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덤프버전 :

베이징 지하철 운행 노선
[ 펼치기 · 접기 ]

시내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18호선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28호선
교외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선 아이콘.svg핑구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아이콘.svg
자기부상열차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
노면전차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아이콘.svg
공항철도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아이콘.svg파일: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北京地铁 8号线
Beijing Subway Line 8
베이징 지하철 8호선
||
파일:朱辛庄站北京地铁8号线列车2.jpg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12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주신좡역
종점잉하이역
역 수31
노선기호8
노선번호8호선
개업일2008년 7월 18일
소유자파일:20190522_033049.jpg
베이징시
운영자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차량기지핑시푸차량영업소
사용차량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12형 전동차[1]
노선 제원
노선연장45.6 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폐색방식이동폐색식
보안장비Siemens Trainguard MT RF-CBTC
최고속도80km/h

1. 개요
2. 차량
3. 노선



1. 개요[편집]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중국 베이징시 창핑구(昌平区) 주신좡역(朱辛庄站)에서부터 베이징시 다싱구(大兴区) 잉하이역(瀛海站)을 잇는 베이징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이다.

2008 베이징 올림픽 개최에 맞추어 계획되었으며, 노선 색은 녹색이다. 2008년 7월 18일 첫 개통 당시에는 선수, 관계자, 티켓을 가지고 있는 관람객만 승차할 수 있었으며, 일반인에게 개방된 것은 2008년 9월 20일부터였다. 10호선과의 환승역인 베이투청역(北土城站)이 1기 종점이었다. 베이징 올림픽을 기념하여 개통한 노선이지만 이용객 수는 그야말로 시망. 그도 그럴 것이 초기 개통 형태는 무슨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과 신정지선마냥 딱 베이투청역에서 썬린궁위안난먼역까지 3개 역간으로 툭 튀어나와 있는 형태였다(...)[2] 이후 2011년 북쪽으로 후이룽관둥다제역까지 노선을 연장하여 13호선과도 환승되도록 하였지만[3] 여전히 이용객 수는 적었다. 유일한 용도는 CGV가기 뿐이다.

그러나 2013년 12월 28일, 중궈메이수관역까지 2기 공사가 완성되며 창핑구에서 도심까지 직통할 수 있게 되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2018년 12월 30일에는 주스커우역 - 잉하이역 간 남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북부 구간도 중궈메이수관역역까지 1역이 연장되었다. 2021년 12월 31일 드디어 중궈메이수관역 - 주스커우역 간 중부 구간 개통으로 북부 구간과 남부 구간이 하나로 연결되어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땅값 살인적이었을텐데[4]


2. 차량[편집]


  • SFM12형(1차분)
2010~2012년 사이에 주신좡역~썬린궁위안난먼역, 베이투청역~난뤄구샹역 구간 개통분으로 6량 39편성이 도입됐다. 2008년 선개통 때~2011년 사이에 10호선 전동차가 임시로 운행했다.어? 소자는 미쓰비시제 IGBT이다. 구동음은 현대로템 IPM 구동음과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미쓰비시 IGBT 구동음을 합성된 느낌이 난다.
  • SFM42형(2차분)
2016~2018년 사이에 난뤄구샹역~잉하이역 구간 개통분으로 6량 73편성이 도입됐다. 위의 SFM12형과 비교하면 외형 차이가 별로 없으나 구동음이 기존의 미쓰비시 IGBT에서 중국중차 주저우시대전기제 IGBT로 바뀌었다. 일부 한 편성에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를 적용한 차량이 있다.

3. 노선[편집]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노선도.png
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승강장행정구역환승노선
주신좡朱辛庄■││■창핑구파일: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아이콘.svg창핑선
위즈루育知路■││■
핑시푸平西府■││■
후이룽관둥다제回龙观东大街│■│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13A호선
훠 잉霍营│■│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13호선
위 신育新│■│창핑구
하이뎬구
시샤오커우西小口│■│하이뎬구
융타이좡永泰庄│■│
린취차오林萃桥│■│차오양구
썬린궁위안난먼森林公园南门│■│
아오린피커궁위안奥林匹克公园│■│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15호선
아오티중신奥体中心│■│
베이투청北土城│■│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10호선
안화차오安华桥│■│시청구
차오양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12호선
안더리베이제安德里北街│■│둥청구
구러우다제鼓楼大街│■│둥청구
시청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2호선
스차하이什刹海│■│
난뤄구샹南锣鼓巷■│
■│
둥청구파일:베이징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3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6호선
중궈메이수관中国美术馆│■│
진위후퉁金鱼胡同│■│
왕푸징王府井│■│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1호선
첸 먼前门│■│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2호선
주스커우珠市口│■│둥청구
시청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7호선
톈차오天桥│■│
융딩먼와이永定门外│■│둥청구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14호선
무시위안木樨园│■│
하이후툰海户屯│■│펑타이구
다훙먼[미개통]大红门│■│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10호선
다훙먼난大红门南│■│
허 이和义│■│
둥가오디东高地│■│
훠지안완위안火箭万源│■│
우푸탕五福堂│■│다싱구
더마오德茂│■│
잉하이瀛海│■│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2:27:54에 나무위키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8년 1차 개통 당시(올림픽 지선 시기)에는 10호선의 DKZ15형을 공용으로 사용했다. 2011년 2차 구간 개통 이후 현재의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2] 초창기 개통 당시에는 올림픽 지선이란 뜻으로 아오윈즈시엔 (奥运支线) 이라고 불렸다. 당연히 본선은 베이투청역에서 만나는 베이징 지하철 10호선이 본선이다. 차량까지 10호선의 DKZ15형을 공용으로 사용했을 정도니 지선이라는 표현이 무리가 아니었던 셈이다. #[3] 지금도 가끔 해당 역에서 출발/종착하는 열차가 있다.[4] 중국에서는 토지는 원칙적으로 국가소유라 보상이 필요 없다. 물론 건물은 70년 임대로 실질적인 소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동산투기가 횡행하는것은 마찬가지이지만 그래서 건설비 부담이 크게 주는것은 당연지사인것이다. 다만 임대된 토지에 관해서는 보상금이 어느정도 필요하다.[미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