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터형 증기기관차

덤프버전 :

1. 개요
2. 제원
2.1. 마터 1형(Matei)
2.2. 마터 2형(Mateni)
3. 도입
4. 기타


1. 개요[편집]


일제 강점기에 도입된 4-8-2형 증기 기관차.

산악 지형의 효율적인 화물수송을 위해 도입되었고, 이에 이름도 산악형이라는 의미에서 산(Mountain)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의 첫 두 음절을 따서 지었다.


2. 제원[편집]



2.1. 마터 1형(Matei)[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마터1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atei-class locomotive
||
파일:kmt114.jpg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50량
차륜배치4-8-2
도입시기1939~1945년
제작사경성공작창, 기샤세이죠
차량 제원
전장23,270㎜
전폭3,200㎜
전고4,700㎜
궤간1,435㎜
중량기관차: 116.00t
탄수차: 85.80t
최고속도80㎞/h
밸브장치왈샤트식

2.2. 마터 2형(Mateni)[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마터2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ateni-class locomotive
||
파일:마터1형 증기기관차.jpg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34량
차륜배치4-8-2
도입시기1943~1946년
제작사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제원
전장23,266㎜
전폭- ㎜
전고4,600㎜
궤간1,435㎜
중량기관차: 112.82t
탄수차: 65.80t
최고속도90㎞/h
밸브장치왈샤트식


3. 도입[편집]


1943년부터 1944년까지 도입되었으며, 북한 지역에서 주로 여객 및 화물열차를 견인하였다, 하지만 남한에서는 주로 이 기종 대신 주로 미카형이 화물열차를 견인하였다.

그래도 일부 마터 1형은 분단이후 남한에서 운행된적이 있으며 자동급탄기의 설치를 비롯한 보일러 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로 구배선 화물 및 여객수송에 널리 투입되었다, 이 때문인지 한국철도 역사상 가장 뛰어난 증기 기관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4. 기타[편집]


파일:장단역기관차.jpg
현재 임진각에 수십년간 장단역에 방치되던 한준기 기관사의 마터 2형 10호 화통이 국가등록문화재 제78호로 지정되어 보존 중이며, 남한에선 전량 폐차되었다.

북한에서는 아직까지도 운행중인 것으로 추정된다.노인학대

여담으로 유일하게 남한에 남겨진 마터 2형은 마터 2형 34호(마지막으로 제작한 마터 2형)로 1946년 가와사키에서 제조되어 미군정 운수부에 소속되었고, 그후 대한민국 교통부로 번경되었다. 하지만 이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사진조차 위의 마터 2형 제원표의 사진 외에는 없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4:56:12에 나무위키 마터형 증기기관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