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띠에 해당하는 인물의 등재는 예시 난립 금지 규정에 의해 불가능합니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십이지)]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53535><tablebgcolor=#fff,#1f2023><bgcolor=#333><-6> [[십이지|{{{#fff '''십이지 띠'''}}}]] || ||<width=80> {{{+5 [[子|{{{#353535,#c9c9c9 子}}}]]}}}[br]{{{-2 쥐띠}}} ||<width=80> {{{+5 [[丑|{{{#353535,#c9c9c9 丑}}}]]}}}[br]{{{-2 소띠}}} ||<width=80> {{{+5 [[寅|{{{#353535,#c9c9c9 寅}}}]]}}}[br]{{{-2 호랑이띠}}} ||<width=80> {{{+5 [[卯|{{{#353535,#c9c9c9 卯}}}]]}}}[br]{{{-2 토끼띠}}} ||<width=80> {{{+5 [[辰|{{{#353535,#c9c9c9 辰}}}]]}}}[br]{{{-2 용띠}}} ||<width=80> {{{+5 [[巳|{{{#353535,#c9c9c9 巳}}}]]}}}[br]{{{-2 뱀띠}}} || || {{{+5 [[午|{{{#353535,#c9c9c9 午}}}]]}}}[br]{{{-2 말띠}}} || {{{+5 [[未|{{{#353535,#c9c9c9 未}}}]]}}}[br]{{{-2 양띠}}} || {{{+5 [[申|{{{#353535,#c9c9c9 申}}}]]}}}[br]{{{-2 원숭이띠}}} || {{{+5 [[酉|{{{#353535,#c9c9c9 酉}}}]]}}}[br]{{{-2 닭띠}}} || {{{+5 [[戌|{{{#353535,#c9c9c9 戌}}}]]}}}[br]{{{-2 개띠}}} || {{{+5 [[亥|{{{#353535,#c9c9c9 亥}}}]]}}}[br]{{{-2 돼지띠}}}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 해에 붙은 [[십이지]]를 띠라고도 한다. 십이지는 12개이므로 12년 주기로 같아진다. 흔히 십이지의 동물 이름을 따라 부른다. [[십이지]]에서도 보듯 국가별로 해당하는 동물은 약간 다르다. 십간에 붙어있는 [[오방색]]까지 합쳐 '푸른쥐띠'[* 갑자년], '노란돼지띠'[* 기해년] 식으로도 말한다. 주로 언론에서 한 해의 시작에 그런 기사를 많이 낸다. == 연도의 시작점 == 중국 전통에서는 동지가 든 달을 자월(子月)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언제가 음력 1월인지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가령 [[주나라]]는 자월을, [[진시황]]의 [[진나라]]는 해월(亥月)을 1월로 삼았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음력은 인월(寅月)이 1월인데, 이는 [[한무제]]가 1월의 기준을 바꾼 것이 그대로 내려온 것이다.《[[조선왕조실록]]》을 보면 매년 1월 1일에는 왕 재위 몇 년, 중국의 연호, 그 해의 갑자를 표시해주었다. [[한국]]에서 띠의 기준일로 음력 1월 1일(설날) 혹은 세계인이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양력]] 1월 1일(신정)이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양력 1월 1일로 세는 것에 대해 "중국 역대 왕조에서는 '''정월'''[* 음력 1월 1일]에 간지가 바뀌는 기준점도 같이 바뀌었고, 다수의 현대인들은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니 그레고리력에 따라 간지를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다만 사주명리학에서는 그레고리력이나 음력을 기점으로 보는 것은 잘못된 정보라고 주장한다.] 한편 한국의 [[사주명리학]]에서는 [[입춘]]을 기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0|#]] 구체적으로 입춘 절입시각을 기준으로 따진다.[* 절입시각이란, 황도상에서 특정 위치에 태양의 중심이 일치하는 시간을 말한다. 잘 모르겠으면 절에서 입춘대길 부적 오른쪽에 작게 '''몇 시'''라고 씌어 있는지 유심히 살펴보자. 그렇지만 생일처럼 시간대를 따지지 않는다.][* 사주명리학에서는 대부분 입춘을 기점으로 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음력이든 양력이든 편한대로 기점을 따지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입춘이 아니라 [[동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부 사주가들도 존재한다.[* 과거에는 지금과 달리 [[동지]]를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보는 사주가들이 더 많았다고 한다. 위에도 나와 있듯 본래 동지를 기준점(정월)으로 삼았다가 한무제 대에 이르러 정월을 입춘이 든 인월로 삼게 되면서 남게 된 흔적이다. [[24절기]] 기산을 입춘(고대부터 연도 계산의 기산점으로는 동지나 춘분을 기준으로 잡는 것이 보통이었다. 입춘은 동지와 춘분의 중간 지점이다.)부터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렇듯 음력 1월 1일이든 입춘이든 띠가 바뀌는 기준을 1월 말~2월 초 즈음으로 보는 시각이 있기 때문에 양력 생일이 1월~2월 초인 사람들은 어떤 기준을 따르냐에 따라 띠가 달라질 수 있다. ||<tablewidth=355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53535><tablebgcolor=#fff,#1f2023><#333> {{{#fff '''한국의 띠'''}}} || ||<#fff,#1f202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2cd90f863d7d8fa6dfa5f8a67695178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3fb9ea9011a179ca6ef04fcb1e828d2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6c7a6b1fd3b343481b748eaa1113ce5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280ae1e7c20467781d7f8bf74f7f1c6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e15286c808ae5029dc1df40e8f343af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9c810c5750860c570e4539fdc296436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1e0fe8889df87de57a0ef2dd9d1dcde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dcf9d91ef7fc13cf55691ba37c133a1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142c6067e6345134c6728f299cf4c1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690caea887b1a7798d57cfa8f35cd5a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45825835973f47ba23e6345b175b573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145d7d03ea8318e4a1497dd5f2cc9a2}}} || == 여담 == 한국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로 ''''58년 개띠''''가 대표적이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2243522#home|#]] 민속학에서 개개인의 나이를 파악하는 데 요긴하게 쓰이곤 한다. 요즘 사람으로서는 의외이지만 [[생일]]을 기리는 문화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많다. 이런 데에서 자기 띠를 알고 있으면 나이가 몇인지를 알 수 있다. 연도에는 십이지뿐 아니라 십간도 붙어있다. 이를 세차(歲次)라 한다. 비단 연도뿐 아니라 월, 일, 시에도 [[육십갑자]]가 붙어있는데 각각 월건(月建) - [[일진(동음이의어)|일진]](日辰) - 시진(時辰)이라 한다. 태어난 연월일시의 육십갑자 두 글자씩을 합쳐 8 글자를 만든 것이 바로 [[팔자]]이다. 여기서 달과 시간은 한 해가 12달이고[* [[윤달]]이 있으나 윤달에는 월건이 배당되지 않는다고 한다.] 하루가 24시간으로 12의 배수이기에 5년마다/5일마다 반복되지만 연도와 날짜에 붙은 세차, 일진은 별 수 없이 [[상나라]] 시대부터 60씩 반복해 계산해나갈 수밖에 없다. 때문에 기록을 완전히 소실해서 연대를 측정할 수 없는 문헌이 나와도 간지를 보면 역산이 가능한 경우가 간혹 생긴다. 역사를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나이는 다르지만 띠는 같은 것을 [[띠동갑]]이라 한다. 보통 12살 차이를 말한다. 엄밀히 따지면 24살, 36살 차이도 띠동갑이긴 한데 이들은 본인과 차이가 매우 크게 나고, 부모뻘 정도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기 어렵다.[* 물론 24살, 36살 차이는 부모와 자식의 십이지가 같은 경우가 있긴 하다.] 참고로 [[윤년|쥐띠, 용띠, 원숭이띠 해]]에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미국 대통령 선거]]와 하계올림픽[* 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된 [[2020 도쿄 올림픽]]은 2021년 소띠 해에 열렸다.]이 열리며, 호랑이띠, 말띠, 개띠 해에는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동계올림픽과 [[FIFA 월드컵]]과 하계 아시안 게임[* 단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은 2023년 토끼띠 해에 열렸다.]이 열린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 title=십이지, version=529 , title2=쥐띠, version2=529 , title3=소띠, version3=573 , title4=호랑이띠, version4=393 , title5=토끼띠, version5=560 , title6=용띠, version6=672 , title7=뱀띠, version7=543 , title8=말띠, version8=590 , title9=양띠, version9=592 , title10=원숭이띠, version10=495 , title11=닭띠, version11=471 , title12=개띠, version12=512 , title13=돼지띠, version13=441)] [[분류:십이지]] [include(틀:포크됨2, title=십이지/띠, d=2023-12-06 0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