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북한 메달리스트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올림픽


1. 개요
2. 하계 올림픽
2.1. 금메달
2.2. 은메달
2.3. 동메달
3. 동계 올림픽
3.1. 금메달
3.2. 은메달
3.3. 동메달
4. 종목별 메달 개수
4.1. 하계 올림픽[1]
4.2. 동계 올림픽[2]



1. 개요[편집]


북한올림픽 메달리스트를 기록한 문서.


2. 하계 올림픽[편집]



2.1. 금메달[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972 뮌헨 올림픽남자사격50m 복사리호준[3]
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복싱밴텀급구영조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남자복싱플라이급최철수
남자레슬링자유형 -48kg김일[4]
남자기계체조안마배길수[5]
남자레슬링자유형 -51kg리학선
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레슬링자유형 -48kg김일[6]
여자유도-48kg계순희[7]
2008 베이징 올림픽여자역도-63kg박현숙
여자기계체조도마홍은정
2012 런던 올림픽여자유도-52kg안금애
남자역도-56kg엄윤철
여자역도-69kg림정심
남자역도-62kg김은국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여자역도-75kg림정심[8]
남자기계체조도마리세광[9]


2.2. 은메달[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972 뮌헨 올림픽남자복싱라이트플라이급김우길
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복싱라이트플라이급리병욱
1980 모스크바 올림픽남자역도-52kg허봉철
남자레슬링-57kg리호평
남자레슬링자유형 -51kg장세홍
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역도-75kg김명남
2000 시드니 올림픽여자역도-58kg리성희
2004 아테네 올림픽여자역도-58kg리성희
남자복싱페더급김성국
여자탁구단식김향미
여자유도-57kg계순희
2008 베이징 올림픽여자유도-52kg안금애
여자역도-58kg오정애[10]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남자역도-56kg엄윤철
여자역도-63kg최효심
여자역도+75kg김국항


2.3. 동메달[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972 뮌헨 올림픽여자배구대표팀[11][12]
남자레슬링자유형 -52kg김광형
남자유도-63kg김용익
1980 모스크바 올림픽남자역도-52kg한경시
남자복싱라이트플라이급리병욱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여자탁구복식리분희/유순복
여자탁구단식리분희
남자복싱밴텀급리광식
남자레슬링자유형 -57kg김용식
남자역도-75kg김명남
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역도-76kg전철호
남자레슬링자유형 -57kg리영삼
2000 시드니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4kg강영균[13]
여자유도-52kg계순희
남자복싱라이트플라이급김은철
2004 아테네 올림픽남자사격권총 50m김정수[14]
2008 베이징 올림픽남자유도-66kg박철민
여자유도-63kg원옥임
2012 런던 올림픽여자역도-48kg양춘화
남자레슬링자유형 -55kg양경일
남자역도-69kg김명혁[15]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남자사격권총 50m김성국[16]
여자탁구단식김송이


3. 동계 올림픽[편집]



3.1. 금메달[편집]


없음


3.2. 은메달[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여자스피드 스케이팅3000m한필화[17]


3.3. 동메달[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500m황옥실


4. 종목별 메달 개수[편집]



4.1. 하계 올림픽[18][편집]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역도58518
레슬링32510
체조3003
복싱2338
유도2248
사격1023
탁구0134
배구0011
합계16162355


4.2. 동계 올림픽[19][편집]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스피드 스케이팅010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0011
합계0112

[1] 2020 도쿄 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3] 북한 최초의 하계 올림픽 메달이자 한민족이 해방 이후 처음으로 따낸 올림픽 금메달. 이 대회에서 올림픽 및 세계신기록을 수립했다.[4] 결승에서 대한민국의 김종신을 이기고 금메달을 땄다. 올림픽 사상 최초로 성사된 결승전 남북대결이었다.[5] 이 대회에서 6관왕에 오른 '비탈리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국적은 벨라루스)와 점수가 같아 공동으로 금메달을 받았다.[6] 북한 최초의 올림픽 2연속 금메달리스트[7] 북한 여자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8] 북한 최초의 올림픽 2연속 여성 금메달리스트[9] 직전 대회 이 종목에서 우승한 양학선에 이어 남북한 선수가 2회 연속 우승하는 진기록을 남겼다. 그리고 다음 대회 이 종목에서 대한민국의 신재환이 우승함으로서 남북한 선수가 번갈아 가며 3회 연속 금메달을 차지하게 되었다.[10] 원래는 3위였으나 상위 선수의 도핑 적발로 승격되었다.[11] 강옥순, 황희숙, 장옥림, 정옥진, 김증복, 김명숙, 김연자, 백명숙, 리춘옥, 렴춘자, 김수대[12] 한민족이 구기종목에서 처음으로 따낸 올림픽 메달. 이 대회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을 세트스코어 3-0으로 누르고 동메달을 획득했다.[13] 이 종목에서 대한민국의 심권호가 준결승에서 강영균을 이기고 금메달을 땄다. 실제로 심권호는 방송에 출연해서도 강영균을 영균이라 칭할 정도로 강영균과 은근히 친하다.[14] 이 종목에서 대한민국의 진종오가 은메달을 땄다. 김정수는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진종오의 뒤를 이어)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금지 약물 복용으로 메달이 박탈되었다.[15] 원래는 4위였으나 상위 선수의 도핑 적발로 메달을 2021년 6월 승계받았다.[16] 이 종목에서 진종오가 올림픽 3연속 금메달을 달성했다.[17] 북한 최초이자 한민족이 처음으로 따낸 동계 올림픽 메달.[18] 2020 도쿄 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19]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3:55:45에 나무위키 올림픽/북한 메달리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