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더!

덤프버전 :

대런 애러노프스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8 파이 로고.png파일:2000 레퀴엠 포 어 드림 로고.png파일:2006 천년을 흐르는 사랑 로고.png
파일:2008 더 레슬러 로고.png파일:Black Swan Logo 5.png파일:2014 노아 로고.png
파일:2017 마더! 로고.png파일:2022 더 웨일 로고_2.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마더! (2017)
Mother!
파일:c175bee4ec0a4106b8306b04aa3e3da6.jpg
제작사프로토조아 픽처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장르공포, 스릴러, 드라마, 심리
감독대런 애러노프스키
제작대런 애러노프스키
스콧 프랭클린
아리 한델
각본대런 애러노프스키
출연진제니퍼 로렌스, 하비에르 바르뎀
개봉일자파일:미국 국기.svg 2017년 9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0월 19일
음악요한 요한슨
러닝 타임 121분
제작비 3,0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17,800,004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 $44,400,272 (최종)
총 관객수 46,652명 (최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출연진
3. 예고편
4. 줄거리
5. 평가
6. 흥행
6.1. 북미
6.2. 대한민국
7. 기타



1. 개요[편집]


레퀴엠 포 어 드림, 블랙 스완대런 애러노프스키 감독의 신작으로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작으로 초청받았으며, 2017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도 초청받았다.

감독이 로만 폴란스키악마의 씨를 보고 영감을 받아 하루 만에 시나리오를 완성했다고 한다. 때문에 포스터도 악마의 씨 오마쥬를 하고 있다.


2. 출연진[편집]


  • 제니퍼 로렌스 - 마더[1]
  • 하비에르 바르뎀 - '그' [2]
  • 에드 해리스 - 남자
  • 미셸 파이퍼 - 여자
  • 브리언 글리슨 - 남동생[3]
  • 도널 글리슨 - 장남
  • 크리스틴 위그 - 해럴드
  • 조반 아데포 - 시중드는 자
  • 스티븐 맥허티 - 광신도자
  • 로렌스 르보프 - 아가씨


3. 예고편[편집]


공식 예고편


4. 줄거리[편집]


두려움이 너와 함께 하리라
평화롭던 부부의 집에 초대받지 않은 손님들이 찾아온다.
낯선 이들의 방문이 불편하기만 하던 중 손님의 짐에서 남편의 사진을 발견하게 된 아내는 이들을 환대하는 남편의 모습이 의심스럽기만 하고, 그들의 무례한 행동은 갈수록 극에 달한다.
계속되는 손님들의 방문과 집안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일들은 아내를 더욱 불안하게 하는데
도대체 이 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4]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2650|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7.20 / 10
네티즌
7.22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7.20 / 10
네티즌
7.22 / 10
]]
평점 7.20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5.5 / 10





만물을 순환시키는 동력과 장 자체에 대한 경배. 거대한 이야기를 한 손에 비틀어 쥔 채 강렬하게 폭주한다.

이동진 (★★★★)


평단의 평가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나, 평단 내에서도 호불호가 갈린다. 메타크리틱, 로튼 토마토 등 위의 평론가 평점 집계 틀에서 볼 수 있듯이, 대체로 고평가 하는 평론가들이 다수. 평론가 이동진도 영화 곡성(영화)를 비교언급하며 영화를 극찬했다.[5] 유튜버 크리스 스턱만은 A-를, 제레미 잔스는 블루레이로 소장할 영화 등급을 주었으나, 이에 반하는 평론가들도 상당 수 있으며, 그로인해 초창기에비해 로튼 지수가 매우 낮아졌고 신선도 마크 또한 내려졌다.

관객 쪽에서는 평론가보다 더더욱 호불호가 갈리는 상태로, 미국 관객들의 영화 관람 직후 등급을 매기는 시네마스코어에선 최악의 등급인 "F등급"을 받았다. 이러한 극단적인 관객의 반감은 영상 자체의 잔인함 때문이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영화의 문법을 무시한 점, 상징성을 위해 전개되는 낯선 흐름이라 그 상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관객에게는 의미없는 이상한 스토리가 된다는 점,[6]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잔혹한 소재를 사용한 점[7] 같은 이유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선호하는 관객들은 굉장히 좋아하는반면 불호인 관객들은 매우 혹평한다. 다른 이유보단 미국은 기독교 근본주의를 믿는 인구가 많으므로 신성모독이라고 생각하고[8] 혹평을 남긴 관객들이 많았을 것이다. 자신이 믿는 종교에 대해 불쾌한 인상을 준다는 것만으로 영화의 완성도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평가하는 것이니 어찌보면 종교적 반달리즘에 가까운 행위라고 할 수도 있다.

한편 관객이 영화에 느낀 불쾌함에 따라 영화에 이렇게 극단적인 평가가 매겨지는 행태가 옳은가에 대한 논란도 일어났었다.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은 이 영화를 예시로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정의하고, 상자에 넣고, 원하고 그것을 비난하고 싶어한다"라며 극단적으로 낮은 로튼토마토 지수와 시네마스코어가 F 등급을 준 것에 대해 비판했다.

금기시되는 소재를 다룬 점과 기독교를 비튼 영화란 점에서 라스 폰 트리에안티크라이스트가 떠오른다는 반응이 많다.


6. 흥행[편집]


원래는 2018년 1월 19일에 일본 개봉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너무나 충격적인 내용인데다 월드와이드 성적도 시원찮은 탓인지 개봉이 취소되었다. 이는 파라마운트 픽처스 본사의 결정이라고.

6.1. 북미[편집]


최악의 관객평에 이어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오프닝 성적을 1200만불 예상했는데 대폭 떨어진 첫주 750만불을 기록했다. 포브스가 bomb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성적이 최악이었다.

제작비가 3000만 달러이지만 손익 분기점인 6000만 달러 + a 에 이르기는 힘들 것 같다. 헐리우드 기준으로 중~저예산 영화이며, 출연진과 감독의 명성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제작비가 들었음에도 그렇다. 다만 의외로 개봉 자체는 제한적 상영이 아니라[9] 와이드 릴리즈였는데, 아마도 배급사에서 내심 블랙 스완으로 유명해진 대런 애로노프스키 감독과 현재 가장 핫한 여배우인 제니퍼 로렌스의 스타 파워를 믿었던 모양이다. 하지만 정작 타겟층이었던 일반 관객들로부터 입소문이 나쁘게 나오는 바람에 1차 시장 흥행은 요원하게 되었다.


6.2.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907명-명-위-원16,739,800원
1주차2017-10-19. 1일차(목)6,976명38,412명8위51,129,800원301,161,382원
2017-10-20. 2일차(금)6,383명9위52,335,589원
2017-10-21. 3일차(토)8,057명11위67,258,893원
2017-10-22. 4일차(일)7,377명11위61,815,600원
2017-10-23. 5일차(월)4,126명8위29,903,500원
2017-10-24. 6일차(화)4,107명9위29,724,500원
2017-10-25. 7일차(수)1,386명10위8,993,500원
2주차2017-10-26. 8일차(목)653명5,240명21위4,947,000원41,489,900원
2017-10-27. 9일차(금)770명18위6,479,500원
2017-10-28. 10일차(토)1,001명19위8,533,400원
2017-10-29. 11일차(일)913명18위7,815,500원
2017-10-30. 12일차(월)601명18위4,231,000원
2017-10-31. 13일차(화)750명19위5,445,500원
2017-11-01. 14일차(수)552명23위4,038,000원
3주차2017-11-02. 15일차(목)83명751명68위578,500원5,889,300원
2017-11-03. 16일차(금)94명58위819,500원
2017-11-04. 17일차(토)124명61위1,038,500원
2017-11-05. 18일차(일)163명46위1,306,500원
2017-11-06. 19일차(월)90명51위665,500원
2017-11-07. 20일차(화)73명60위556,300원
2017-11-08. 21일차(수)124명50위924,500원
4주차2017-11-09. 22일차(목)23명306명82위168,000원2,487,500원
2017-11-10. 23일차(금)24명76위215,000원
2017-11-11. 24일차(토)90명59위768,000원
2017-11-12. 25일차(일)56명65위471,000원
2017-11-13. 26일차(월)29명70위211,000원
2017-11-14. 27일차(화)54명65위438,000원
2017-11-15. 28일차(수)30명87위216,500원
5주차2017-11-16. 29일차(목)1명40명141위8,000원343,500원
2017-11-17. 30일차(금)11명117위99,500원
2017-11-18. 31일차(토)8명125위80,000원
2017-11-19. 32일차(일)16명104위124,000원
2017-11-20. 33일차(월)-명-위-원
2017-11-21. 34일차(화)-명-위-원
2017-11-22. 35일차(수)4명130위32,000원
6주차2017-11-23. 36일차(목)1명21명147위10,000원195,000원
2017-11-24. 37일차(금)15명107위135,000원
2017-11-25. 38일차(토)3명142위30,000원
2017-11-26. 39일차(일)2명137위20,000원
합계 누적관객수 46,677명, 누적매출액 368,306,382원
개봉 첫 날에 8위를 차지했으며, 개봉 첫 주 11위에 그쳤다.


7.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5:30:08에 나무위키 마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구를 상징한다.[2]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신을 상징[3]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도널 글리슨과 실제로 형제지간이다.[4] 출처: 네이버[5]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 [6] 다만 미국인 중 성경(아담과 이브, 카인과 아벨 등등)을 모르는 관객은 없을테니, 이걸 이해못해 불호를 내린 관객은 없을 것이다. 오히려 상징이 너무 노골적이라 아쉬웠다는 반응이 많다.[7] 사람들이 아기를 도축해 나눠 먹는 장면[8] 실제로 신성모독에 해당되는 작품이 맞다. 지금은 중세가 아니기에 그냥 기분나빠하고 말지만 만약 중세에 이러한 시도를 했었다면...[9] 보통 3000만 달러 중저예산급 영화에 호불호가 갈리는 내용이라면 와이드 릴리즈로 풀리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제한적 상영으로 간을 본 뒤 확장하는 경우가 대다수.[10] 제니퍼 코넬리레이첼 바이스, 마리사 토메이, 나탈리 포트만, 엠마 왓슨이 대표적인 예시다. 특히 레이첼 바이스는 출연작 중 극강의 미모를 보여주었고, 코넬리와 토메이, 포트만은 역대 출연작 중에서도 보여주지 못한 인생 연기를 보여주었다. 왓슨도 매번 발목 잡던 헤르미온느 이미지가 애러노프스키 작품에서만큼은 안 보였으며, 연기력에 대한 칭찬이 많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