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압꾸정

덤프버전 :

압꾸정 (2022)
Men of Plastic
파일:영화압꾸정.jpg
장르코미디, 드라마, 범죄, 느와르, 피카레스크, 시대극
감독임진순[1]
각본신연식, 임진순
제작마동석
출연마동석, 정경호, 오나라, 최병모
촬영 기간2020년 8월 18일 ~ 2020년 11월 20일
제작사홍필름
팀고릴라컨텐츠그룹
파일:비에이엔터테인먼트 로고.png
빅펀치픽쳐스
배급사파일:쇼박스 로고 가로형.svg[[파일:쇼박스 로고 가로형(화이트).svg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1월 30일
화면비
상영 타입파일:영화 2D 로고.png
상영 시간112분 (1시간 51분 38초)
제작비99억 원[2]
대한민국 총 관객수608,639명
스트리밍파일:넷플릭스 로고.svg[3]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포스터
4. 예고편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배경
9. 평가
10. 흥행
11. 기타



1. 개요[편집]


2022년, 임진순이 연출한 한국의 범죄 영화. 제목 그대로 압구정동을 배경으로 한다. 제작 단계에서의 제목은 '압구정 리포트'였다.


2. 시놉시스[편집]


가진 건 오지랖뿐인 압구정 토박이 ‘대국’(마동석), 믿을 건 실력뿐인 까칠한 성형외과 의사 '지우'(정경호)가 강남 일대 성형 비즈니스의 전성기를 여는 이야기.



3. 포스터[편집]


파일:압구정 리포트 티저포스터.jpg
시나리오 포스터


4. 예고편[편집]


런칭 예고편

공식 예고편


5. 등장인물[편집]


  • 마동석 - 강대국 역
  • 정경호 - 박지우 역
  • 오나라 - 오미정 역
  • 최병모 - 조태천 역
  • 임형준 - 임형준 역
  • 나광훈[4] - 왕진수 회장 역
  • 김혜원 - 왕 회장 통역 역
  • 길해연 - 김회장 역
  • 차우진 - 오형사 역
  • 김찬형 - 박형사 역
  • 한보름 - 한비 역
  • 김서연 - 두비 역
  • 박성일 - 경제팀 형사 2 역
  • 하혜승 - 김솔 성형외과 간호사 역
  • 박민관 - 황 박사 역
  • 특별출연

6. 줄거리[편집]


샘솟는 사업 아이디어와 타고난 말빨의 압구정 토박이 ‘대국’(마동석)은 한때 잘나가던 실력 TOP 성형외과 의사 ‘지우’(정경호)를 만나게 된다. 재기를 꿈꾸는 그의 욕심과 잠재력을 한눈에 알아본 ‘대국’은 일생일대의 사업 수완을 발휘할 때가 왔음을 본능적으로 직감한다. ‘대국’은 남다른 추진력으로 ‘지우’의 실력, 압구정 인싸 ‘미정’(오나라)의 정보력, 압구정 큰 손 ‘태천’(최병모)의 자본, 그리고 압구정 황금줄 ‘규옥’(오연서)의 인맥을 한데 모아 압구정을 대표하는 성형외과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뷰.티.도.시.를 꿈꾸는데… “형이 싹 다 꾸며 줄게. 뭔 말인지 알지?”

7. 사운드트랙[편집]




8. 배경[편집]


  • 극 초반 전경에서 씨네시티가 보이고, 극 후반 전경에서 이 건물이 CGV 청담씨네시티로 바뀌어있는 장면을 통해 시간이 흘렀음을 보여준다. 씨네시티가 CGV에 인수되어 CGV 간판까지 달고 리모델링까지 완료된 시점은 2011년 10월경이다.#


9.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영화코드|
스코어
스코어 별점 / 5.00
비평 별점
비평가 별점 / 5.00
관객 별점
관객 별점 / 5.00
]]
||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별점 / 10




파일:movies_r_34_2x.png
별점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 5.0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평점 / 1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5.6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4.4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2.0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37.14% 별점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5973|
기자·평론가
4.25 / 10
관람객
6.18 / 10
네티즌
5.17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4.25 / 10
관람객
6.18 / 10
네티즌
5.17 / 10
]]
평점 6.1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4.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77%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8.1 / 10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평점 7.4 / 10



MRQE
평점 / 100













★★
흥청망청 놀다 다퉜다는 꾸정물 이야기
- 이용철
★★☆
입으로 때리는, 마블리 자기복제 열화판
- 송경원
★★
꾸역꾸역 말장난만
- 박평식

당해에 천만 관객을 터뜨린 마동석이 주연으로 나서는 새로운 작품이니만큼 주목도가 꽤 있었으나 정작 개봉 후의 평가는 불호 쪽에 더 힘이 실리고 있다. 2022년 겨울에 개봉한 기대작 중 네이버 관람객 평점이 아바타: 물의 길 8.84 > 올빼미 8.74 > 영웅 8.34 > 압꾸정 5.99으로 혼자 망작 단계인 5점대 후반을 받았고, 다음 영화의 평점도 영웅 9.0 > 올빼미 8.9 > 아바타: 물의 길 7.9 > 압꾸정 4.4로 이곳에서도 가장 낮게, CGV 골든에그지수도 올빼미 98% > 아바타: 물의 길 96% > 영웅 92% > 압꾸정 77%로 마찬가지로 가장 저조한 평점을 받았다.[5]

기본적으로 코미디 영화를 표방한 것에 비해 개그의 타율이 높다고 보긴 어려운데다, 그마저도 마동석표 코미디 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익숙한 맛의 그것들이 대부분인지라 웃음을 끌어내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전반적인 전개에 있어서도 예고편만 보더라도 대충 어떤 영화인지 견적이 나온다고 봐도 틀리지 않을만큼 뻔한 클리셰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나마 초중반 부분은 나름 괜찮게 끌어가는가 싶더니 소설의 구성단계 요소 중 위기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이해가 안되는 전개가 이어지는 전형적인 용두사미 영화의 모범을 보여준다. 더군다나 대국을 비롯한 작중 주역들이 비호감을 유발하기 좋은 캐릭터들임에도 이를 영화 내에서 잘 포장해 해결하기보다는 배우들의 이미지에 기대어 무마시키려는 편한 길을 선택했다는 점도 비판받는 부분. 그 때문에 관객들 사이에서는 오나라와 오연서의 미모가 티켓 값을 다 했다는 웃지못할 드립도 나돈다.


10. 흥행[편집]



10.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3,420명3,420명미집계4,972,000원34,564,000원
1주차2022-11-30. 1일차(수)96,035명409,914명2위767,149,112원3,879,832,023원
2022-12-01. 2일차(목)50,922명2위475,061,501원
2022-12-02. 3일차(금)44,728명2위434,391,958원
2022-12-03. 4일차(토)86,771명2위894,422,727원
2022-12-04. 5일차(일)82,665명2위858,576,872원
2022-12-05. 6일차(월)24,423명2위226,469,807원
2022-12-06. 7일차(화)24,378명2위223,760,046원
2주차2022-12-07. 8일차(수)23,380명172,154명2위212,559,858원1,635,748,375원
2022-12-08. 9일차(목)25,104명2위221,495,931원
2022-12-09. 10일차(금)23,694명2위224,377,847원
2022-12-10. 11일차(토)35,282명2위358,443,316원
2022-12-11. 12일차(일)34,046명3위347,003,281원
2022-12-12. 13일차(월)13,598명3위122,552,472원
2022-12-13. 14일차(화)17,050명3위149,315,767원
3주차2022-12-14. 15일차(수)4,535명18,492명6위34,829,197원145,720,763원
2022-12-15. 16일차(목)3,377명6위28,411,851원
2022-12-16. 17일차(금)4,632명6위39,443,894원
2022-12-17. 18일차(토)1,703명8위14,446,592원
2022-12-18. 19일차(일)1,429명8위12,006,634원
2022-12-19. 20일차(월)1,298명7위9,627,200원
2022-12-20. 21일차(화)1,036명9위7,867,798원
4주차2022-12-21. 22일차(수)1,518명3,845명9위10,276,000원24,843,500원
2022-12-22. 23일차(목)782명14위4,668,000원
2022-12-23. 24일차(금)588명12위4,158,000원
2022-12-24. 25일차(토)202명21위1,480,500원
2022-12-25. 26일차(일)159명24위976,000원
2022-12-26. 27일차(월)220명22위1,162,000원
2022-12-27. 28일차(화)375명15위2,117,000원
합계누적 관객수 608,200명, 누적 매출액 5,720,708,661원[6]

손익분기점은 190만명이다.

개봉 전에는 작은 기대작이었으나, 개봉 첫날부터 혹평을 받으며 평판도 급격히 떨어지고, 압꾸정의 흥행 가능성에 물음표가 계속 붙고 있다.

• 1주 차
개봉 첫날에 문화의 날에 9만 6천명이 동원해 올빼미에 이은 박스오피스 2위로 출발했으나, 바로 혹평을 받으며 2일차에는 5만 명을 동원해 관객수가 4만 명이나 추락하였다. 15만을 넘겼으나 손익분기점 돌파에는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3일차에는 4만 명대까지 추락하였고, 20만 명도 4,895명 차이로 돌파하지 못했다. 4일차에 25만까지 넘기는 데 성공했으나 주말 관객수가 개봉 첫날 관객수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 (9만 > 8만) 지금 추세로는 손익분기점 돌파는 불가능하거나 힘들 것으로 보이며, 3주차에는 아바타: 물의 길까지 개봉할 예정이어서 흥행 전망이 더욱 어둡다. 결국 6일차에는 관객수가 2만 명대까지 무너졌다.

• 2주 차
2만 3천 명을 동원하여 박스오피스 2위는 지켜냈지만 여전히 흥행은 부진하다. 11일차에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겨우 3만 5천 명을 넘어 52만명에 그쳤다. 개봉 12일차에 일본영화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에게 밀려 3위로 내려갔다. 아바타: 물의 길 개봉 이후 이 추세라면 누적 관객수 60만 대 초중반에서 끝날 가능성이 높다.

• 3주 차
59만 명을 돌파하며 60만 명에 육박했다. 하지만 아바타 개봉 이후 많은 영화들에게 뒤처지면서 6위로 떨어지고 관객수도 만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그리고 16일차에는 3천 명대로 떨어지며 사실상 상영종료 단계에 접어들고 말았다. 이 추세라면 70만 돌파도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이 흥행에는 확실히 실패하면서 쇼박스의 2022년 작품[7] 중 성공한 작품은 단 한 작품도 없게 되었다. 18일차에 겨우 60만명을 넘었다. 하지만 1주차와 마찬가지로 주말 관객수가 평일 관객수보다 확 줄었다. 19일차에는 관객수가 1500명도 넘기지 못하면서 영웅 개봉 후 완전히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분위기. 결국 미스터 주: 사라진 VIP의 관객수를 겨우 넘기는 데 만족해야 했다.

• 4주 차
결국 23일차에 처음으로 10위 밖으로 밀려났고, 관객수도 700명대로 떨어지고 말았다. 30일차에 60만 8천 명에서 막을 내렸다. 10위권 밖으로 빠지자 12월 28일 VOD서비스를 시작한다. 결국엔 흥행 실패로 막을 내렸다. [8]

개봉 전에는 서술했듯이 주목도가 꽤 있었으나 1주차에 40만 명을 동원했는데, 2주차 동원 관객은 17만 명으로 1주차보다 약 50~60%나 감소했다. 2주차에 50만 명을 넘기는 데 성공했지만 3주차부터는 예매율이 감소하더니 3주차 주말 관객을 모아서야 60만 명을 돌파했다.

4주차에는 관객수가 1천명대 이하로 떨어졌고, 61만 명마저 돌파하지 못했다(…).

이 작품마저 흥행에 실패하며 쇼박스는 2022년에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비상선언, 압꾸정의 기록으로 상당한 적자를 기록했다.


11. 기타[편집]





[1] 동네사람들을 연출 및 집필했다.[2] 손익분기점은 190만 명이다.[3] 2023년 3월 8일 공개.[4] 도둑들에서 홍콩반장/수사과장 역 이였다. 신세계에서 양문석 변호사 역할이었다.[5] 골든에그지수는 직접 돈을 내고 본 관객들이 평가하기 때문에 80% 미만을 받는 것이 많이 어렵다. 네이버 관람객 평점처럼 80% 이하로 떨어지는 작품은 망작으로 분류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인식이 퍼져있다.[6] ~ 2022/12/27 기준[7]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비상선언, 압꾸정[8] 여담이지만 최종 관객수를 3배나 늘려도 손익분기점보다 적다. (최종 관객수 608,639명x3=1,825,917명 < 손익분기점 1,900,000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