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좌현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부좌현
夫佐炫 | Boo Jwa-hyun
파일:부좌현의원.jpg
출생1956년 5월 13일 (68세)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하도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1])
본관제주 부씨[2]
종교천주교(세례명: 오토네)
학력목포유달국민학교 (졸업)
목포중학교 (졸업)
목포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철학 77 / 명예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 / 학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3])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9
경력새정치국민회의 창당발기인
천정배 국회의원 보좌관
제5대 경기도의회 의원 (민선 2기 /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 비서실장
제19대 국회의원 (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 /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 새로운대한민국위원회 산업안전분과 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부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다문화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위원장
국민의당 수석사무부총장
민주평화당 경기도당 위원장
민주평화당 안산시 단원구 을 지역위원장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 원외준비위원장
안산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제19대 국회의원(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을 지낸 정치인이다.

독립유공자 부승림은 부좌현의 조부 부임규(夫壬奎, 1892. 10. 17 ~ 1967. 6. 1)[4]의 6촌 재종제(再從弟)로, 부좌현에게는 8촌 지간의 삼종조부(三從祖父)가 된다.


2. 생애[편집]


1956년 5월 13일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서 아버지 부화용(夫華容, 1923. 6. 18 ~ 1982. 2. 18)과 어머니 제주 고씨 고성화(高性華, 1925. 3. 20 ~ )[5] 사이의 4남 5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경상남도 울산시(現 울산광역시)로 이주해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국민학교 6학년 때 목포시 중동으로 이주하여 목포유달국민학교, 목포중학교, 목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철학과(77학번)에 입학했다. 그러나 서강대학교 재학 중에 민주화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정학 처분을 받고 군대에 강제 징집되었고, 2년간 복무하다가 의병전역했다. 1980년 복학했으나 서울의 봄 시절 시위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다시 제적되었다. 그 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2006년 2월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여 천정배의 선거운동을 도우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민선 2기 경기도의원을 지냈고, 민선 3기에도 재도전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천정배가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를 지낼 때 비서실장을 맡았고,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안산시장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주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안산시 단원구 을 선거구[6]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여 현역 박순자 의원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제2차 컷오프(공천 배제) 대상이 되었으며, 재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겨 출마하였다. 그러나 본선에서 새누리당 박순자 후보에게 패하면서 낙선하였다.[7]

2018년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에 반대하여 민주평화당 창당에 합류해 민주평화당 경기도당 위원장을 맡았다. 2019년 8월 14일 탈당하여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에 참여하며 원외준비모임 준비위원장을 맡았다. 대안신당을 거쳐 민생당 소속이었다가 김남국 후보를 지지하며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2021년 1월 1일, 안산시청소년재단의 대표이사에 취임하여 2년간 역임하였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25485df232e188a3f3e514ee1c9de020[[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0창당
정계 입문

ta-hash-start=w-8be8d5f3dc20062b39732858ab504e2b[[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3합당[8]

무소속

2003탈당[9]

ta-hash-start=w-7cdace91c487558e27ce54df7cdb299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3 - 2007창당

ta-hash-start=w-7561268f482dd892b44d6670cd010e8f[[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합당[10]

ta-hash-start=w-cc56f342b0dc3f74024688bf135beab4[[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11]

ta-hash-start=w-b0e9bec72fddebfe8676e0f509ab99be[[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변경

ta-hash-start=w-bd6dd73b5ea38bdbc9b64a9639a85e66[[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12]

ta-hash-start=w-448eef665e17d4284741fb76ac4e7eea[[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5106cad7cd382c408b75bd4f634d0f7c[[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1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6당명 변경

무소속

2016탈당[14]

ta-hash-start=w-eed43ed95207149ced1c0f1f8a2c0f67[[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 - 2018입당

무소속

2018탈당[15]

ta-hash-start=w-83720c7e92a6b20eced2840eda6d27a0[[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19창당

무소속

2019 - 2020탈당[16]

ta-hash-start=w-b105e5a192f80ef3ec4ee4756af089a3[[파일:대안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창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17]
2020탈당[18]
2020 - 현재복당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안산 4 20,440 (58.93%)당선 (1위)초선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15,363 (39.26%)낙선 (2위)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안산시장51,027 (26.13%)낙선 (2위)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안산 단원 을 29,176 (48.90%)당선 (1위)초선[19]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21,693 (33.18%)낙선 (2위)


5. 둘러보기[편집]






[1] #. 인근의 상도리, 세화리, 평대리와 함께 제주 부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부덕량·부승림도 이 마을 출신이다.[2] 협공계(恊公系) 23세 현(炫) 항렬.[3] 석사 학위 논문 : 주민참여확대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 안산시 주민자치위원의 인식분석을 중심으로(2006. 2).[4] 조모 경주 김씨(1889 ~ 1920. 6. 23)는 8촌 삼종조부 부승림의 어머니 김씨(1881. 10. 19 ~ 1961. 1. 28)의 여동생으로, 부좌현에게는 재종증조모(再從曾祖母)가 된다.[5] 고만보(高萬寶)의 딸이다.[6] 당시 공천경선에서 꺾었던 사람이 현 서울 양천구 갑 재선의원인 황희문화체육관광부장관 이다.[7] 비슷한 사례로는 정호준 의원이 있다. 정호준 의원도 더불어민주당에서 컷오프를 당해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겨 출마했지만 본선에서 지상욱 의원에 패하면서 낙선되었다.[8]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9]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0]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1]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12]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3]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4]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1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7]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18]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19] 2016.3.17 탈당 및 국민의당 입당 (공천불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