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구 제2선거구(울산)

덤프버전 :

||
파일:북구_제2선거구(울산)8.png
선거인 수62,295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
농소2동, 농소3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문석주 (재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북구의 농소2,3동 일대를 관할한다.

원래 보수 성향이 강하던 지역이였으나, 점점 보수세가 약화되어 5회 지선민주노동당이 이 곳을 탈환하기도 하였고, 울산을 온통 붉은 빛으로 물들인 6회 지선에서는 다시 새누리당이 승리하였다가, 더불어민주당이 유례없는 압승을 거둔 7회 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탈환하기도 했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북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다. 애초에 공단 지역이라 국민의힘의 친기업 정책에 반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고, 북구 제1선거구에는 농소1동, 북구 제3선거구에는 강동동, 효문동의 보수세가 있는 반면 여긴 그러한 역할을 할 곳도 없다.

여담으로 민선 4기 강석구북구청장의 시의원 시절 지역구가 이 곳이였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북구 제1선거구
제2대강석구
무소속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북구 제2선거구
제3대강석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6년[4][5]
제4대이방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5대이은영
ta-hash-start=w-a6cd3550e6ba71f30f2db15a5d971c9c[[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6대문석주
ta-hash-start=w-68579a2a1b3f242d15011c629a01e14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백운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문석주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만기(姜萬基)9,046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2.40%낙선
4강석구(姜錫求)12,8241위

무소속

57.59%당선
선거인 수35,455투표율
62.04%
투표 수21,997
무효표 수667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구(姜錫求)8,44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05%당선
3이성근(李成根)7,4692위

ta-hash-start=w-4aacdfc0ded0f8de24c916f470f2a00a[[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46.94%낙선
선거인 수29,358투표율
55.25%
투표 수16,221
무효표 수312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방우(李方雨)10,00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4.28%당선
4김대영(金大永)8,4282위

ta-hash-start=w-4e9f20772a3fa0c83f76dae9c6e06008[[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45.71%낙선
선거인 수34,321투표율
54.48%
투표 수18,699
무효표 수262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석주(文碩柱)11,846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55%낙선
5이은영(李銀英)13,6001위

ta-hash-start=w-d4adf03f1afddef9a86042ff6df9dc2e[[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53.44%당선
선거인 수47,627투표율
54.11%
투표 수25,771
무효표 수325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3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석주(文碩柱)15,4211위

ta-hash-start=w-0b518a250c90421f0a3b4f32e8312e3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53.21%당선
3이은영(李銀英)13,5552위

ta-hash-start=w-0b105cf1504c4e241fcc6d519ea962fb[[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46.78%낙선
선거인 수53,369투표율
56.44%
투표 수30,123
무효표 수1,147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운찬(白雲燦)19,329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26%당선
2문석주(文碩柱)11,7932위
32.49%낙선
4김도현(金到賢)6794위
1.87%낙선
6최용규(崔勇圭)4,4883위
12.36%낙선
선거인 수57,156투표율
65.02%
투표 수37,164
무효표 수875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운찬(白雲燦)14,8872위
49.31%낙선
2문석주(文碩柱)15,3011위
50.68%당선
선거인 수62,295투표율
49.31%
투표 수30,720
무효표 수532

석 달 전 대선에서 울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으며 승리한 지역이 됨에 따라 치열한 승부가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백운찬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도 문석주 전 시의원을 단수공천하며 설욕에 나선다.

공단의 영향력이 강한 곳임에도 진보정당에서 후보를 내지 않았고,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으면서 양당 1:1 매치업, 그리고 백운찬 후보와 문석주 후보 간의 리턴매치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단 1.37%p(414표차)로 국민의힘 문석주 후보가 가까스로 복수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북구 안에서도 가장 보수세가 약한[6] 농소3동에서 백운찬 후보가 단 64표차(0.47%p)로만 승리한 반면 농소2동에서 문석주 후보가 265표차(1.87%p)차로 승리하며 관내투표에서도 승기를 잡았고, 대선 때도 국민의힘의 손을 들어준 관외사전투표에서도 문석주 후보에게 54.1%를 주며 211표차 더 벌리면서 승리가 확정되었다.[7] 민주당 입장에서는 선거 전 여러 악재만 아니었다면 충분히 가져올 수 있는 지역구라서 더욱 아쉬운 대목.[8]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4] 4회 지선 북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5] 농소2동, 농소3동[6] 얼마 전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유일하게 과반까지 준 동이다.[7] 대부분 지역에서 관외사전투표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많은 표를 주는 것과는 반대 양상이다. 2022년 들어 두 선거를 통해 포착된 좀 독특한 현상이다. 사전투표율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는데(이제 본투표율과 거의 비슷해짐), 보수 유권자 사이에서도 사전투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여 보수층의 참여율도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8] 여기를 먹었으면 적어도 국민의힘의 울산 전 지역구 싹쓸이는 저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