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국지 시리즈/시나리오

덤프버전 :


1. 개요
2. 사실 시나리오
2.2. 185년 변장-한수의 난, 흑산적 준동
2.3. 186년 장온 출진
2.4. 187년 장거-장순의 난, 구성의 난
2.5. 188년 유언 독립
2.9. 192년 동탁 사망
2.12. 195년 손책의 양주 평정
2.13. 196년 조조헌제 옹립
2.14. 197년 원술의 황제 참칭
2.16. 199년 원술 패망
2.18. 201년 유비의 형주행
2.19. 202년 원소 사망
2.20. 203년 원가 분열
2.21. 204년 함락
2.22. 205년 원담 패망
2.23. 206년 호관 함락
2.26. 209년 남군 쟁탈전, 형남 평정
2.27. 210년 유비-손부인 혼인
2.28. 211년 동관 전투
2.29. 212년 유비 입촉
2.30. 213년 낙성 전투
2.35. 218년 정군산 전투
2.37. 220년 관우 패사, 조조 사망
2.39. 222년 육손 출진
2.40. 223년 유비 사망
2.43. 226년 북벌 준비
2.44. 227년 출사표
2.45. 228년 가정 전투
2.46. 229년 석정 전투, 진창 전투
2.47. 230년 손권의 황제 등극
2.48. 231년 기산 전투
2.49. 232년 이엄 실각
2.50. 233년 마지막 북벌 준비
2.52. 235년 제갈량의 뒤를 잇는 강유
2.53. 238년 공손연의 난
2.54. 241년 작피 전투, 상용 기습책
2.56. 253년 동흥 전투, 합비신성 전투
2.57. 257년 제갈탄의 난


1. 개요[편집]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시나리오를 정리한 문서.

역사적으로 삼국시대후한이 공식적으로 멸망한 220년부터 진나라오나라를 정벌한 280년까지이나 거의 모든 시리즈에 등장하는 시나리오는 후한 말기 반동탁연합의 190년부터 삼국정립이 시작되는 219년[1] 사이에 집중되어있다. 삼국지 5부터는 184년 황건적의 난도 모든 시리즈에 등장하고 있다. 234년(제갈량 사후) 이후의 역사 시나리오는 드물다.

삼국지 9부터는 역사 시나리오 뿐만 아니라 가상 시나리오도 등장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가상 시나리오는 영웅집결인데 모든 무장들이 한꺼번에 등장하는 시나리오다. 영웅집결 이외에도 수많은 IF 가상 시나리오가 있다.

삼국지 시리즈는 보통 350년[2] 무렵까지만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타임 리미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그 이전까지 통일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이민족의 침략으로 여러 세력들이 망했다는 식의 엔딩이 나오기도 한다.

삼국지 시리즈에서 전통적으로 인기있는 시나리오는 등장하는 군주와 장수의 수가 많고, 절대강자가 없으며 대부분의 군주가 1~2개의 영토만 가지고 시작해 장수들을 모아서 영토를 확장해가는 재미가 있는 반동탁연합(190년), 군웅할거(194년), 그리고 영웅집결(가상)이다.

  • 184년 황건적의 난
    • 주요 군주: 하진, 장각, 손견, 동탁, 마등, 공손찬, 유언, 정원 등
  • 190년 반동탁연합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견, 동탁, 원소, 유표, 원술, 유언, 마등, 공손찬, 도겸 등
  • 194년 군웅할거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책, 여포, 원소, 유표, 원술, 유장, 마등, 공손찬 등
  • 198년 여포 토벌전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책, 여포, 원소, 유표, 원술, 유장, 마등, 공손찬, 장로 등
  • 200년 관도대전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권(손책), 원소, 유표, 유장, 마등, 장로 등
  • 207년 삼고초려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권, 유표, 유장, 마등, 장로 등
  • 208년 적벽대전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권, 유표, 유장, 마등, 장로 등
  • 211년 동관 전투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권, 마초, 유장, 장로, 공손공, 사섭 등
  • 217년 한중쟁탈전
    • 주요군주: 조조, 유비, 손권, 공손공, 맹획, 사섭 등
  • 219년 관우포위망
    • 주요 군주: 조조, 유비, 손권, 맹획, 공손공, 사섭 등
  • 225년 남만정벌
    • 주요군주: 조비, 유선, 손권, 맹획, 공손공, 사섭 등
  • 227년 출사표
    • 주요군주: 조예, 유선, 손권, 공손공 등

각 시리즈의 첫 시나리오와 최종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가상 시나리오는 제외한다.

  • 삼국지: 189년 1월 동탁토벌 (동탁 토벌전) ~ 215년 1월 삼국의 시대 (삼국정립)
  • 삼국지 2: 189년 1월 동탁의 낙양 입성 (반동탁연합) ~ 220년 1월 삼국의 경쟁 (관우, 조조의 죽음)
  • 삼국지 3: 189년 1월 영제 몰락, 동탁 폭정 (반동탁연합)[3] ~ 235년 1월 강유, 공명의 유지 계승 (추풍오장원)
  • 삼국지 4: 189년 12월 동탁이 소제를 퇴폐시켜 낙양 불타오르다 (반동탁연합) ~ 235년 2월 강유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거성 떨어지다. (추풍오장원)
  • 삼국지 5: 184년 1월 황건적의 난 ~ 234년 9월 오장원에 지는 별 (추풍오장원)
  • 삼국지 6: 184년 황건적의 난 ~ 234년 오장원에 지는 별 (추풍오장원)
  • 삼국지 7: 189년 기울어가는 낙양 (반동탁연합) ~ 257년 난세의 끝은 다가오는가 (제갈탄의 난)
  • 삼국지 8: 184년 영천의 장각은 난을 일으키고 유비, 관우, 장비는 의를 맺는다 (황건적의 난) ~ 264년 종회는 비밀리에 독립을 꾀하고 강유는 촉의 부흥을 기원하는데 (종회의 난)
  • 삼국지 9: 184년 황건적의 난과 도원결의 ~ 263년 검각공방과 촉의 멸망 (촉한멸망전)
  • 삼국지 10: 184년 2월 황건동란 ~ 253년 2월 고전분투 (강유의 북벌)
  • 삼국지 11: 184년 1월 황건의 난 ~ 225년 7월 남만정벌
  • 삼국지 12: 184년 2월 황건봉기 ~ 223년 8월 오로침공전
  • 삼국지 13: 184년 2월 황건적의 난 ~ 227년 1월 출사표 (제갈량의 북벌)
  • 삼국지 14: 184년 2월 황건적의 난 ~ 263년 5월 촉한의 멸망[4]


2. 사실 시나리오[편집]



2.1. 184년 황건적의 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3 CS1황건의 난
51황건적의 난
62황건적의 난
6 짧은2의용군 초진
7 CS1장각이 난을 일으켜 황색 깃발이 나부끼다
81영천의 장각은 난을 일으키고 유비, 관우, 장비는 의를 맺는다
92황건적의 난과 도원결의
102황건동란
111황건의 난
122황건봉기
132황건적의 난
142황건의 난


2.2. 185년 변장-한수의 난, 흑산적 준동[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황건의 난은 평정되었으나 여전히 천하는 어지럽기만 하고


2.3. 186년 장온 출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관군의 위엄은 실추되고 장온은 명을 받아 출진하는데


2.4. 187년 장거-장순의 난, 구성의 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반란은 각지에서 일어나고 손견은 장사에서 용명을 떨치니
12 PK7한조소란


2.5. 188년 유언 독립[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유주와 양주의 난은 계속되고 유언은 익주에 기반을 쌓는데
14 PK DLC6흔들리는 한조


2.6. 189년 십상시의 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1동탁 타도
21동탁의 낙양입성
31영제 몰락, 동탁 폭정
412동탁이 소제를 퇴폐시켜 낙양 불타오르다
512낙양 불타오르다
612동탁의 야망
712기울어가는 낙양
810하진은 십상시에 의해 살해되고 동탁은 소제를 폐하는데
109시랑군림


2.7. 190년 반동탁연합[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조조는 반동탁군을 일으키고 제후들은 연이어 가세하는데
91조조의 거병과 반동탁연합
111반동탁연합
121반동탁연합
131반 동탁 연합
141반동탁 연합


2.8. 191년 계교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 짧은7백마 장사
87원소는 공손찬과 대립하고 손견은 형주로 향하는데
14 PK10이원의 전망


2.9. 192년 동탁 사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4동태사 주살
7 PK5불타는 군웅의 야망
84동탁은 연환계에 쓰러지고 여포는 장안을 취하는데


2.10. 193년 서주 대학살[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조조는 아비의 죽음에 격노하고 여포는 장안에서 밀려나는데
12 PK4서주변천


2.11. 194년 군웅할거[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21권력 투쟁의 시기
31난세, 군웅 전토를 할거
411군웅 중원에서 싸우고 조조 세력을 신장시키다
610군웅 할거
710계속되는 중원의 전란
87여포는 텅 빈 연주를 빼앗고 손책은 날개를 펴기 시작하는데
96여포의 연주강탈과 소패왕 출진
103군웅할거
116군웅할거
146군웅할거


2.12. 195년 손책의 양주 평정[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1조조의 대두
87조조는 간신히 연주를 되찾고 유비는 여포를 맞아들이는데
121군웅할거
131군웅할거
13 PK7소패왕 용약


2.13. 196년 조조헌제 옹립[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59조조의 대두
6 짧은10여포 토벌전
87이각과 곽사는 권력에 눈이 멀고 조조는 황제를 구원하는데
14 PK DLC6조조의 대두


2.14. 197년 원술의 황제 참칭[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짧은1하북 통일
3황제 원술
7 DLC1천하가 봉대하여 위의 강대함이 시작되다
84교만한 원술은 황제를 참칭하고 조조는 칙명으로 토벌에 나서니


2.15. 198년 여포 토벌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0여포는 하비성에 고립되고 원소는 공손찬과 격돌하는데
11 PK1여포토벌전
12 DLC1여포토벌전
13 DLC1여포 토벌전
14 DLC3여포토벌전


2.16. 199년 원술 패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원술은 원소를 의지하려 하고 유비는 저지에 나서는데


2.17. 200년 관도대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5 PK1관도 대전
62하북 쟁란
6 PK 짧은2소패왕 강습
73관도에서 만난 두 영웅
84원소는 드디어 남하를 개시하여 관도에는 전운이 가득한데
94관도전투와 중원의 패자
101천하이강
111관도대전
125관도대전
132관도 전투
141관도대전


2.18. 201년 유비의 형주행[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1새 시대의 개막
21유비의 시기
31유비, 신야성 획득
410하북에서 폭풍이 일어나고 형주에는 봄이 오다
59하북의 폭풍
81유비는 여남으로 쫓겨 가고 강동에선 소패왕이 쓰러지는데


2.19. 202년 원소 사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 짧은5원씨 구축
7 PK5혼란속에 사라져 간 원소
87원가의 분열은 시작되고 유비는 형주로 피신하는데
14 DLC6하북쟁란


2.20. 203년 원가 분열[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원가의 본거지 업은 포위되고 원담은 원수 조조를 의지하는데
11 PK1원가분열


2.21. 204년 함락[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업의 심배는 끝내 무너지고 원담은 조조에게 반기를 드는데


2.22. 205년 원담 패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조조는 마침내 기주를 제압하고 고간은 호관에서 버티는데


2.23. 206년 호관 함락[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병주마저 조조의 손에 넘어가고 유비는 인재를 갈망하는데


2.24. 207년 삼고초려[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3와룡과 봉추
710적벽에서 기다리는 결전
81와룡은 삼고의 예에 감복하고 원상은 오환을 의지하는데
91삼고지례와 적벽대전
105적벽염상
119삼고초려
129삼고초려
139삼고초려
149삼고초려


2.25. 208년 적벽대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1공명의 출려
21조조 화북 제압 천하를 도모
31공명, 중원에서 활약
49와룡공명이 적벽에서 동풍을 부르다
511와룡 출현
6 짧은9적벽 전투
810조조는 남으로 진격을 개시하고 주유는 적벽을 불태우는데
11 PK CS10적벽대전
12 PK8적벽대전
13 DLC8적벽 대전
14 PK10적벽대전


2.26. 209년 남군 쟁탈전, 형남 평정[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7 DLC4군웅들이 위세를 떨치며 형주의 패권을 다투다
84승리한 주유는 형주를 공략하고 유비는 4군을 손에 넣는데


2.27. 210년 유비-손부인 혼인[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1입촉
87유비는 손권과 혈맹을 맺고 주유는 형주에서 힘이 다하는데


2.28. 211년 동관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짧은4마초의 복수
7 PK9익주로 들어서는 유비
81조조는 서량의 마등을 모살하고 분노한 마초는 서량을 나서는데
97주유의 죽음과 마초의 복수
10 PK1의신횡사
117유비입촉
12 DLC7동관전투
13 PK7동관전투
14 DLC7동관전투


2.29. 212년 유비 입촉[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한중의 장로는 유장을 노리고 유비는 익주로 발을 내딛는데


2.30. 213년 낙성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5 PK5유비의 입촉
81유비는 유장에게 칼 끝을 돌리고 유장은 저항을 시도하는데


2.31. 214년 삼국정립[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유비는 마침내 서촉을 차지하여 천하는 셋으로 나뉘는데
126익주평정
136익주 평정


2.32. 215년 합비 공방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1삼국의 시대
21삼국의 정립
87조조는 한중의 장로를 격파하고 유비는 손권을 끌어들이는데
14 DLC8합비전투


2.33. 216년 유수구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장료는 천하에 용맹을 떨치고 유수에선 또 한차례 혈전이


2.34. 217년 한중 공방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72갈라진 천하를 둘러싸고
84장성 노숙은 동오에 떨어지고 유비는 한중 공략을 개시하는데
107영웅대결
11 PK7한중쟁탈전
147한중쟁탈전


2.35. 218년 정군산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숨막히는 한중 공방전, 노장은 정군산에 명을 떨치는데


2.36. 219년 형주 공방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57삼국 정립
67한중왕 유비
87유비는 한중왕에 오르고 운장의 위엄은 천하에 울리는데
97한중왕 유비와 관우의 불찰
12 PK7한중왕 유비
13 DLC7군신포위망
14 PK7관우포위망


2.37. 220년 관우 패사, 조조 사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21삼국의 경쟁
81도원의 약속은 깨져 버리고 위에서도 거성이 떨어지는데


2.38. 221년 이릉대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31손권 독립, 삼국 성립
44후한이 멸망하고 삼국시대 시작되다
87현덕은 복수를 다짐하나 익덕마저 덧없이 쓰러져 가고
10 PK6이릉전투
14 DLC7이릉 전투


2.39. 222년 육손 출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노도와 같은 촉의 공세, 육손은 오의 운명을 책임지는데


2.40. 223년 유비 사망[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5소열제 승하
87도원의 꿈은 백제성에서 지고 제갈량은 후사를 부탁받는데
12 PK8오로침공전
13 PK DLC6오로침공전


2.41. 224년 광릉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제갈량은 오와 다시 손을 잡고 분노한 조비는 오를 치는데


2.42. 225년 칠종칠금[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4 PK1만왕 남북에서 봉기하고 전란이 일어나다
73공명이 짊어진 출사표
87맹획은 남만의 저력을 과시하나 공명의 칠종칠금에 감복하고
97남만왕 맹획과 제갈량의 남정
117남만정벌
14 PK DLC7남만정벌


2.43. 226년 북벌 준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공명은 북쪽으로 눈을 돌리고 사마의는 북벌을 예감하는데


2.44. 227년 출사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짧은3출사표
7 PK3업보와 함께 시작된 북벌
84사마의는 군권을 박탈당하고 공명은 드디어 출사표를 올리니
104승상출사
13 PK1출사표
142출사표


2.45. 228년 가정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중달은 복귀하여 반격을 꾀하고 마속은 중책을 맡게 되는데


2.46. 229년 석정 전투, 진창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1공명은 또 다시 출사표를 내걸고 학소는 진창에서 분전하는데


2.47. 230년 손권의 황제 등극[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7손권은 오를 세워 제위에 오르고 조진은 서촉으로 진군하는데


2.48. 231년 기산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조진은 계략에 빠져 목숨을 잃고 공명은 기산으로 나서는데


2.49. 232년 이엄 실각[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공명은 기산에서 군사를 물리고 위와 촉은 각각 내정을 돌보는데


2.50. 233년 마지막 북벌 준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4공명은 마지막 북벌을 준비하고 사마의 또한 서에 대비하는데


2.51. 234년 추풍오장원[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59오장원의 지는 별
69오장원의 지는 별
7 PK9숨가쁜 흥망성쇠의 역사
81제갈량은 오장원에 뜻을 묻고 사마의는 무후상에 놀라는데
94제5차 북벌과 제갈량의 죽음
14 DLC2추풍오장원


2.52. 235년 제갈량의 뒤를 잇는 강유[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31강유, 공명의 유지 계승
42강유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거성 떨어지다


2.53. 238년 공손연의 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4 PK1요동정벌


2.54. 241년 작피 전투, 상용 기습책[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 PK4전종은 주명으로 회남을 향하고 장완은 수로로 상용을 노리는데


2.55. 249년 고평릉 사변[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 짧은3북벌 강행
8 PK1중달은 병을 가장해 조상을 치고 백약은 옹주를 향하는데
14 DLC1정시정변


2.56. 253년 동흥 전투, 합비신성 전투[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10 PK2고전분투


2.57. 257년 제갈탄의 난[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6 PK 짧은4제갈탄 궐기
73난세의 끝은 다가오는가
8 PK DLC7제갈탄은 오와 함께 반기를 들고 사마소는 수춘을 포위하는데


2.58. 263년 촉한멸망전[편집]


작품시작월시나리오명
8 PK7종회는 검각에서 강유와 맞서고 등애는 이윽고 한중을 향하는데
97검각공방과 촉의 멸망
14 PK DLC5촉한의 멸망
[1] 형주 공방전 직전의 상태로 조조/관우 사망 직전의 상태[2] <13>기준으로는 350년, <14> 기준으로는 351년이 되면 게임오버가 된다.[3] 메가CD판, PC엔진 CD판, NDS판 한정으로 184년 1월 황건의 난이 등장한다.[4] 현재 구매할 수 없는 한정 DLC를 제외하면 249년 1월 정시정변이 가장 마지막 사실 시나리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39:20에 나무위키 삼국지 시리즈/시나리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