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앙드레 더 자이언트 메모리얼 배틀로얄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역대 우승자
3. 최다 경기 참여자
4. 기타 사항


1. 개요[편집]


2014년 레슬매니아 30의 호스트를 맡은 헐크 호건앙드레 더 자이언트 헌정 배틀로얄 매치가 열린다고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매년 레슬매니아에서 진행되고 있다. 규칙은 일반 배틀로얄 경기와 동일하고, 우승자에게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모습을 본 딴 트로피를 수여한다. 주로 레슬매니아 메인쇼에 경기를 배정받지 못한 로스터 멤버들이 레슬매니아 수당을 받기 위해[1] 출전한다. 우승자에겐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큼직한 조각상으로 만들어진 대형 트로피가 수여된다.

2. 역대 우승자[편집]


연도행사우승자비고
2014년WWE 레슬매니아 30세자로초대 우승자
2015년WWE 레슬매니아 31빅 쇼
2016년WWE 레슬매니아 32배런 코빈
2017년WWE 레슬매니아 33모조 롤리
2018년WWE 레슬매니아 34매트 하디
2019년WWE 레슬매니아 35브론 스트로우먼
2020년WWE 레슬매니아 36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미개최됨.
2021년WWE 스맥다운[2]제이 우소
2022년WWE 스맥다운[3]매드캡 모스
2023년WWE 스맥다운[4]바비 래쉴리

3. 최다 경기 참여자[편집]


순위참여횟수선수대회(우승시 ☆)기타
16히스 슬레이터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5골더스트2014, 2015, 2016, 2017, 2018
보 댈러스2015, 2016, 2017, 2018, 2019
빅터2015, 2016, 2017, 2018, 2019
커티스 액슬2015, 2016, 2017, 2018, 2019
코너2015, 2016, 2017, 2018, 2019
타이터스 오닐2014, 2015, 2017, 2018, 2019
판당고2014, 2015, 2016, 2017, 2018
알 트루스2014, 2016, 2017, 2018, 2022
셸턴 벤자민2018, 2019, 2021, 2022, 2023
34마크 헨리2014, 2015, 2016, 2017
빅 쇼2014, 2015 ☆, 2016, 2017
신 카라2014, 2015, 2017, 2018
타일러 브리즈2016, 2017, 2018, 2019
아폴로 크루즈2017, 2018, 2019, 2022
돌프 지글러2014, 2017, 2018, 2023
진더 마할2014, 2017, 2019, 2022
배런 코빈2016 ☆, 2018, 2021, 2023
43대런 영2014, 2015, 2016
데미안 샌도우2014, 2015, 2016
라이노2017, 2018, 2019
잭 라이더2014, 2015, 2018
케인2015, 2016, 2018
채드 게이블2017, 2018, 2019
칼리스토2017, 2019, 2021
프리모2015, 2017, 2018
무스타파 알리2019, 2021, 2023
재비어 우즈2014, 2015, 2023
브론 스트로우먼2017, 2019 ☆, 2023
루크 갤로우스2018, 2019, 2023
칼 앤더슨2018, 2019, 2023
세드릭 알렉산더2021, 2022, 2023
52그란 메탈릭2019, 2021
루크 하퍼2017, 2019
린세 도라도2019, 2021
맷 하디2018 ☆, 2019
모조 롤리2017 ☆, 2018
미즈2014, 2015
빅 E2014, 2015
세자로2014 ☆, 2015
애덤 로즈2015, 2016
에피코2015, 2017
에이든 잉글리쉬2017, 2018
잭 스웨거2015, 2016
제이 우소2017, 2021 ☆
지미 우소2015, 2017
커트 호킨스2017, 2018
코피 킹스턴2014, 2015
타이슨 키드2014, 2015
터커2019, 2021
오티스2019, 2023
티바2021, 2023
드류 굴락2021, 2022
일라이어스2021, 2023
엔젤2021, 2023
에릭2021, 2022
메이스2021, 2023
매드캡 모스2022 ☆, 2023
만수르2022, 2023
아이바2022, 2023
움베르토2022, 2023

4. 기타 사항[편집]


  • 2014년 첫 해 우승자로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아들이라는 스토리를 맡은적 있는 빅 쇼가 우승하는거 아니냐는 예상[5]과는 달리 세자로우승했으며,[6] 2015년에 빅 쇼가 우승했다.

  • 2016년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NXT 소속 배런 코빈우승했고 이후 메인로스터로 승격되었다.

  • 도입 이후 우승자들의 행보를 보면 묘하게 징크스가 있는데, 우승을 한다고 해서 MIB 우승자처럼 푸쉬를 주는 것도 아니고 초대 우승자인 세자로부터 2018년 우승자인 매트 하디까지 소속된 브랜드에서 크게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주질 못해서, 이쯤 되면 여기서 우승하는게 축복이 아닌 저주가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유명무실하기로 따지면 킹 오브 더 링보다 더한 수준.[7]

  • 우승자들이 거의 훗날 좋지 않은 취급과 푸대접을 받으면서 WWE를 퇴사하든가 방출되는 선수들이 생기고 있다. 실제로 배런 코빈, 제이 우소, 바비 래쉴리를 제외한 우승자들이 퇴사 혹은 방출된 상태.

  • 히스 슬레이터는 2014년 레슬매니아를 첫번째 시작으로 2019년 레슬매니아까지 한번도 빠짐없이 고정으로 배틀로얄 경기에 참여한 선수다.정작 우승을 못했다는게...

  •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취소된 이래 21~23년 3년 연속으로 레슬매니아 직전 스맥다운에서 개최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4:54:00에 나무위키 앙드레 더 자이언트 메모리얼 배틀로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PV 수당도 킥 오프 경기라면 받지 못하며 2014년, 2016년도 제외하면 나머지는 킥 오프 경기로 배정되었다.[2] 최초로 레슬매니아 아닌 위클리쇼에서 진행, 4월 9일 스맥다운에서 열린다.[3] 2년 연속 위클리쇼에서 진행, 4월 1일 스맥다운에서 열린다.[4] 3년 연속 위클리쇼에서 진행, 3월 31일 스맥다운에서 열린다.[5] WCW에서 더 자이언트라는 링네임으로 데뷔해 안드레 더 자이언트의 아들 기믹을 수행했었다.[6] 다만,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빅쇼의 탈락 과정이 레슬매니아3 중 헐크 호건과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경기에서 나온 명장면을 연상케 하여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7] 그렇긴 해도 배런 코빈은 큰 푸시는 아니더라도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빅 쇼와 매트 하디는 원래 은퇴가 꽤 임박했던 선수들이다. 따지고 보면 모조 롤리만이 제대로 중용받지 못한 셈. 오히려 배런 코빈의 경우 능력에 비해 너무 과도하게 밀어준다고 팬들에게 욕을 먹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