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야미시바이

덤프버전 :

파일:101046412_24L.jpg

야미시바이
闇芝居
장르호러물, 도시전설
애니메이션 제작파일:이루카 로고.png
제작「야미시바이」 제작위원회
각본구마모토 히로무
방송사TV 도쿄
방송 기간제1기 : 2013. 07. 14. - 2023. 09. 29.
제2기 : 2014. 07. 06. - 2014. 09. 28.
제3기 : 2016. 01. 10. - 2016. 04. 03.
제 4기 : 2017. 01. 16. - 2017. 03 .26.
제5기 : 2017. 07. 03. - 2017. 10. 02.
제6기 : 2018. 07. 07. - 2018. 09. 29.
제7기 : 2019. 07. 08. - 2019. 09. 30.
제8기 : 2021. 01. 10. - 2021. 04. 04.
제9기 : 2021. 07. 11. - 2021. 10. 03.
제10기 : 2022. 01. 10. - 2022. 04. 04.
제11기 : 2023. 07. 10. -
화수1기 : 13화
2기 : 13화
3기 : 13화
4기 : 13화
5기 : 13화
6기 : 13화
7기 : 13화
8기 : 13화
9기 : 13화
10기 : 13화
11기 : 화
관련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에피소드 목록
2.1. 1기
2.2. 2기
2.3. 3기
2.4. 4기
2.5. 5기
2.6. 6기
2.7. 7기
2.8. 8기
2.9. 9기
2.10. 10기
2.11. 11기
3. 등장인물
3.1. 그림 연극의 남자
3.2. 1기
3.3. 2기
3.4. 3기
3.5. 4기
3.6. 5기
3.7. 6기
3.8. 7기
3.9. 8기
3.10. 9기
3.11. 10기
3.12. 11기
4. 미디어믹스
4.1. 코미컬라이즈
5. 기타


들렀다 가세요, 보러 오세요. 어둠의 연극 할 시간이에요~

よってらっしゃい見てらっしゃい。闇芝居の時間だよぉ~。



1. 개요[편집]


일본의 도시전설 이야기를 다루는 성인 단편 애니메이션. 제목인 야미시바이(闇芝居)는 직역하면 어둠의 연극. 3~4분 가량의 단편 옴니버스로, 1기 1화 방송 후 일본 웹사이트 검색 순위에서 검색어 1위를 기록하는 등의 주목을 받았다.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한 호러 애니메이션답게 엔딩이 시청자의 상상에 맡기는 애매모호한 나폴리탄 계열이 많으며 에피소드에 따라 짧고 강렬한 공포를 주는 반면 이해가 안 가서 밍숭맹숭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1기와 2기는 쇼와 느낌의 분위기면서 거친 저예산 작화가 인상적이었으나, ILCA가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의 폭넓은 작품을 다루고 있어 3기 이후로는 매번 다른 작풍으로 완성되었다. # 이러한 기법은 개인의 기호에 따라 호불호가 꽤 나뉘는 편.[2]

투니버스 홈페이지에서 어둠의 연극이라는 제목으로 1기와 2기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마인탐정 네우로처럼 투니버스임에도 더빙이 없다. 1기 링크, 2기 링크 현재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중지한 것으로 보인다.


2. 에피소드 목록[편집]


야미시바이는 방송 중에 공식 홈페이지에 소문(단편 소설)을 업로드 한다. 화수가 공백인 건 사이트에 업로드 된 소설이다.


2.1. 1기[편집]


화수[3]날짜제목
2013년
7월 11일
소리
17월 14일부적 여자
27월 21일잔바이(惨拝)
37월 22일가훈
7월 28일옥상
48월 4일머리카락
8월 7일탈의실
58월 11일다른층
8월 14일죽음의 풍선
68월 18일그물선반
78월 25일모순
8월 28일틈새
89월 1일우산귀신
99월 1일저주
9월 4일로커의 안
109월 8일
9월 11일쿄코
119월 15일비디오
9월 18일까맣게 탄 인형
129월 22일토모나리 군
9월 25일거꾸로
139월 29일씌이다
10월 6일
10월 13일젖은 아이
10월 21일터널
10월 28일대역 지장


2.2. 2기[편집]


화수[4]날짜제목
2014년
3월 2일
이불
3월 27일그네
4월 9일빨간 하이힐
4월 16일할머니와 고양이
4월 23일와줘
4월 30일트렁크속
5월 7일옆의 아이
5월 14일커튼 너머
5월 21일
5월 28일미닫이 구멍
6월 4일테루테루보즈
6월 11일시선
6월 18일머리카락 님
6월 25일고기 동맥류
7월 2일옷장
17월 9일타로 쨩
27월 16일부엌
37월 23일알맹이
47월 30일벽녀
58월 3일로커
68월 10일나오 쨩
78월 17일가챠
88월 24일고별
98월 31일오미니에 상
109월 7일신물
119월 14일주운 업
129월 21일자물쇠
139월 28일기고(寄鼓)


2.3. 3기[편집]


화수[5]날짜제목
12016년
1월 10일
빌려줘
1월 13일입다
21월 17일터널
1월 20일건널목31월 24일
1월 27일집에 돌아가자
41월 31일북적이는 병실
2월 3일데굴데굴
52월 7일박제박물관
2월 10일동묘
62월 14일저쪽의 축제
2월 17일포효
72월 21일뒤에
2월 24일치아
82월 28일오히나사마
3월 2일관리인 씨의 일
93월 6일4명째
3월 9일롤러코스터
103월 13일회전목마
3월 16일심야방송
113월 20일뻐꾸기 시계
3월 23일말하고 싶은 입
123월 27일물 속
3월 30일빨간 대나무
134월 3일그림


2.4. 4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17년
1월 15일
2수조
3재단가위
41월 22일빨간 하이힐
51월 29일야간 버스
62월 5일누구게
72월 12일구두 소리
82월 19일카세트 테이프
92월 26일이갈이
103월 5일요비즈루(招び鶴)
113월 12일하얀 선
123월 19일가마쿠라
133월 26일지하도


2.5. 5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17년
7월 3일
잘못걸린 전화
27월 10일
37월 17일까마귀 아이
47월 24일따라쟁이
57월 31일그녀의 그림자
68월 7일오카에시사마
78월 14일은연모
88월 28일이웃분
99월 4일유령을 보고 싶다면
109월 11일꽃 점치기
119월 18일나 혼자면 돼
129월 25일마지막 버스
1310월 2일요부
[6]


2.6. 6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18년
7월 6일
뇌객(雷客)
27월 13일풍지(風知)
37월 20일토모나시 동굴(友無洞)
47월 27일봉소(奉沼)
58월 3일물방울(雫来)
68월 10일벚꽃(咲暗)
78월 17일개구리알(蛙卵)
88월 24일바다 제비(海籤)
98월 31일진흙 놀이(泥戯)
109월 7일무자키(無邪樹)
119월 14일각빙(覚氷)
129월 21일폭포 소리(滝落)
139월 28일메아리(山曳呼)


2.7. 7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19년
7월 8일
택배
27월 15일잠이 오지 않는 아이
37월 22일응접실
47월 29일그림
58월 5일종료 안내
68월 12일베란다
78월 19일공중전화
88월 26일기침
99월 2일엘레베이터의 여자
109월 9일만화 카페
119월 16일여동생의 방
129월 23일피팅룸
139월 30일냉장고


2.8. 8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21년
1월 10일
손수건 흘림
21월 17일명일
31월 24일뒤를 보지마
41월 31일콩 뿌리기
52월 7일웃음소리
62월 14일낚시의 성과
72월 21일잇슨보시
82월 28일구앙
93월 7일개미지옥
103월 14일눈 발자국
113월 21일지벌
123월 28일실전화
134월 4일잠꼬대


2.9. 9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21년
7월 11일
쥐 시집
27월 18일토끼집의 사나이
37월 25일44마리째의 양
48월 1일충견
58월 8일종이 호랑이
68월 15일정령 소
78월 22일닭군
88월 29일목마
99월 5일축 뱀
109월 12일멧돼지 전골
119월 19일용궁
129월 26일원숭이 맞춤
1310월 3일고양이 해


2.10. 10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22년
1월 10일
그만두고 싶은 일
21월 17일엔딩 노트
31월 24일하루의 마지막
41월 31일막차
52월 7일최후의 손님
62월 14일수집소
72월 21일터널에서 일어난 일
82월 28일손목시계
93월 7일미래의 나에게
103월 14일별동
113월 21일바이바이
123월 28일손가락걸기
134월 4일백화목


2.11. 11기[편집]


화수날짜제목
12023년
7월 9일
돌아온 타로짱
27월 16일새댁
37월 23일재생지
47월 30일그때의
58월 6일솔로 캠프
6월 일
7월 일
8월 일
9월 일
10월 일
11월 일
12월 일
13월 일


3. 등장인물[편집]



3.1. 그림 연극의 남자[편집]


파일:S000805_large.jpg

얼굴에 가면을 쓴 전형적인 그림 연극[7]사의 외형을 한 남자. 성우는 츠다 칸지[8]. 코믹스판에 따르면 본명은 황천사(黄泉手).

3기를 제외한 모든 시즌에서 "들렀다 가세요, 보러 오세요. 어둠의 연극 할 시간이에요~"로 운을 떼는 이야기꾼. 옴니버스 성향이 강한 작품이지만 이 남자만큼은 개근 출연중이다. 사실상 야미시바이의 나레이션 담당 겸 주인공. 일웹에서는 아저씨(おじさん)라는 친근한 별명으로 불린다.

초기에는 그저 묵묵히 이야기만 들려주는 NPC에 가까운 느낌이었으나 2기부터 상황에 따라 목소리를 내리깔거나 감성이 실리는 등 비교적 인간적인 면모가 짙어졌다.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이야기를 끝마친 후 "하핫!" 하고 웃음을 터뜨리기도.

파일:C0ioIGSUUAAgsYw.jpg

어둠의 연극을 하는 거 외에는 이 남자의 신원도, 과거도 파악 할 수 없었던 신비주의로 똘똘 뭉쳤지만 3기 최종화 '그림'에서 남자의 어린 시절로 추측되는 소년이 등장하기도 했다.

막 부임한 교육실습생이 그림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는 소년에게 자신도 그려달라 하자 시시하다며 딱 잘라 말해 관심조차 주지 않았으나, 우연히 소년이 괴물 앞에서 쪼그려 앉아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게 된 후 소년의 뒤를 밟은 교생에게 "선생님, 처음 만났을 때보다 재밌어졌네. 그러니까 그려줄게." 말하며 그녀를 살해한다.

고로 3기 내내 등장한 그 기괴한 괴물은 전부 소년이 원흉. 교생의 이야기가 끝나자 어둠의 연극을 하던 남자도 재등장하여 엔딩을 선언했지만 몇 번이고 끝을 외치면서 구경하던 아이들을 괴물로 만들어버린다. 그리고 마지막에 남은 건 남자와 똑같은 가면을 쓴 소년.

3기가 이질적인 시즌으로 안 좋은 평이 많았지만 가장 큰 불만은 '왜 아저씨가 등장하지 않느냐' 였는데 결국 다른 시즌과 마찬가지로 초반에 나오긴 나왔던 것이다.[9]


3.2. 1기[편집]




3.3. 2기[편집]




3.4. 3기[편집]




3.5. 4기[편집]




3.6. 5기[편집]




3.7. 6기[편집]




3.8. 7기[편집]




3.9. 8기[편집]




3.10. 9기[편집]




3.11. 10기[편집]




3.12. 11기[편집]




4. 미디어믹스[편집]



4.1. 코미컬라이즈[편집]


  • 월간 빅간간에서 여러 작가에 의한 3호 연속 단기집중 연재로 시작해서 야미시바이 (키)가 연재됐다
  • 차오 DX 2016년 1월 호에서 코미컬라이즈 게재. 또한 코믹스로도 발매했다. 저자는 사카모토 이사오.


5.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0:46:57에 나무위키 야미시바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하게 무섭지는 않으나 음산한 분위기이니 클릭시 주의할 것[2] 특히 3기의 경우 1~2기와 확연히 달라진 화풍도 화풍이지만, 도시전설에서 벗어나 기괴한 이형의 괴물 위주로 가서 악평을 들었다.[3] 화수가 없는 에피소드는 사이트에 글로만 존재하고 애니화는 안된 에피소드[4] 화수가 없는 에피소드는 사이트에 글로만 존재하고 애니화는 안된 에피소드[5] 화수가 없는 에피소드는 사이트에 글로만 존재하고 애니화는 안된 에피소드[6] 2017년 8월 21 휴방.[7] 紙芝居, 가미시바이[8] 4기는 성우가 여러명이다.[9] 엔딩이 복선이었다. 남자가 쓴 가면이 소년의 귀에서 속삭이는 장면에서 가사가 "자, 이제 시작해보자. 스포트라이트는 없는 어둠 속에서의 연극". 일본에서는 세뇌 엔딩(...)으로 불리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