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로냐 FC 1909

덤프버전 :

파일:세리에 A 로고.sv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SSC 나폴리|[[파일:SSC 나폴리 로고.svg|height=40]]]][br]
[[SSC 나폴리|{{{#ffffff '''나폴리'''}}}]]
||<width=25%> [[SS 라치오|[[파일:SS 라치오 로고.svg|height=40]]]][br]
[[SS 라치오|{{{#003976 '''라치오'''}}}]]
||<width=25%> [[US 레체|[[파일:US 레체 로고.svg|height=40]]]][br]
[[US 레체|{{{#C99D66 '''레체'''}}}]]
||<width=25%>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40]] ]][br]
[[AS 로마|{{{#fbba00,#ffbe03 '''로마'''}}}]]
|| ||<height=80> [[AC 몬차|[[파일:AC 몬차 로고.svg|height=40]]]][br]
[[AC 몬차|{{{#ffffff '''몬차'''}}}]]
||<width=25%> [[AC 밀란|[[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40]]]][br]
[[AC 밀란|{{{#000000 '''밀란'''}}}]]
||<width=25%> [[엘라스 베로나 FC|[[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height=40&theme=light]][[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height=40&theme=dark]]]][br]
[[엘라스 베로나 FC|{{{#002f6c '''베로나'''}}}]]
||<width=25%> [[볼로냐 FC 1909|[[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height=40]]]][br]
[[볼로냐 FC 1909|{{{#dedee2 '''볼로냐'''}}}]]
|| ||<height=80> [[US 사수올로 칼초|[[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height=40]]]][br]
[[US 사수올로 칼초|{{{#000000 '''사수올로'''}}}]]
||<width=25%> [[US 살레르니타나 1919|[[파일:US 살레르니타나 1919 로고.svg|height=40]]]][br]
[[US 살레르니타나 1919|{{{#ffffff '''살레르니타나'''}}}]]
||<width=25%> [[아탈란타 BC|[[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height=40]]]][br]
[[아탈란타 BC|{{{#ffffff '''아탈란타'''}}}]]
||<width=25%> [[엠폴리 FC|[[파일:엠폴리 FC 로고.svg|height=40]]]][br]
[[엠폴리 FC|{{{#ffffff '''엠폴리'''}}}]]
|| ||<height=80> [[우디네세 칼초|[[파일:우디네세 칼초 엠블럼.svg|height=40]]]][br]
[[우디네세 칼초|{{{#9f804d,#b2935f '''우디네세'''}}}]]
||<width=25%> [[유벤투스 FC|[[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40&theme=light]][[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height=40&theme=dark]]]][br]{{{#000,#FFF
[[유벤투스 FC|{{{#FFF,#000 '''유벤투스'''}}}]]
}}} ||<width=25%>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height=40]]]][b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FFF '''인테르'''}}}]]
||<width=25%> [[제노아 CFC|[[파일:제노아 CFC 엠블럼 (2023).svg|height=40]]]][br]
[[제노아 CFC|{{{#fed508,#f7ce00 '''제노아'''}}}]]
|| ||<height=80> [[칼리아리 칼초|[[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height=40]]]][br]
[[칼리아리 칼초|{{{#FFF '''칼리아리'''}}}]]
||<width=25%> [[토리노 FC|[[파일:토리노 FC 엠블럼.svg|height=40]]]][br]
[[토리노 FC|{{{#ffffff '''토리노'''}}}]]
||<width=25%> [[프로시노네 칼초|[[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height=40]]]][br]
[[프로시노네 칼초|{{{#ffdd00 '''프로시노네'''}}}]]
||<width=25%> [[ACF 피오렌티나|[[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height=40]]]][br]
[[ACF 피오렌티나|{{{#ffffff '''피오렌티나'''}}}]]
|| ||<-4><bgcolor=#007d32> [[틀:세리에 B|[[파일:세리에 B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height=40]] {{{#ffffff ▶}}}]] || ||<-4> {{{-1 [[틀:라리가|[[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세리에 A|[[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틀:프리메이라 리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br][[틀:쉬페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틀: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0]] A 카티고리아스]]|[[틀: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br][[틀:프르바 HNL|[[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HNL]]|[[틀: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틀: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리갓 하알]][br][[틀:파르바 리가|[[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 파르바 리가]]|[[틀:리가 I|[[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0]] 리가 I]]|[[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리가]]|[[틀: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0]]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틀: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몰타 국기.svg|width=20]] 몰타 프리미어 리그]][br][[틀: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0]] 코소보 수페르리가]]|[[틀: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20]] 풋볼 리그]]|[[틀:프르바 CFL|[[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0]] 프르바 CFL]][br][[틀: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지오]]|[[틀: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20]]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
볼로냐 FC 1909
Bologna FC 1909
정식 명칭Bologna Football Club 1909 SpA
별칭Rossoblu (Red-Blues)
약칭BOL
창단1909년 10월 3일 (114주년)[1]
소속 리그세리에 A (Serie A)
연고지에밀리아 로마냐 주 볼로냐 (Bologna)
홈구장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Stadio Renato Dall'Ara)
(39,444명 수용)
라이벌파르마 칼초 1913 - 데르비 델에밀리아
소유주사푸토 Inc. (99.93%)
구단주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이 사푸토 (Joey Saputo)[2]
감독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티아고 모타 (Thiago Motta)
주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토 소리아노 (Roberto Soriano)
공식 웹사이트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리에 A
(7회)
1924-25, 1928-29, 1935–36, 1936-37, 1938-39, 1940-41, 1963-64
코파 이탈리아
(2회)
1969-70, 1973-74
UEFA 인터토토컵
(1회)
1998
미트로파컵
(3회)
1932, 1934, 1961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2019년, From 유벤투스 FC, 1,500만 유로)
최고 이적료 방출시모네 베르디 (Simone Verdi)
(2018년, To SSC 나폴리, 2,450만 유로)
최다 출장자코모 불가렐리 (Giacomo Bulgarelli) 490경기 (1959년~1975년)
최다 득점안젤로 스키아비오 (Angelo Schiavio) 249골 (1922년~1939년)

1. 개요
2. 역사
2.1. 시즌별 리그 순위
3. 현재 선수단
4. 역대 주요 인물



1. 개요[편집]


이탈리아 볼로냐를 연고로 하는 세리에 A의 프로 축구 클럽.


2. 역사[편집]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1993~2018).svg
1993년~2018년까지 쓰던 엠블럼.
1909년에 오스트리아인 에밀리오 아른스테인(Emilio Arnstein)에 의해 조직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유벤투스 FC와 더불어 세리에 A를 주름잡던 시절도 있었다. 1934년 월드컵 당시 대표팀 주전 센터포워드였던 안젤로 스키아비오를 앞세워 세리에 A가 창립되기 이전에 2회(1924-25, 1928-29) 이탈리아 챔피언 자리를 차지했으며 1929년 세리에 A의 창립 이후에도 1935-36 시즌의 2연패를 포함하여 1941년까지 4번의 스쿠데토를 획득했다. 2차 대전 이후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고 있었지만 1963-64 시즌에 23년만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1969-70, 1973-74 시즌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했다.

그런데 1980년대 들어 팀은 침체되었다. 1981-82 시즌은 15위로 리그 창설 이후 최초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다음 시즌에는 세리에 C1까지 강등되었다. 1시즌만에 세리에 C1을 벗어났으나, 세리에 A 복귀는 1988-89 시즌이 돼서야 가능했다. 세리에 A 복귀 후에도 기세는 계속되지 않고, 불과 3시즌 만에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다시 2년 후에는 세리에 C1으로 강등되었다. 1993년 운영 회사가 경영 위기에 빠져 새로운 회사 볼로냐 FC 1909를 설립하고 다시 출발을 하는 사태도 일어났다.

1990년대 후반에는 세리에 A에 복귀하며 UEFA컵에도 출전하는 등 나름 부활의 조짐은 있었지만 2004-05 시즌은 18위로 부진에 빠지며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2008-09 시즌에 세리에 A로 복귀했지만, 이후에도 강등 다툼에 휘말리게 시즌이 계속되고 있다.

2010년 12월 23일, 은행가 조반니 콘소르테와 커피 사업가 마시모 차네티에 의한 볼로냐 2010 컨소시엄은 세르지오 포르세다에게서 클럽의 경영을 취득을 이끌었다. 포르세다 회장은 짧은 경영 기간 동안에 볼로냐의 임금 채불을 하지 않았고 파산할 위협에게 쳐하게 했다. 차네티가 새로운 클럽의 회장이 되었고 이탈리아의 유명한 뮤지션이자 볼로냐의 오랜 서포터인 잔니 모란디가 명예 회장에 임명됐다. 2011년 1월 21일 마시모 자네티 회장과 루카 바랄디 CEO가 단지 28일만에 경영 파트너로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의 차이로 사임했다. 새 단장으로는 스테파노 페드렐리가 내정되었다. 76일간 회장직은 마르코 파비냐니가 맡았다.

그러나 이후 재정난이 다시 시작되었고, 2014년 10월 미국 뉴욕 연고의 변호사 조 타코피나와 미국 스포츠 투자 그룹 파크 레인, 캐나다 낙농 기업가 조이 사푸토가 공동으로 투자한 북미 투자자 그룹에 인수되었다. 10월 16일 새로 클럽 이사회가 조직되었고, 조 타코피나가 새로운 구단주로 선출되었다.

2013-14 시즌에 5승 14무 19패 승점 29점을 기록하며 19위로 강등되었다. 2014-15 시즌. 세리에 B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승격 플레이오프 4강에서 아벨리노를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고, 결승에서 페스카라를 꺾고 강등된지 1년만에 세리에 A로 복귀하게 되었다.

그 뒤로 쭉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09-103테르차 카테고리아 에밀리아1
1910-111프리마 카테고리아
1911-121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1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1프리마 카테고리아
1914-151프리마 카테고리아
1915-16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16-17
1917-18
1918-19
1919-201프리마 카테고리아
1920-211프리마 카테고리아
1921-221프리마 카테고리아
1922-231프리마 디비시오네
1923-241프리마 디비시오네
1924-251프리마 디비시오네1
1925-261프리마 디비시오네
1926-271프리마 디비시오네2
1927-281프리마 디비시오네5
1928-291프리마 디비시오네1
1929-301세리에 A7
1930-311세리에 A3
1931-321세리에 A2
1932-331세리에 A3
1933-341세리에 A4
1934-351세리에 A6
1935-361세리에 A1
1936-371세리에 A1
1937-381세리에 A5
1938-391세리에 A1
1939-401세리에 A2
1940-411세리에 A1
1941-421세리에 A7
1942-431세리에 A6
1943-44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4-45
1945-461세리에 A6
1946-471세리에 A5
1947-481세리에 A8
1948-491세리에 A5
1949-501세리에 A15
1950-511세리에 A6
1951-521세리에 A16
1952-531세리에 A5
1953-541세리에 A6
1954-551세리에 A4
1955-561세리에 A5
1956-571세리에 A5
1957-581세리에 A6
1958-591세리에 A10
1959-601세리에 A5
1960-611세리에 A9
1961-621세리에 A4
1962-631세리에 A4
1963-641세리에 A1
1964-651세리에 A6
1965-661세리에 A2
1966-671세리에 A3
1967-681세리에 A5
1968-691세리에 A9
1969-701세리에 A10
1970-711세리에 A5
1971-721세리에 A11
1972-731세리에 A7
1973-741세리에 A9
1974-751세리에 A7
1975-761세리에 A7
1976-771세리에 A7
1977-781세리에 A12
1978-791세리에 A13
1979-801세리에 A7
1980-811세리에 A7
1981-821세리에 A15
1982-832세리에 B18
1983-843세리에 C1 A조2
1984-852세리에 B9
1985-862세리에 B6
1986-872세리에 B10
1987-882세리에 B1
1988-891세리에 A14
1989-901세리에 A8
1990-911세리에 A18
1991-922세리에 B11
1992-932세리에 B18
1993-943세리에 C1 A조4
1994-953세리에 C1 A조1
1995-962세리에 B1
1996-971세리에 A7
1997-981세리에 A8
1998-991세리에 A9
1999-001세리에 A11
2000-011세리에 A10
2001-021세리에 A7
2002-031세리에 A11
2003-041세리에 A12
2004-051세리에 A18
2005-062세리에 B8
2006-072세리에 B7
2007-082세리에 B2
2008-091세리에 A17
2009-101세리에 A17
2010-111세리에 A16
2011-121세리에 A9
2012-131세리에 A13
2013-141세리에 A19
2014-152세리에 B4
2015-161세리에 A14
2016-171세리에 A15
2017-181세리에 A15
2018-191세리에 A10
2019-201세리에 A12
2020-211세리에 A12
2021-221세리에 A13
2022-231세리에 A9


3. 현재 선수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볼로냐 FC 2023-24 시즌 스쿼드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프란체스코 바르디Francesco Bardi
3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DF슈테판 포슈Stefan Posch
4파일:우루과이 국기.svgDF호아킨 소사Joaquín Sosa
5파일:프랑스 국기.svgDF아다마 수마오로Adama Sumaoro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리카르도 오르솔리니Riccardo Orsolini
8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니콜라스 도밍게스Nicolás Martín Domínguez
10파일:스웨덴 국기.svgFW예스페르 칼손Jesper Karlsson
11파일:네덜란드 국기.svgFW조슈아 지르크제이Joshua Zirkzee
14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케빈 보니파지Kevin Bonifazi
15파일:덴마크 국기.svgDF빅토르 크리스티안센Victor Kristiansen[1]
17파일:모로코 국기.svgMF우사마 엘 아주우쥐
18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안토니오 라이몬도Antonio Raimondo
19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MF루이스 퍼거슨Lewis Ferguson
20파일:스위스 국기.svgMF미셸 애비셔Michel Aebischer
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로베르토 소리아노Roberto Soriano주장
22파일:그리스 국기.svgDF차랄람보스 리코지아니스Charalampos Lykogiannis
23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니콜라 바뇰리니Nicola Bagnolini
26파일:콜롬비아 국기.svgDF혼 루쿠미Jhon Lucumí
28파일:폴란드 국기.svgGK우카시 스코룹스키Łukasz Skorupski
29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로렌초 데 실베스트리Lorenzo De Silvestri부주장
31파일:네덜란드 국기.svgDF샘 뵈케마Sam Beukema
33파일:네덜란드 국기.svgDF덴소 카시우스Denso Kasius
50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안드레아 캄비아소Andrea Cambiaso[C]
55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에마누엘 비냐토Emanuel Vignato
66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위스덤 아메이Wisdom Amey
82파일:폴란드 국기.svgMF카츠페르 우르반스키Kacper Urbański
99파일:감비아 국기.svgFW무사 바로우Musa Barrow
구단 정보
회장: 조이 사푸토 / 감독: 티아고 모타 / 구장: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9월 12일
[1] 레스터 시티 FC에서 임대[C] 유벤투스 FC에서 임대





4. 역대 주요 인물[편집]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 가입자 중 볼로냐에서 활약한 적 있는 선수들을 추렸다.

[1] #[2] 이탈리아계 캐나다인으로, 치즈 브랜드 사푸토의 경영자다. MLS 소속팀인 앵팍트 드 몽레알의 구단주도 역임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2:09:42에 나무위키 볼로냐 FC 190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