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전차 본선

덤프버전 :

||
파일:서울전차_Top.jpg

차량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성전차노선도1930.png
노선 정보
분류노면전차
기점청량리역전 정거장
종점세종로 정거장
역 수22개
구성 노선서울 전차 본선
개업일1899년 5월 20일
폐업일1968년 11월 30일
소유자ta-hash-start=w-a241364eaa1c6e1d815ff7b8236eaead[[파일:서울특별시 휘장(1947-1996).svg
운영자
사용차량서울 전차
차량기지동대문 차고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6.7㎞[1]
궤간1067㎜ 협궤
선로구성복선
급전방식직류 600V 가공전차선 추정
신호방식도로 신호
표정속도미상
통행방향우측통행

1. 개요
2. 역할
3. 역사
4. 운행 열차
5. 사건·사고
6. 특징
7. 정거장 목록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 전차 본선(서울 電車 本線)은 1899년 5월 20일에 개통된, 서울 전차의 한 노선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전차 노선 중 하나이다. 이 노선이 개통하면서 아시아 6번째(태국(방콕, 1893년), 일본(교토, 1895년), 인도(마드라스, 1895년), 일본(나고야, 1898년), 인도네시아(자카르타, 1899년)로 노면전차를 개통한 국가가 되었다.

2. 역할[편집]


말 그대로 본선, 즉 대부분의 구간이 서울의 도심인 종로를 따라가는 노선이라 수요가 굉장히 많았었다. 이 노선의 후신이 '종로선'이라 불리었던 서울 지하철 1호선으로 노면 전차부터 지하철까지 가장 중요한 노선 중 하나였다.

3. 역사[편집]




4. 운행 열차[편집]




5. 사건·사고[편집]




6. 특징[편집]



7. 정거장 목록[편집]


거리㎞역명현재 대응 역소재지
0.0청량리역전淸凉里驛前
청량리淸凉里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제기동祭基洞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제기동역
용두동龍頭洞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
전 농典 農
종묘장전
경마장전競馬場前
돈암동敦岩洞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동 묘東 廟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동묘앞역
창신동昌信洞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창신역
동대문東大門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동대문역
초 교
종로5가鐘路5街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종로5가역
종로4가鐘路4街
종 묘宗 廟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종로3가역
창덕궁昌德宮
파고다공원파고다公園
종로2가鐘路2街
종 로鐘 路
종로1가鐘路1街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종각역
광화문통光化門統
체신국전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광화문역
세종로世宗路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경복궁역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3:20:49에 나무위키 서울 전차 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카오맵상 안내 되는 거리이다. 실제와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