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봉수(법조인)

덤프버전 :

파일:검찰 CI (흰색).svg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김태현오희택문상익이명희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중근김종건허은도이병근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조성욱김도언변재일김현철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서익원김정길심상명공영규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박인수유재성이재신김승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정충수김규섭윤종남김재기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이기배문영호이동기천성관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차동민박영렬김영한한명관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수남신경식강찬우신유철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한찬식차경환윤대진조재연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문홍성신성식홍승욱신봉수




파일:신봉수29기.jpg
이름신봉수 (申奉洙)
출생1970년
전라북도 완주군
학력전주영생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법학 / 학사)
현직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경력제39회 사법시험 합격
제29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첨단범죄수사1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공동본부장
대검찰청 반부패부장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1. 개요
2. 생애
3. 이력
4.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검사. 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2. 생애[편집]


1970년생 전북 완주 출신으로 영생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졸업했다. 1997년 제3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9기. 2000년에 연수원을 수료한 후 검찰에 입문했다. 옛 서울지검 북부지청(현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2002), 광주지방검찰청(2003), 서울중앙지방검찰청(2005),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2008) 등을 차례로 거쳤다.

대검 중수부 공적자금비리합동단속반(2003), '일심회' 간첩단 사건 수사팀(2006) 등에 투입돼 굵직한 사건 수사를 진행했다. 2007년 12월엔 법무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2008년 'BBK 주가조작 사건 특검 수사팀'에서 근무한 BBK 검사들 중 한 명으로 윤석열과 이때 인연을 맺었다. 이후 이명박 정부 시절 서울중앙지방검찰청서울서부지방검찰청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 형사사법통합정보체계추진단·스폰서 검사 조사단 → 대구지방검찰청에서 근무했다.

2011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배임 혐의로 재판을 받던 임병석 C&그룹 회장에게 징역 22년 6월을 구형한 검사이다. 또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 부부장 검사로 있던 2013년엔 이재현 CJ그룹 회장 비자금 조성 사건을 맡으며 이 회장 피의자 신문을 직접 맡았다.

2014년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 부장검사로 승진해, 2015년 광주지방검찰청 특수부장, 2016년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장을 지냈다.

2017년 8월, 문재인 정부 첫 검찰인사로 윤석열[1]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부임함과 동시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장으로 전보되었다. 재직 당시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 사건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가족 비위 의혹 재수사 및 사법농단 의혹을 수사해 관련자들을 기소하는 성과를 냈다. 양승태 대법원 사법농단 의혹 사건/양승태·박병대·고영한 관련 재판의 공소장에 날인한 검사인데, 박근혜·이명박 등 전직 대통령 사건 등 대형 특수사건에서 2명 이상의 검사가 연명으로 서명·날인해 기소하는 사례가 많았던 반면에[2] 양승태 대법원 사법농단 의혹 사건/양승태·박병대·고영한 관련 재판의 공소장은 수사를 이끌어 온 실무책임자인 신봉수 부장검사 1명만 기소 검사로 적었다. #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사건 당시 이명박서울동부구치소로 압송해 갔던 검사이다. 이명박 수사만 2회, 신봉수 검사장은 누구? 나머지 한 명은 송경호 당시 부장검사. 다스 실소유주 논란을 수사했던 검사로 이명박 대통령을 직접 조사했다.

2019년 8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핵심 보직인 제2차장에 임명됐다. 2차장은 사법농단 사건에 대한 공판 및 선거범죄 등을 지휘한다. 이후 문재인 정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을 수사했다.

2020년 2월, 추미애 법무부장관이 진행한 검찰 인사에서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장으로 발령되었다. 2021년 7월에는 서울고등검찰청 공판부 검사로 자리를 옮겼다.

2022년 5월,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와 한동훈 신임 법무부장관의 업무가 시작되면서, 검사장 승진이 유력하게 되었다. 다만 한동훈 장관이 취임 즉시 단행한 5월 검찰 인사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3]

2022년 6월,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검찰의 핵심 요직인 이른바 '빅4(법무부 검찰국장·서울중앙지검장·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가운데 한 자리인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으로 배치됐다.[4]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 부장은 전국 검찰청의 주요 인지 수사를 지휘하는 자리이다.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에서 희생자들에게 마약 수사를 위한 부검을 제안했다는 의혹에 대한 질의를 위해 증인으로 채택되었으나 코로나19로 불참했다.

2023년 4월, 김갑식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형사국장과 함께 범정부[5]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의 공동 본부장을 맡게 되었다.230410_보도자료(「마약범죄_특별수사본부」_구성)-대검찰청.pdf

2023년 5월 17일, '검찰청 사무기구에 관한 규정'이 시행됨에 따라 2018년 통합 신설된 대검 반부패·강력부는 반부패부와 마약·조직범죄부로 분리되었고 반부패부장에는 신봉수 부장이 유임됐다. 법무부 보도자료, (보도자료) 검찰 조직개편에 따른 검사 인사 (배포즉시보도).pdf , (보도자료) 검찰 조직개편에 따른 검사 인사 (배포즉시보도).hwpx, 보도자료 별첨(인사 이동 내역).hwp

2023년 6월 14일,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공동본부장 직위가 박재억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에게로 이임됐다.

2023년 9월에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발령되었다. 인사이동 내역, #


3. 이력[편집]


  • 전주 영생고
  • 건국대 법대
  • 사법시험 39회
  • 사법연수원 29기
  •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
  •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 검사
  • 광주지방검찰청 검사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검사
  •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검사
  •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 정부법무공단 파견
  • 대구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 부장검사
  • 광주지방검찰청 특수부 부장검사
  •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장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첨단범죄수사1부 부장검사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장
  •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6]
  •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공동본부장
  • 대검찰청 반부패부장
  •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4.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9:24:17에 나무위키 신봉수(법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