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기운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3·5대 국회의원
박기운
朴己云
파일:박기운8.jpg
출생1912년 10월 3일
충청북도 청주군
(現 충청북도 청주시)
사망1993년 10월 24일 (향년 81세)
아호명암(明岩)
[ 펼치기 · 접기 ]

학력청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법학부/중퇴)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 3, 5(참)
경력청주근화비밀결사조직
경찰관취임
청주치안대,통일결사대조직
태극청년회충북지부청년부장
대한독촉청년연맹충북지부부위원장
대동청년단충북도단부단장
자유당충북도당부위원장
민주당충북중원군당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12년 충청북도 청주군에서 태어났다.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 법학부를 중퇴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청주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동청년단 민영복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헌국회의원동지회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이민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신관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독립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기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안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권영우 후보와 민주한국당 심헌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충북제1선거구[1]
무소속

7,693 (35.23%)당선 (1위)초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1선거구[2]
대한국민당

1,887 (8.31%)낙선 (5위)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

8,101 (33.20%)당선 (1위)재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1,361 (5.10%)낙선 (5위)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참의원

113,859 (12.80%)당선 (1위)3선[3]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2지역구[4]
ta-hash-start=w-1961d93172f8088a077c52e638e31f41[[파일:민정당 글자.svg
15,569 (23.24%)낙선 (3위)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국독립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648 (1.88%)낙선 (3위)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서울제4선거구[5]

13,210 (3.64%)낙선 (6위)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42:25에 나무위키 박기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청주부[2] 청주시[3] 제1부[4] 청원군[5] 동대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