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웨덴 국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문쇠 왕조스텐실 왕조
에이리크 6세올로프 3세아눈드 3세에문드 2세스텐실
스텐실 왕조
에리크 7세할스텐 스텐실손아눈드 4세호칸 뢰데잉에 1세
에리크 8세
블로트 스벤잉에 1세필리프 할스텐손잉에 2세랑발드
스텐실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스텐실 왕조스베르케르 왕조
망누스 1세스베르케르 1세에리크 9세망누스 2세칼 7세
에리크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
크누트 1세스베르케르 2세에리크 10세요한 1세에리크 11세
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폴쿵 왕조
크누트 2세에리크 11세발데마르망누스 3세비르예르 망누손
폴쿵 왕조메클렌부르크 왕조칼마르 동맹
망누스 4세알브렉트마르가레타에리크 13세크리스토페르
에리크 12세
호칸
칼마르 동맹바사 왕조
칼 8세 크누트손크리스티안 1세요한 2세크리스티안 2세구스타브 1세 바사
바사 왕조
에리크 14세요한 3세시기스문드칼 9세구스타브 2세 아돌프
바사 왕조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크리스티나 여왕칼 10세 구스타브칼 11세칼 12세울리카 엘레오노라
헤센카셀 왕조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프레드리크 1세아돌프 프레드리크구스타브 3세구스타브 4세 아돌프칼 13세
베르나도테 왕조
칼 14세 요한오스카르 1세칼 15세오스카르 2세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6세 아돌프칼 16세 구스타프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파일:Great_coat_of_arms_of_Sweden.svg.png
스웨덴 국왕
Sveriges Konung
파일:OnTsEr2.jpg
현직칼 구스타프 폴케 후베르투스
즉위일1973년 9월 15일
지위스웨덴 왕국국가원수
관저스톡홀름 왕궁[1]

1. 개요
2. 역대 국왕
3. 역대 표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스웨덴 국왕은 입헌군주국인 스웨덴 왕국국가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베르나도테 왕조칼 16세 구스타프이다.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국왕은 명목상 국정에 대한 여러 권한이 있지만 이를 독자적으로 행사하지 않는데, 1975년 이래 스웨덴 국왕은 이러한 권한도 작다. 예를 들면 형식적으로 법안의 재가(및 공포)나 총리 임명권 등은 입헌군주국에서도 대체로 국왕의 권한이지만 이를 자의적으로 행사하지 않고 의회와 내각이 결정한 대로 해줄 뿐인데, 스웨덴에서는 법안이 의회에서 가결되면 내각의 이름으로 공포되고 국왕의 재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스웨덴 총리도 의회 의장이 임명한다. 다만 외국에 파견하는 대사의 신임장은 국왕 명의로 그의 서명을 담아 작성되며, 자국에 파견되는 외국 대사도 국가를 대표하여 국왕이 신임장을 접수한다. 스웨덴 국왕에게 남은 얼마 안 되는 권한.

노벨상을 수상자에게 직접 수여하는 것도 스웨덴 국왕의 일이다.[2]

본래 스웨덴 국왕은 "스웨덴인, 벤드족과 기트족[3]의 왕(Sveriges, Göters och Venders konung)"이라는 호칭으로 불렸지만 현임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 재위 시기에 왕호를 지금같이 "스웨덴 국왕"으로 간략화했다.

원래는 대대로 웁살라 대성당(Uppsala domkyrka)과 스톡홀름 대성당(Storkyrkan)에서 대관식을 치렀으나 1872년 오스카르 2세의 대관식을 끝으로 현재는 대관식을 하지 않고 있다.

카뮤코냑[4]을 발주했었다.

2. 역대 국왕[편집]


재위왕호왕조비고
970 ~ 995에리크 세게르셀
Erik Segersäll
문쇠 왕조
995 ~ 1022올로프 솃코눙
Olof Skötkonung
1022 ~ 1050아눈드 야코브
Anund Jakob
1050 ~ 1060에문드 노왕
Emund den gamle
1060 ~ 1066스텡킬
Stenkil
스텡킬 왕조
1066 ~ 1067에리크와 에리크
Erik och Erik
1067 ~ 1070할스텐
Halsten
1070 ~ 1075아눈드 고르스케
Anund Gårdske
1075 ~ 1079호칸 뢰데
Håkan Röde
1079 ~ 1084잉에 1세
Inge den äldre
1084 ~ 1087블로트 스벤
Blot-Sven
1087 ~ 1105잉에 1세
Inge den äldre
1105 ~ 1118필리프 할스텐손
Filip Halstensson
1105 ~ 1125잉에 2세
Inge den yngre
1125 ~ 1126랑발드 크납회브데
Ragnvald Knaphövde
1125 ~ 1130망누스 1세
Magnus Nilsson
1130 ~ 1156스베르케르 1세
Sverker den äldre
스베르케르 왕조
1156 ~ 1160에리크 9세
Erik den helige
에리크 왕조
1160 ~ 1161망누스 2세
Magnus Henriksson
스텡킬 왕조
1161 ~ 1167칼 7세
Karl Sverkersson
스베르케르 왕조
1167 ~ 1195크누트 1세
Knut Eriksson
에리크 왕조
1196 ~ 1208스베르케르 2세
Sverker den yngre
스베르케르 왕조
1208 ~ 1216에리크 10세
Erik Knutsson
에리크 왕조
1216 ~ 1222요한 1세
Johan Sverkersson
스베르케르 왕조
1222 ~ 1229에리크 11세
Erik Eriksson
에리크 왕조
1229 ~ 1234크누트 2세
Knut Långe
1234 ~ 1250에리크 11세
Erik Eriksson
에리크 왕조
1250 ~ 1275발데마르 비르예르손
Valdemar Birgersson
폴쿵 왕조
1275 ~ 1290망누스 3세
Magnus Ladulås
1290 ~ 1318비르예르 망누손
Birger Magnusson
1319 ~ 1364망누스 4세
Magnus Eriksson
1356 ~ 1359에리크 12세
Erik Magnusson
[5]
1362 ~ 1364호칸 망누손
Håkan Magnusson
[6]
1363 ~ 1389알브렉트
Albrekt av Mecklenburg
칼마르 동맹: 덴마크와의 동군연합. 덴마크 국왕 참조.
1521 ~ 1560구스타브 1세 바사
Gustav Vasa
바사 왕조[7]
1560 ~ 1568에리크 14세
Erik XIV
1568 ~ 1592요한 3세
Johan III
1592 ~ 1599시기스문드
Sigismund
[8]
1599 ~ 1611칼 9세
Karl IX
[9]
1611 ~ 1632구스타브 2세 아돌프
Gustav II Adolf
1632 ~ 1654크리스티나 여왕
Kristina
1654 ~ 1660칼 10세 구스타브
Karl X Gustav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1660 ~ 1697칼 11세
Karl XI
1697 ~ 1718칼 12세
Karl XII
1719 ~ 1720울리카 엘레오노라
Ulrika Eleonora
1720 ~ 1751프레드리크 1세
Fredrik I
헤센카셀 왕조
1751 ~ 1771아돌프 프레드리크
Adolf Fredrik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1771 ~ 1792구스타브 3세
Gustav III
1792 ~ 1809구스타브 4세 아돌프
Gustav IV Adolf
1809 ~ 1818칼 13세
Karl XIII
1818 ~ 1844칼 14세 요한
Karl XIV Johan
베르나도테 왕조
1844 ~ 1859오스카르 1세
Oskar I
1859 ~ 1872칼 15세
Karl XV
1872 ~ 1907오스카르 2세
Oskar II
1907 ~ 1950구스타프 5세
Gustaf V
1950 ~ 1973구스타프 6세 아돌프
Gustaf VI Adolf
1973 ~ 현재칼 16세 구스타프
Carl XVI Gustaf

바사 왕조가 시작되면서 첫번째 왕조인 문쇠 왕조의 혈통은 끝났으나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부터 바사 왕조와 문쇠 왕조의 혈통이 모두 이어졌고, 베르나도테 왕조 때 혈통이 잠시 끊겼으나 칼 15세부터 바사 왕조의 혈통을 잇기 시작했고, 구스타프 6세 아돌프부터는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의 혈통이 섞여 바사 왕조와 문쇠 왕조의 혈통을 모두 외가로 잇고 있다.스웨덴 왕실 계보도

3. 역대 표어[편집]


왕이 바뀔 때마다 표어를 새로 만든다.
사용기간국왕표어
1521 ~ 1560구스타브 1세 바사(Gustav I Vasa)모든 권세는 하나님의 것(All makt är av Gud)
1560 ~ 1568에리크 14세(Erik XIV)하나님께선 원하시는 자의 소원만 들어주실지니(Gud giver åt vem Han vill)
1568 ~ 1592요한 3세(Johan III)우리의 보호자 하나님(Gud vår beskyddare)
1592 ~ 1599시기스문드(Sigismund)정의와 국민을 위해(För rätten och Folket)
1599 ~ 1611칼 9세(Karl IX)나의 위로 하나님(Gud min tröst)
1611 ~ 1632구스타브 2세 아돌프(Gustav II Adolf)하나님과 승리의 팔로(Med Gud och segrande vapen)
1632 ~ 1654크리스티나 여왕(Christina)지혜는 왕국의 버팀목(Visheten är rikets stöd)
1654 ~ 1660칼 10세 구스타브(Karl X Gustav)내 안의 운명의 신이-그가 하실 것이다(I Gud mitt öde - Han skall göra det)
1660 ~ 1697칼 11세(Karl XI)주님은 나의 보호자 되실지니(Herren är vorden min beskyddare)
1697 ~ 1718칼 12세(Karl XII)하나님의 도움으로(Med Guds hjälp)
1719 ~ 1720울리카 엘레오노라(Ulrika Eleonora)하나님은 나의 희망(I Gud mitt hopp)
1720 ~ 1751프레드리크 1세(Fredrik I)
1751 ~ 1771아돌프 프레드리크(Adolf Fredrik)국가의 복지는 나의 복지(Statens välfärd, min välfärd)
1771 ~ 1792구스타브 3세(Gustav III)조국(Fäderneslandet)
1792 ~ 1809구스타브 4세 아돌프(Gustav IV Adolf)하나님과 국민(Gud och folket)
1809 ~ 1818칼 13세(Karl XIII)국민의 복지는 나의 최고의 법(Folkets väl min högsta lag)
1818 ~ 1844칼 14세 요한(Karl XIV Johan)국민의 사랑은 나의 보상(Folkets kärlek min belöning)
1844 ~ 1859오스카르 1세(Oskar I)정의와 진실(Rätt och sanning)
1859 ~ 1872칼 15세(Karl XV)법에 따라 건설되는 국토(Land skall med lag byggas)
1872 ~ 1905오스카르 2세(Oskar II)형제 민족의 복지(Brödrafolkens väl)
1905 ~ 1907스웨덴의 복지(Sveriges väl)[10]
1907 ~ 1950구스타프 5세(Gustaf V)국민과 함께 조국을 위해(Med Folket for Fosterlandet)
1950 ~ 1973구스타프 6세 아돌프(Gustaf VI Adolf)무엇보다도 의무(Plikten framför allt)
1973 ~ 현재칼 16세 구스타프(Carl XVI Gustaf)스웨덴을 위해-시대와 함께(För Sverige – i tiden)

4. 관련 문서[편집]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 스웨덴/정치
  • 베르나도테 왕조
  • 칼 구스타프
  • 노벨상
  • 오딘[11]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12]


[1] 다만 현재 왕실은 스톡홀름 교외의 드로트닝홀름 궁전에서 머무르고 있다.[2] 노르웨이에서 수상하는 평화상은 제외.[3] 고트족과 관련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4] Camus hors D'age[5] 망누스 4세와 공동[6] 망누스 4세와 공동, 알브렉트의 대립왕[7] 1521~1523년 섭정[8] 1587~1632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지그문트 3세[9] 1599~1604년 섭정[10] 노르웨이와의 동군연합 해체 후 새로 정한 표어.[11] 북유럽 신화의 일부인 윙글링 사가(Ynglinga saga)에는 스웨덴 왕실의 시조가 오딘이라고 하는 내용이 나온다. 아마테라스 여신의 직계 자손이 일본 황실이 되었다는 일본 신화의 내용과 비슷한 유형의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현 왕조는 이 신화와는 무관한 나폴레옹의 부하였던 프랑스 출신 장군이 세운 왕조다. 오히려 노르웨이의 하랄 1세 하르파그리가 윙글링 왕조의 후손이라고 한다.#[12] 스웨덴과 덴마크의 국왕이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바이킹 왕. 역사적으로 실재가 확인되는 스웨덴의 첫번째 왕인 에리크 세게르셀(승리왕 에리크)은 이 사람의 아들들 중 한명인 굳센 비요른(Bjǫrn Járnsíða)의 후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