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Worldtag.jpg
정식 명칭世界タッグ王座
The World Tag Team Championship(AJPW)
현재 챔피언 팀사이토 브라더스
사이토 쥰 & 사이토 레이
챔피언 등극2023년 10월 9일
이전 챔피언 팀미야하라 켄토 & 아오야기 유마
소속 단체전일본 프로레슬링
all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1988년 6월 10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기록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
5.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벨트 반환 청구 소송 사건
5.1. 경위
5.2. 공판 내용
5.3. 결과



1. 개요[편집]


전일본 프로레슬링챔피언십 중 하나이다.


2. 역사[편집]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orld Tagteam Championship)은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이다. 1988년 6월 10일, PWF 태그팀 챔피언십과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의 2개의 태그팀 타이틀의 통합으로서 창설되었다. 삼관 혜비급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이전의 PWF와 NWA 타이틀을 나타내는 각 레슬링 선수에게 2개씩 4개의 벨트로 상징된다. 현재 전일본의 태그팀 타이틀 중 가장 높은 위상을 자랑한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고린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최다 획득 챔피언(팀)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 & 타우에 아키라
6회
최다 획득 챔피언(개인)카와다 토시아키9회
최장기간 챔피언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 & 이시카와 슈지
366일
최단기간 챔피언텐류 겐이치로 & 아수라 하라1일
통산 보유 기간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 & 타우에 아키라
912일
최다 연속 방어고린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7회
통산 최다 방어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 & 이시카와 슈지
12회


4. 역대 챔피언 팀 목록[편집]


  • 선수 옆 괄호() 속 숫자는 선수 개인의 타이틀 획득 횟수이다.
#태그 팀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방어전 성공 횟수비고
1오륜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1회1988년 6월 10일 (49일)0회[1]
2불침어뢰 콤비
테리 고디 & 스탠 핸슨
1회1988년 7월 29일 (2일)0회
3오륜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2회1988년 7월 31일 (29일)0회
4용원포(龍原砲)
텐류 겐이치로 & 아수라 하라
1회1988년 8월 29일 (1일)0회
5고린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3회1988년 8월 30일 (81일)0회
-공석-1988년 11월 19일-[2]
6불침어뢰 콤비
테리 고디 & 스탠 핸슨
2회1988년 12월 16일 (51일)0회[3]
7오륜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4회1989년 2월 2일 (159일)7회[4]
8용함포 콤비
텐류 겐이치로(2) & 스탠 핸슨(3)
1회1989년 7월 11일 (11일)0회
9오륜 콤비
점보 츠루타 & 야츠 요시아키
5회1989년 7월 22일 (90일)1회
10용함포 콤비
텐류 겐이치로(3) & 스탠 핸슨(4)
2회1989년 7월 13일 (40일)0회
-공석1989년 11월 29일-[5]
11용함포 콤비
텐류 겐이치로(4) & 스탠 핸슨(5)
3회1989년 12월 6일 (90일)3회[6]
12살인 어뢰 콤비
테리 고디(3) & 스티브 윌리엄스
1회1990년 3월 6일 (135일)1회
13점보 츠루타(6) & 그레이트 가부키1회1990년 7월 19일 (8일)0회
-공석-1990년 7월 30일-[7]
14살인 어뢰 콤비
테리 고디(4) & 스티브 윌리엄스(2)
2회1990년 12월 7일 (132일)2회[8]
15스탠 핸슨(6) & 대니 스파이비1회1991년 4월 18일 (79일)2회
16살인 어뢰 콤비
테리 고디(5) & 스티브 윌리엄스(3)
3회1991년 7월 6일 (18일)0회
17초세대군
카와다 토시아키 & 미사와 미츠하루
1회1991년 7월 24일 (135일)1회
-공석-1991년 12월 6일-[9]
18살인 어뢰 콤비
테리 고디(6) & 스티브 윌리엄스(4)
4회1991년 12월 6일 (89일)0회[10]
19츠루타군(鶴田軍(つるたぐん)
타우에 아키라 & 점보 츠루타(7)
1회1992년 3월 4일 (254일)2회
-공석1992년 11월 13일-[11]
20초세대군
카와다 토시아키 & 미사와 미츠하루
2회1992년 12월 4일 (57일)0회[12]
21살인 어뢰 콤비
테리 고디(7) & 스티브 윌리엄스(5)
5회1993년 1월 30일 (110일)0회
22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3) & 타우에 아키라(2)
1회1993년 5월 20일(106일)2회
23테드 디비아시 & 스탠 핸슨(7)1회1993년 9월 3일 (71일)1회
-공석-1993년 11월 13일-[13]
24초세대군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3)
1회1993년 12월 3일 (351일)2회[14]
-공석-1994년 11월 19일-[15]
25초세대군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3)
2회1993년 12월 3일 (181일)2회[16]
26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4) & 타우에 아키라(3)
2회1995년 6월 9일 (229일)2회
27게리 올브라이트, 스탠 핸슨 (8)1회1996년 1월 24일 (27일)0회
28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5) & 타우에 아키라(4)
3회1996년 2월 20일 (93일)1회
29초세대군
아키야마 준 & 미사와 미츠하루(5)
1회1996년 5월 23일 (105일)1회
30쟈니 에이스 & 스티브 윌리엄스(6)1회1996년 9월 5일 (134일)1회
31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6) & 타우에 아키라(5)
4회1997년 1월 17일 (130일)1회
32G.E.T
쟈니 에이스(2) & 코바시 켄타(3)
1회1997년 5월 27일 (59일)0회
33T.O.P
게리 올브라이트(2) & 스티브 윌리엄스(7)
1회1997년 7월 25일 (71일)0회
34G.E.T
쟈니 에이스(3) & 코바시 켄타(4)
2회1997년 10월 4일 (113일)0회
35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7) & 타우에 아키라(6)
5회1998년 1월 25일 (347일)4회
36BURNING
아키야마 준(2) & 코바시 켄타(5)
1회1999년 1월 7일 (153일)1회
37MOVEMENT
쟈니 에이스(4) & 바트 건
1회1999년 6월 9일 (44일)0회
38NO Fear
오오모리 타카오 & 타카야마 요시히로
1회1999년 7월 23일 (33일)0회[17]
39언터처블
미사와 미츠하루(6) & 오가와 요시나리
1회1999년 8월 25일 (59일)0회[18]
40BURNING
아키야마 준(3) & 코바시 켄타(6)
2회1999년 10월 23일 (120일)2회
41베이더 & 스티브 윌리엄스 (8)1회2000년 2월 20일 (58일)0회
-공석-2000년 4월 7일-[19]
42성귀군
카와다 토시아키(8) & 타우에 아키라(7)
6회2000년 6월 9일 (7일)0회
-공석-2000년 6월 16일-[20]
43타이요 케야 & 존 스미스1회2001년 1월 14일 (191일)3회[21]
44안조 요지 & 텐류 겐이치로(5)1회2001년 7월 14일 (100일)2회
45타이요 케야(2) & 무토 케이지1회2001년 7월 14일 (268일)2회
46크로니크
브라이언 애덤스 & 브라이언 클라크
1회2002년 7월 17일 (85일)1회
-공석-2002년 10월 10일-[22]
47타이요 케야(3) & 코지마 사토시1회2002년 12월 6일 (153일)0회[23]
-공석-2003년 5월 8일-
48아라시 & 무토 케이지 (2)1회2003년 6월 8일 (224일)4회[24]
49코지카즈
카즈 하야시 & 코지마 사토시 (2)
1회2004년 1월 18일 (146일)1회
50켄도 카신 & 나가타 유지1회2004년 6월 12일 (188일)0회
-공석-2004년 12월 12일-
51RO&D
자말 & 타이요 케아(4)
1회2005년 1월 16일 (323일)3회[25]
-공석2005년 12월 5일-[26]
52카와다 토시아키(9) & 타이요 케아(5)1회2007년 2월 17일 (190일)1회[27]
53VOODOO-MURDERS
코지마 사토시(3) & TARU
1회2007년 8월 26일 (130일)0회
54조 도링 & 무토 케이지(3)1회2008년 1월 3일 (177일)1회
55타이요 케아(6) & 스즈키 미노루1회2008년 6월 28일 (554일)4회
56후나키 마사카츠 & 무토 케이지(4)1회2010년 1월 3일 (65일)0회
-공석-2005년 12월 5일-[28]
57타이요케아(7) & 아케보노1회2010년 7월 4일 (217일)3회[29]
58VOODOO-MURDERS
조 도링(2) & KONO
1회2011년 2월 6일 (117일)3회
-공석-2011년 6월 3일-[30]
59그레이트 무타(5) & KENSO1회2011년 6월 19일 (126일)1회[31]
60블랙 패밀리
다크 투에르보 & 다크오즈
1회2011년 10월 23일 (149일)1회
61Get Wild
소야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2)
1회2012년 10월 8일 (207일)5회
62조 도링(3) & 사나다 세이야1회2012년 5월 20일 (28일)0회
63Get Wild
소야 마나부(2) & 오오모리 타카오(3)
2회2012년 6월 17일 (135일)2회
-공석-2012년 10월 30일-[32]
64Get Wild
소야 마나부(3) & 오오모리 타카오(4)
3회2012년 11월 30일 (107일)1회[33]
65BURNING
아키야마 준(4) & 시오자키 고
1회2013년 3월 17일 (219일)3회
66Evolution
스와마(3) & 조 도링(4)
1회2013년 10월 22일 (249일)4회
67Wild Burning
아키야마 준(5) & 오오모리 타카오(5)
1회2014년 6월 28일 (117일)1회
-공석-2014년 10월 23일-[34]
68Wild Burning
아키야마 준(6) & 오오모리 타카오(6)
2회2014년 12월 6일 (106일)2회[35]
69아케보노(2) & 요시에 유타카1회2015년 3월 22일 (45일)0회
70Xceed
시오자키 고 & 미야하라 켄토
1회2015년 5월 6일 (145일)2회
-공석-2015년 9월 28일-[36]
71The Big Guns
보디가 & 제우스
1회2015년 12월 23일 (175일)2회[37]
72세키모토 다이스케 & 오카바야시 유지1회2016년 6월 15일 (165일)4회
73The Big Guns
보디가 & 제우스
2회2016년 11월 27일 (175일)4회
74KAI & 켄고 마시모1회2017년 5월 21일 (21일)0회
75The Big Guns
보디가 & 제우스
3회2017년 6월 11일 (36일)1회
76Nextream
제이크 리 & 노무라 나오야
1회2017년 7월 17일 (15일)1회
-공석-2017년 8월 1일-[38]
77세키모토 다이스케 & 오카바야시 유지2회2017년 8월 27일 50일)0회[39]
-공석-2017년 8월 1일-[40]
78Wild Burning
아키야마 준(7) & 오오모리 타카오(7)
3회2017년 10월 21일 (74일)0회[41]
79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2) & 이시카와 슈지
1회2018년 2월 3일 (31일)0회
80미야하라 켄토(2) & 요시타츠1회2018년 6월 9일 (22일)0회
81The Big Guns
보디가 & 제우스
4회2018년 2월 25일 (28일)0회
82딜런 제임스 & 사이 료지1회2018년 3월 25일 (97일)1회
83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3) & 이시카와 슈지(2)
2회2018년 6월 30일(197일)4회
84스트롱 BJ
(세키모토 다이스케 & 오카바야시 유지)
3회2019년 1월 13일 (65일)1회[42]
85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4) & 이시카와 슈지(3)
3회2019년 3월 19일(168일)3회
86제우스(5) & 사이 료지(2)1회2019년 9월 3일(121일)1회
87폭주대거인(暴走大巨人(ぼうそうだいきょじん) 콤비
스와마(5) & 이시카와 슈지(4)
4회2020년 1월 2일 (366일)5회
88Nextream
미야하라 켄토(3) & 아오야기 유마(1)
1회2021년 1월 2일 (248일)1회
89Runaway Suplex
아시노 쇼타로 & 스와마(6)
1회2021년 9월 7일 (249일)3회
90Twin Towers
이시카와 슈지(5) & 사토 코헤이
1회2022년 5월 14일 (36일)1회
91Gungnir of Anarchy
아시노 쇼타로(2) & 혼다 류키
1회2022년 6월 19일 (126일)4회
92VOODOO-MURDERS
KONO & 스와마(7)
1회2022년 10월 23일(71일)0회
93미야하라 켄토(4) & 노무라 타쿠야1회2023년 1월 2일(20일)0회
94아오야기 유마(2) & 노무라 나오야(2)1회2023년 1월 22일(58일)0회
95금강
권왕 & 소야 마나부(3)
1회2023년 3월 21일(86일)2회
96미야하라 켄토(5) & 아오야기 유마(3)1회2023년 6월15일(116일)3회
97사이토 브라더스
사이토 쥰 & 사이토 레이
1회2023년 10월 9일(239일)0회


5.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벨트 반환 청구 소송 사건[편집]



5.1. 경위[편집]


2004년 6월 12일에 치루어진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나가타 유지켄도 카신이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를 획득, 켄도 카신은 경기 후에 "이 벨트는 봉인한다"고 선언했고, 그 말대로 반년간 방어전을 하지 않았다. 이후 나가타 유지켄도 카신은 전일본 측으로부터 타이틀을 박탈당하지만 벨트를 반환하지 않았다. 그 후, 전일본 프로레슬링이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의 벨트의 반환을 요구할 때, 성의를 가진 대응을 하지 않고 「벨트의 사진 촬영을 위해서 벨트를 빌려 주었으면 한다」 등의 발언을 하였다 한다. 켄도 카신은 자신에게 있어서 챔피언로서의 자존심을 손상시킨 결과가 되어, 또 「빌려주었으면 한다」라고 켄도 카신 자신에게 소유권을 인정한 것 같은 발언을 전일본 프로레슬링측이 발언을 하여, 그 후 켄도 카신은 전일본 프로레슬링과의 연락을 일절 취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전일본 프로레슬링은 2005년 8월 2일자로 도쿄 지재에 민사 소송을 일으켰다.


5.2. 공판 내용[편집]




5.3. 결과[편집]



[1] PWF 태그팀 챔피언인 츠루타와 야츠는 NWA 인터내셔널 챔피언인 로드 워리어즈를 꺾고 타이틀을 통합했다.[2]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3]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4] 월드 레슬링 얼라이언스 카드 우승으로 획득.[5]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6]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7] 그레이트 가부키가 sws로 이적하면서 공석 처리.[8]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9]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10]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11]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12]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13]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14]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15]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16]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17]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을 보유한 상태에서 획득.[18]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도 획득.[19] 베이더의 왼팔 골절 부상으로 반납.[20]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으로 인해 타우에 아키라프로레슬링 NOAH로 이적 및 팀 해체로 공석화.[21] 후치 마사노부와 카와다 토시아키를 꺾고 등극.[22] 브라이언 애덤스가 탈단하면서 공석화.[23]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24]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코지마 사토시와 지미 양을 꺾고 획득.[25] 타나하시 히로시와 요시에 유타카를 이기면서 획득.[26] 자말이 전일본을 떠나 WWE로 이적으로 공석.[27] RO'Z와 스와마를 꺾고 획득.[28] 무토가 무릎 부상을 입어 공석.[29] 스와마와 료타 하마에게 승리후 획득.[30] KONO가 탈단하면서 공석.[31] 아케보노와 하마 료타를 꺾고 공석인 타이틀을 차지했다.[32]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33]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34]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35]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으로 획득.[36] 시오자키 고가 탈단하면서 공석.[37] 아키야마 준, 오모리 타카오를 이기고 획득.[38] 제이크 리가 무릎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39] KAI와 노무라 나오야를 꺾고 등극.[40] 오카바시가 어깨 부상을 당하면서 공석.[41] 세키모토 다이스케와 이토 류지를 꺾고 등극.[42] 대일본 프로레슬링 흥행에서 획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54:11에 나무위키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