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외버스 1310, 8143

덤프버전 : r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시외버스 노선
||


파일:1310.jpg
1310번. 남서울대까지 가던 시절.

1. 노선 정보
1.1. 운휴 노선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시외버스 8143번
기점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종점경기도 평택시 평택동(평택터미널)
종점행첫차06:20기점행첫차06:20
막차21:10막차21:10
운수사명대원고속배차간격30분
노선동서울터미널 - 잠실역 - 가락시장 - 장지역 - 송파IC - 가천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판교JC - 경부고속도로 - 안성IC - 스타필드 안성.용이동삼천리가스 - 평택대학교 - 평택터미널


1.1. 운휴 노선[편집]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시외버스 1310번
기점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종점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남서울대)
종점행첫차09:00기점행첫차09:00
막차20:00막차20:00
운수사명대원고속배차간격운휴
노선동서울터미널 - 잠실역 - 가락시장 - 장지역 - 송파IC - 가천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판교JC - 경부고속도로 - 안성IC - 스타필드 안성.용이동삼천리가스 - 평택대학교 - 평택터미널 - 성환터미널 - 남서울대


2. 개요[편집]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9년 4월 1일부터 장지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12년에 경기도 면허 시외버스가 GBUS에 등록되면서 번호를 부여받았다.

  • 용이지구가 완공되면서 2012년 5월 1일에 용이푸르지오2차아파트에 추가로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평택대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수요가 많으며 등교 기간에 매우 혼잡하다. 학생들의 편의를 위하여 평택터미널까지만 운행하는 8143번도 다닌다.[1]


  • 용이동, 가천대, 장지역, 가락시장, 잠실역에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며, 평택시외버스터미널, 평택대정류소[2], 동서울터미널에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고 매표소나 발권기에서 승차권을 발권하거나 인터넷, 모바일 앱으로 예매하고 탑승해야 한다.

  • 전 구간 요금은 성인은 6800원, 청소년 및 대학생들은 4800원, 어린이는 3400원이다.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1 06:36:56에 나무위키 시외버스 131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금은 모두 8143번으로 통합되어 성환-남서울대는 운행 중단이다.[2] 2020~2021년 쯤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기사가 표 사오라고 한다. 정류장 바로 앞에 있는 GS25에서 표를 살 수 있고 버스타고 앱으로 예매 가능하다. 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용이동 정류장에서 타거나, 안성 주은풍림아파트에서 8153번을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 두곳은 고속도로 타기 전 마지막 정류장이기 때문에 혼자 앉기 힘들거나 못 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