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호주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파일:덴마크 원형.pn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다자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S.A





파일:미국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호주
Australia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2. 21세기
2.2.1. 2020년대
3. 문화 교류
4. 경제 교류
5. 교통 교류
6. 대사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호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호주는 영국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미국과의 관계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양국은 파이브 아이즈에 속하기 때문에 호주는 미국과 협력관계중이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0세기[편집]


미국과 호주는 20세기에 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과 호주-뉴질랜드 연합군이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제국군에 맞서 전쟁을 치루었다. 미군은 과달카날 전투 이래 호주에 주둔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양국은 냉전 시절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멤버로서 협력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호주는 미국과 함께 남베트남군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군을 파병하였던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호주군 문서 참조.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이 뉴질랜드의 반발로 해체된 이후, 1987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호주를 주요 비나토 동맹국으로 지정하였다.[1]

2.2. 21세기[편집]


21세기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미국과 호주의 동맹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있다. 호주에는 미군이 주둔 중이다. 호주는 영연방 국가이면서 미국과의 협력이 많은 편이고 신냉전에서 아시아 태평양 방향에서 서방 진영을 대표하고 있다.

물론 호주가 이례적으로 미국을 비판하기도 한 적도 있었는데 2003년 이라크 전쟁 관련한 비판이었다. # 하지만 2003년 이라크 전쟁이 워낙 명분이 없던 전쟁이다보니 당시 미국을 비판한 서방 국가는 호주 뿐만이 아니었고,[2] 이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호주가 미군 측에 협조하였기 때문에 미국-호주 동맹 관계 자체가 흔들리지는 않았다.

중국이 일대일로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방향으로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자 미국은 호주, 인도, 영국과 함께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미국과 호주는 이미 인도-태평양에 참여중이다.

2019년에 미국과 호주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희토류 안정 공급 협력을 하고 계획을 발표했다.#


2.2.1. 2020년대[편집]


2020년 5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9월로 연기된 G7정상회의에서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를 초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호주측은 환영의 뜻을 밝혔고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6월 2일, 호주는 미국의 G7 정상회의 초청을 수락했다.#

코로나19로 인해 호주의 항공사 버진 오스트레일리아가 미국의 사모펀드에 인수될 예정이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미국 안보 포럼에서 틱톡을 금지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2020년부로 미국과 인도, 호주와 일본 이렇게 4개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안보회담 이른바 쿼드를 개최했다.

2021년 2월 1일, 미국 정부는 호주 회사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해 희토류 공장을 세웠다.#

미국과 호주, 영국이 AUKUS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 12월 6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호주 북부에 주둔한 미군을 증원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미국과 호주는 대만의 국제기구 진출을 지원한다는 뜻을 밝혔다.#

3. 문화 교류[편집]


호주와 미국이 영어권 국가들이기 때문에 문화교류도 많은 편이다. 호주인들중에도 미국으로 이주한 경우도 있고 미국인들의 호주 여행도 많은 편이다. 또한, 미국 영화도 호주에서 인기가 많은 편이다. 할리우드에는 호주 출신의 배우들이 많이 활약하고 있다. 니콜 키드먼, 휴 잭맨 등이 호주 출신의 배우 중 대표적 예이다.

호주 출신 록밴드 AC/DC(밴드)가 미국에서도 유명했으며, 영화 아이언맨의 배경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호주 영화계와 미국 영화계 사이의 교류가 활발한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영화 매드 맥스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호주 영화 문서 참조.

4. 경제 교류[편집]


호주 입장에서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다. 호주로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29%), 두 번째가 미국(11%)으로 나왔다.# 호주가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 역시 중국(43%)이었고 미국은 다섯번째(4.1%)였다. #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엄청난 무역 적자를 보는 반면, 호주와의 무역에서는 흑자를 보고 있고, 호주는 미국과의 무역에서는 적자를 보고 있지만 중국과의 무역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흑자를 내고 있는 삼각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은 미국 달러, 호주는 호주 달러를 사용한다. 호주 달러미국 달러 수준으로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대신 오세아니아에서 널리 통용이 되고 신뢰를 받고 있다.

미국과 호주는 경제적으로도 긴밀한 관계를 맺다보니 인적자원 교류도 많은 편이다. 2019년 기준 호주를 방문한 외국인 중 미국인은 764,000명으로 중국과 뉴질랜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5. 교통 교류[편집]


양국을 이어주는 항공노선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호주는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양국을 왕래하는 관광객들도 많은 편이며 미국인들의 호주 관광도 많은 편이다.[3]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다. 미국인들과 호주인들은 상대국을 자유롭게 왕래가 가능하고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하다.

6. 대사관[편집]


캔버라에 주 호주 미국 대사관, 워싱턴 D.C.에 주 미국 호주 대사관이 존재한다. 캐럴라인 케네디가 호주 대사로 임명됐다.#

7. 관련 문서[편집]



[1] 호주는 태평양 한가운데 위치한 국가라서 대서양 조약기구에 가입하기 애매한 입장이다.[2] 당시 캐나다조차 이라크 전쟁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으며, 미국을 가장 강도높게 비판하던 국가가 반서방 진영 국가가 아니라 서방 진영 국가였던 프랑스였다.[3] 호주빠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0:57:41에 나무위키 미국-호주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