, 요
저거, 조거저거, 조거/조고저어, 조오저, 조
그거, 고거그거, 고거/고고그어/거어, 고오거, 고
이게, 요게이게/이기, 요게/요기이에/이이, 요에/요이예/이
저게, 조게저게/저기/지기, 조게/조기저에/저이/지이, 조에/조이제/지
그게, 고게그게/그기, 고게/고기그에/그이, 고에/고이게/기
여기, 요기여기, 요기여이/여어, 요이/요오여, 요
저기, 조기저기, 조기저이/저어, 조이/조오저, 조
거기, 고기거기, 고기거이/거어, 고이/고오거, 고
누구누구누우
지금지금지음
먹어묵어무우

ㄷ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준말
어디서어디서/어데서어이서/어에서/어어서어서

ㄹ 탈락
표준어형태소 중시 표기기호준말
-(으)ㄹ까-(으)(ㄹ)까/-(으)(ㄹ)꼬
이렇게, 요렇게일케, 욜케이케, 요케
저렇게, 조렇게절케, 졸케저케, 조케
그렇게, 고렇게글케, 골케그케, 고케
왜 이렇게왜 일케왜 이케왜케
살고사~고사~고

유기음소화로 '-하다'에서 ㅎ을 발음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경남 대부분 지역, 경북에서 드문드문 나타난다. 다른 남부 방언에도 흔한 현상이므로 굳이 생략해서 적지 않는다.
-하다
표준어동남방언
갑갑하다[갑까파다]깝깝하다[깝까바다]
길쭉하다[길쭈카다]낄쭉하다[낄쭈가다][3]
남 탓하다[남타타다]남 탓하다[남타다다]


1.2.4. 구개음화[편집]


아래 특징들은 한국 중서부 방언을 제외하면 대부분 방언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70대 이상 지긋이 나이 드신 분들이 아니고선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 특징으로 빠른 시간 내에 소멸될 상황에 놓여 있다. 40대 이하도 꽤 사용하는 발음은 ☆ 표시를 했다.

  • ㄱ, ㅎ의 구개음화
['''기 → 지''']
김: 짐
기름: 지름
기다랗다: 질따랗다
깊다: 짚다/짚으다
기대다: 지대다
겨누다: 전주다(견주다: 겨누다의 경상도 방언[4])☆

['''히 → 시''']
힘에 겹다: 심에 젭다
형아: 시아[5]
형: 세이[6]
혀: 세
혓바닥: 셋바닥☆
불 켜다[7]: 불 서다/셔다/세다


1.2.5. ㅅ과 ㅆ의 구분 부재[편집]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상규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경상북도는 대구와 낙동강을 기점으로 동쪽, 경상남도는 남서쪽을 제외한 나머지 동쪽 지역이 ㅅ과 ㅆ을 변별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전에는 이 두 음소를 구분을 할 필요가 없었으나, 표준어 단어가 많이 유입되면서 구분할 필요가 생겼다. 현재 어린 화자를 기준으로 ㅅ과 ㅆ을 구분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새그럽다, 쌔그럽다 같은 단어들의 경우 여린말과 센말(졸졸, 쫄쫄 같은 관계)로 구분돼 나뉘어 쓰이고 있다.
싸우다: 사우다/싸우다
섞다: 섞다/썪다
썩다: 석다/썩다
시다: 새그럽다/쌔그럽다


1.2.6. 순경음 비읍, 반치음[편집]


순경음 비읍반치음의 흔적이 있다. ㅂ을 활용한 용언 활용 규칙은(덥다 → 덥어) 오직 동남 방언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ㅅ 활용 규칙이나 개개 단어들의 흔적(가을→가실)은 다른 지역에도 꽤 있는 현상인 듯하다.

동남 방언에서 용언 활용 규칙은 그나마 잘 이어 오고 있지만 개개 단어들은 표준어로 교체되어 빠르게 소멸하는 추세이다. 용언 활용에 대한 내용은 동남 방언/문법 ㅂ, ㅅ 규칙 활용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더위: 덥이
추위: 춥이
구르다: 꾸부르다/구불다
눈시울: 눈시불
가을: 가실/가슭
겨울: 저슬

1.3. 준말[편집]


  • 뭐 하려고: 머 할라고 - 말라고
  • 인가 보다: 인갑다

  • 그렇게 하다: 글카다 - 그카다 <경북 우세>
  • 그러다: 그러하다 - 긇다 [8] <경상도 전역>
  • 그러다: 카다 <경북 우세>
  • 그러다: 그라다 <경상도 전역>

  • -라고 하다: -라카다 <경상도 전역>
  • -라고 하다: -라쿠다 <경남 서부/중부 대부분>
  • -라고 하다: -라거ᇹ다 <경북 북동부>

  • 어찌 하니: 우예 하노 - 우야노 <경북 우세>
  • 어찌 하니: 우찌 하노 - 우짜노 <경상 전역>

  • 그 애가 '뭐 하러 그렇게 하라고 하냐' 그런다: 그 아가 '머 할라 그케 하라고 하노' 그란다 - 가가 '말라그카라카노' 칸다


2. 운소[편집]


동남 방언의 악센트는 중세 한국어와 대부분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이를 다른 말로 '성조형이 일치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한국어의 방언/초분절 음소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3:02:17에 나무위키 동남 방언/음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북 북부 지역 제외[2] 비모음 발음인 /엥가~히/, 나아가 ㅎ발음이 탈락되어서 /엥가~이/라고 발음하는 지역이 많다.[3] 나이 드신 분은 구개음화로 '찔쭉하다'라고 한다[4] 표준어의 '견주다'는 둘을 비교하는 뜻 밖에 없다.[5] 힝아 → 히~아 → 시~아. '히아'가 '희야'처럼 들리는 이유는 바로 이 비모음 때문이다.[6] 부산에서 사용한다. 헹 → 셍 → 세~ → 세이. 이렇게 받침 ㅇ이 탈락돼서 '-이'로 굳어진 사례는 그리 많진 않지만 하나 예를 들자면 고둥 → 고두~ → 고디~ → 고디(다슬기)가 있다.[7] 중세 한국어에서 '혀다'로 나타난다[8] 긇다[글타\], 긇나[글라\], 긇고[글코\], 긇지[글치\]처럼 쓰이며, '-먼/몬/만'과 결합하면 ㄹ이 탈락하여 그먼/몬/만'이라는 형태로도 많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