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립프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래의 의미에 대한 내용은 드리프트 문서
드리프트번 문단을
드리프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보물섬(유튜버)/콘텐츠
,
,
,
,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드립프트 로고.png드립프트
Meme-rift
||
주최
파일:보물섬 프사.jpg 보물섬
파일:샌드박스 네트워크 가로형 로고.svg[[파일:샌드박스 네트워크 가로형 로고 화이트.svg
사회자
김동현
17명[1]
우승자
2. 조충현

1. 개요
2. 진행
2.1. 심사
2.2. 승리
3. 심사위원
3.1. 예선전
3.1.1. A, B, C조
3.1.2. D, E, F조
3.2. 준결승전
3.2.1. A조
3.2.2. B조
3.3. 결승전
5. 경기
5.1. 예선전
5.1.1. A조
5.1.1.1. 결과
5.1.2. B조
5.1.2.1. 결과
5.1.3. C조
5.1.3.1. 결과
5.1.4. D, E, F조
5.1.4.1. 결과
5.2. 준결승전
5.2.1. A조
5.2.1.1. 결과
5.2.2. B조
5.2.2.1. 결과
5.3. 결승전
5.3.1. 결과
6. 평가



1. 개요[편집]


보물섬이 주최한 콘텐츠이자 대형 기획 프로젝트로써, 대한민국에서 드립을 가장 잘 치는 1인을 뽑아서 상금 3천만 원[2]을 주는 드립 경시대회이다. 대회 특징으로 IPPON 그랑프리와 같은 오오기리의 형식을 띄고 있다.


2. 진행[편집]


참가자들은 세 명씩 총 여섯 조로 나뉘어서 예선전을 치르게 되고, 각 조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여섯 명을 선발하여 두 조로 나뉘어 준결승을 치르게 된다. 준결승에서 승리한 두 사람과 나머지 참가자 네 명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한 사람이 추가되어 총 세명의 참가자가 결승전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승리하게 되면 상금 3천만 원 '최고의 드립퍼' 라는 명예를 얻게 된다.


2.1. 심사[편집]


  • 예선전
심사위원들이 참가자들의 드립을 듣고 재밌거나, 웃기거나, 참신할 때에는 ㅋ 팻말을 들고, 애매하거나 아쉬울 때는 ㅠ 팻말을 든다.

심사위원 세 명 중에 두 명이 ㅋ 팻말을 들면 1ㅋ을 획득하고, 세 명 모두 다 ㅋ 팻말을 들면 3ㅋ을 획득한다.


  • 준결승전
심사위원들이 참가자의 드립을 듣고 재밌거나, 웃기거나, 참신할 때에는 초록색 버튼을 누르고, 애매하거나 아쉬울 때는 빨간색 버튼을 누른다.

심사위원 세 명이 다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점수 1점을 획득하고,심사위원 중 한명이라도 빨간색 버튼을 누르거나, 심사위원 세 명이 다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점수를 획득하지 못한다.

한 문제가 끝나면 점수를 가장 많이 획득한 참가자는 D 스티커를 받는다.


2.2. 승리[편집]


  • 예선전
총 여섯 문제를 거쳐서 을 가장 많이 획득한 참가자가 승리한다.


  • 준결승전
D 스티커를 가장 많이 획득한 참가자가 승리한다.


3. 심사위원[편집]



3.1. 예선전[편집]



3.1.1. A, B, C조[편집]




원래 D, E, F조 담당 기획자 심사위원이지만 B조 예선전 때 6번 참가자가 개인 사정으로 인해 불참하게되어 이현석이 대타로 참가함으로써 강민석이 이현석 대신 심사위원 자리를 맡았다.


3.1.2. D, E, F조[편집]






3.2. 준결승전[편집]



3.2.1. A조[편집]






3.2.2. B조[편집]






3.3. 결승전[편집]






4. 참가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드립프트/참가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기[편집]



5.1. 예선전[편집]



5.1.1. A조[편집]




5.1.1.1. 결과[편집]

A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1정주원(삼름)34개-
2조충현42개우승
3신일국22개-



5.1.2. B조[편집]




5.1.2.1. 결과[편집]

B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4이서준48개-
5조계진49개우승
6이현성0개-



5.1.3. C조[편집]




5.1.3.1. 결과[편집]

C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7김도헌32개-
8박성호46개우승
9방주호36개-



5.1.4. D, E, F조[편집]


D, E, F조 예선전은 한 영상으로 업로드되었다.


5.1.4.1. 결과[편집]

D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10척경준26+3개우승[재대결]
11대디손26개-[재대결]
12마주보규25개-

[재대결] A B 10번 참가자와 11번 참가자가 26개로 동점이 나서 재대결 끝에 10번 참가자가 3ㅋ을 따내며 승리하였다.

E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13한상훈28개-
14도진선29개우승
15한기명20개-


F조 예선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 개수결과
16김명관21개-
17홍현호46개우승
18조다현40개-



5.2. 준결승전[편집]


조별예선 A조, B조, C조 우승자[3]가 A조로 D조, E조, F조 우승자가 B조로 나뉜다.


5.2.1. A조[편집]




5.2.1.1. 결과[편집]

A조 준결승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D 스티커 개수결과
8박성호1개-
4이서준1개-
2조충현3개우승



5.2.2. B조[편집]




5.2.2.1. 결과[편집]

B조 준결승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D 스티커 개수결과
17홍현호[1]3개우승
14도진선3개-
10척경준0개-

[1] 홍현호와 도진선이 3개로 동점이 나서 합산점수를 계산했을때 홍현호가 더 높아서 승리하였다.


5.3. 결승전[편집]




5.3.1. 결과[편집]


결승전 결과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참가자D 스티커 개수결과
17홍현호1개-
8박성호2개-
2조충현2개[1]우승

[1] 싱호와 D 스티커의 개수가 똑같아서 예비 문제로 대결을 하여 승리하였다 차열한 대결 끝으로 조충현 참가자가 우승하였다.


6. 평가[편집]


  • 콘텐츠 자체는 개그 서바이벌이라는 신선한 시도로 호평 받았으나 결승 영상 조회수가 44만회로 기존 보물섬 영상[4]에 비해 흥행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5] 이런 이유로 더블비와 한 강릉 복불복 TV게임에서 보물섬 패배시 커버 사진을 10일간 노잼프트로 바꾸기를 걸었을 정도다.[결과(스포일러)]
[1] B조 6번 참가자가 개인사정으로 자진하차했다.[2] 드립프트는 보물섬이 주최한 대형 콘텐츠라서 상금 3천만원은 각자의 사비로 채운다고 한다.[3] B조 우승자는 개인 사정으로 인해 B조 준우승자가 대신 참여하게 되었다.[4] 기존 보물섬 영상들은 못해도 50만 이상, 대박난 영상들은 수백만 조회수도 가뿐히 찍는다.[5] 해당 영상(18분 45초)에서 망했다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결과(스포일러)] 이현석이 축구 중계방송을 틀어 더블비가 패배하면서 노잼프트 커버 사진을 피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4:59:33에 나무위키 드립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