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루동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 중구역
경루동
瓊樓洞
Kyŏngru-dong
||
파일:경루동.jpg
지역관서
면적0.20㎢[1]
평양시
중구역
시간대UTC+9
인구미상(약 800여세대)
인구밀도미상

1. 개요
2. 역사
3. 보통강 강안 다락식 주택구



1. 개요[편집]


瓊樓洞 / Kyongru-dong

북한 평양시 중구역의 하위 행정구역.

'보통강강안다락식주택구(普通江江岸다락式住宅區)'에 설치한 신설 행정구역이다. # "보통강강안다락식주택구의 행정구역명칭을 평양시 중구역 경루동으로 한다."라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690호에 따라 설치되었다. 규모는 800세대이며, 호동 수는 최소 42호동으로 추정된다.[2]

북한 내에서도 최상류층들이 거주하는 곳으로,[3] 남한으로 치면 한남더힐과 비슷한 포지션이다.[4]


2. 역사[편집]





[풀버전]

3. 보통강 강안 다락식 주택구[편집]







북한 당국 입장에서 경루동에다가 평양에 사는 노동자들을 입주시킨 것은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외부에 과시하겠다는 생각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북한이 남한 이상으로 빈부격차가 극심하단 것을 예기치 않게 공인한 꼴이 되었다. 전술한 것처럼 지방의 노동자들은 수십년간 일해도 작은 집 하나 받지도 못하는데 평양의 노동자들은 김정은 눈에 들어오기만 하면 호화주택을 하사받는 판이니 이제는 노동자의 처우까지 평양에 사느냐 안 사느냐에 따라 갈라져 자신들이 공산주의 정신을 버린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스스로 보여줬기 때문이다. 북한 전역은 말할 것도 없고 평양 내에서도 노동자들의 처우 격차가 극도로 심하단 것이 만천하에 드러났기에 이를 본 지방의 노동자들이 큰 박탈감을 느꼈을 것이란 것은 안 봐도 뻔하다.[14] 모든 노동자들은 평등하다. 하지만, 어떤 노동자들은 다른 노동자들보다 더욱 평등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3:07:33에 나무위키 경루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남더힐(약 0.11㎢)의 2배 가량 된다.[2] 물론 더 있을 수도 있다.[3] 사실 우리가 아는 의미에서의 '최고위층'이 사는 곳은 아니며, 정확히는 북한 체제에 충성하는 등의 이유로 김정은의 마음에 든 사람들과 그 가족이 거주하는 곳으로 보인다.[4] 이 때문인지 남한 인터넷에서는 '북남더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일반인출입통제구역] [풀버전] 같은 날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리춘히 아나운서가 보도한 내용을 풀버전으로 올렸다. 즉, 리춘히는 자기 입으로 '리춘히'가 집을 받았다고 방송에서 보도한 셈이다.(...)[5] 살림집은 '주택'을 직역한 표현인데, 국내 언론에서는 그냥 직독직해하면 알아들을 수 있는 표현이므로 딱히 해설을 달지 않는다. 한국에서도 종종 쓰이는 만큼 이걸 북한만의 말이라고 단정지으면 한국에서 쓰이는 말이 부당한 이유로 사라진다는 이유도 있다. #[6] 리춘히는 방송 도중 이 지구 7호동에 거주한다고 스스로 밝혔다.[7] 정치논평의 약자로, 조선말대사전에 따르면 '예리한 정치적 일반화나 형상적 표현 그리고 주정토로로서 사회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의 본질을 밝혀내고 그에 대한 필자의 견해와 입장을 강렬하게 표명하는 기사'이다. #[8] 여담으로 동태관은 '쪽잠에 줴기밥(주먹밥)'의 원조가 되는 인물이다. 고난의 행군 때 김정일에 대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장군님께서 나라의 긴장한 식량 사정을 해결하시려고 매일 현지지도의 차 안에서 쪽잠을 자고 줴기밥으로 끼니를 때우시고 있다"는 내용의 칼럼 '장군님과 쪽잠, 줴기밥'을 썼고, 이 칼럼은 김정일에 대한 불만을 단순에 잠재워버렸으며, 당연히 동태관은 김정일로부터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이라 칭송받았다. 이런 '공로' 덕분에 2001년에는 김일성상, 2015년 10월에는 김일성훈장을 수여받았다. 그 리춘히도 김일성훈장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동태관이 어느 정도로 김정은 입맛에 맞는 기사를 쓰는지를 알 수 있다.[9] 동태관은 경루동 집을 수여받은 직후인 2022년 5월 3일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을 찬양하는 기사 '주체 강국의 위대한 승리의 기치 우리의 김정은 원수'를 썼는데, 이 기사는 북한에서 쓰는 김정은 찬양 기사 중에서도 극히 노골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 #2 김일성훈장 수여 약 반년 전인 2015년 4월 27일 쓴 정론 <태양은 조선에 있다>에서는 '북한이 미국 본토에서 '정의의 핵대전'을 벌여 워싱턴 D.C를 함락하고 지구에서 미국을 없애버릴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했다. #[10] 한남더힐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에 완공되었다.[11] 경루동의 '루(樓)'는 '다락'을 의미한다.[12] 북한이 진정으로 민생에 관심이 없고 보여주기식 치적물에만 관심이 있다는 것의 일례로 평양종합병원도 경루동보다 규모가 훨씬 작지만 의료기기를 들여올 돈이 없다며 이 주택 지구가 완공될 때 완공을 못했다. 즉 현 북한은 최충성층들을 위한 호화 주택 단지를 지어줄 돈은 있는데 새로 지은 병원을 위한 의료기기를 들여온 돈은 없는 모순된 상황인 것이다.[13] 일례로 평안북도의 기계공장 선반공은 자신도 수십년간 묵묵히 일하며 당에 충성을 바쳐왔는데 아직 국가로부터 작은 단층집 하나도 공급받지 못했다고 전하며 체제선전에 앞장서고 있는 당의 나팔수들이 고급주택을 선물 받는 모습을 보니 자신 같은 사람은 이 나라에서 사람 값에 들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14] 구글 어스로 보면 평양도 선교구역, 락랑구역처럼 빈민가가 많은 동네들은 구룡마을, 104마을 이상으로 열악한 판자집들이 숨 쉴 틈도 없이 빽빽하게 밀집되어 있다. 물론 북한은 대외에 평양을 선전할 때 평양의 빈부격차가 드러나는 이러한 모습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다. 링크 하단에 평양의 빈민가 사진이 나온다.[15] 또는 '깜짝 놀랄'/'그 황홀경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억만장자들이나 살 수 있는'. 애초에 이런 표현이야말로 북한에서 해외 부자들의 진짜 생활이 어떠한지를 주민들에게 알려주지 않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증거이며, 인터넷이 금지된 상황에서 이런 선전만 접하고 이에 세뇌당한 북한 주민들은 경루동이 해외 억만장자들도 부러워할 수준의 집이라는 선전을 진실처럼 받아들이게 된다.[16] 이 정도 에어컨은 방 하나를 커버하는 정도지 넓직한 거실에는 택도 없다.[17] 이조차 모든 건물이 18시간 전력을 공급받는 게 아니라,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만수대거리를 잇는 1선 도로 바로 옆 호동들에 18시간 전기를 보내주고, 그 외 호동들에는 전기를 조금씩 줄여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마당이다.[18] 탈북자 김련희가 운영하는 왈가왈북 채널의 영상인데, 채널에 북한의 실상을 미화하는 영상이 많다는 것은 감안하고 보자.[19] 참고로 전자에는 심지어 정수기도 있다.[20] 중국 현지에서 주방용 후드는 중국 현지에서 499위안(한화 약 10만 원)에 판매되는데, 북한의 위안화 환율이 1위안당 북한 돈 800원 수준이란 것과 기사 작성 시기 기준으로 북한에서 쌀 1㎏이 약 6000원대에 거래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499위안으로는 쌀 66kg을 살 수 있던 셈이다. 북한 주민의 평균 쌀 소비량이 50~60kg이란 것을 감안하면 북한 주민 입장에서는 엄청난 거액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