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왕도(드라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왕도 문서
왕도번 문단을
왕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1981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1982
파일:풍운 로고(흑).png[[파일:풍운 로고.png
1983
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1984
파일:독립문 로고(흑).png[[파일:독립문 로고.png
1985
파일:새벽 로고(흑).png[[파일:새벽 로고.png
1986~1987
파일:노다지 로고(흑).png[[파일:노다지 로고.png
1987
파일:이화 로고(흑).png[[파일:이화 로고.png
1987~1989
파일:토지 로고(흑).png[[파일:토지 로고.png
1989~1990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1990
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1991
파일:왕도 로고(흑).png[[파일:왕도 로고.png
1991~1992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1992~1993
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1993~1994
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1995
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1995~1996
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1996~1998
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1998~2000
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2000~2002
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2002~2003
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2003~2004
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2004~2005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2006
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파일:서울 1945 로고.png
2006~2007
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2008
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2009
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2010~2011
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2011~2012
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2012~2013
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2014
파일:정도전 로고(흑).png[[파일:정도전 로고.png
2015
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2016
파일:장영실 로고(흑).png[[파일:장영실 로고.png
2021~2022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2023~2024
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화이트.png
고려 거란 전쟁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KBS 1TV 역사드라마
왕도 (1991)
王道 / The Royal Way
파일:왕도 오프닝 타이틀.pn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일요일 / 21:30
방송 기간1991년 1월 6일 ~ 1991년 10월 5일
방송 횟수34부작
장르대하사극
제작KBS 자체제작
채널KBS 1TV
제작진연출김재형
극본김항명
원작유현종 저,
소설 《사설 정감록》
출연김영철, 강석우, 김성원, 신구, 정영숙, 김자옥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등장인물
2.1. 주연
2.2. 홍국영 주변 인물
2.3. 왕실
2.4. 조정
2.5. 기타



1. 개요[편집]


1991년 1월 16일부터 1991년 10월 5일까지 방영된 11번째 KBS 대하드라마로 방영 당시에는 타이틀에 '역사드라마'라 했다.

유현종 작가가 1989년 1월 1일부터 1990년 12월 30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한 역사소설 <사설 정감록>을 원작으로 했는데, 원작은 조선 정조 초기 실권자였던 홍국영의 일생을 중심으로 다뤘지만 드라마화되는 과정에서 정조의 비중을 더 높여 정사 위주로 했으며, 고증 자문위원으로 김환덕 한국민족문화고증학회 학술이사, 국문학자 김용숙(1923~2003) 박사, 국사학자 류영박 교수 3명을 투입해가며 시청자들이 어려워하는 고사성어나 한자어가 나오면 한자와 그 뜻을 제시해 교육성을 더 강화했고, 고증 측면에서 영조 때의 과거 모습을 문헌에 근거해서 재현해냈다. 첫회의 빠른 전개와는 달리 큰 줄거리가 중구난방으로 진행되어 말이 많았다.(조선일보 기사) 당연히 방영된 시기상 노론사관은 없었다.[1]

종영 후 한국에서 한동안 재방영이 없어서 KBS 미디어를 통해 비싼 값을 치러 구매하는 길밖에 없었지만, 2022년 3월 10일부터 유튜브 KBS Drama Classic 채널을 통해 유료 다시보기 서비스를 개시했다.

반면 일본에선 한류 열풍을 타고 2010년 5월에 엡콧 사를 통해 DVD로 나온 뒤, 8월 11일부터 9월 28일까지 니혼 테레비 계열 위성채널 'BS닛테레'를 통해 자막방영된 바 있다.(일본측 홈페이지)


2. 등장인물[편집]



2.1. 주연[편집]


  • 김영철: 홍국영
  • 강석우: 정조[2]


2.2. 홍국영 주변 인물[편집]


  • 강문영: 홍남이 역[3]
  • 이대로: 홍낙춘 역[4][5]
  • 이덕희: 월례 역[6][7]
  • 태민영: 명섭 역[8]


2.3. 왕실[편집]


  • 김성원: 영조[9]
  • 김자옥: 정순왕후 김씨
  • 정영숙: 혜경궁 홍씨
  • 이효춘: 화완옹주
  • 박순애: 순지 역


2.4. 조정[편집]





2.5. 기타[편집]



[1] 김항명 작가가 쓴 태양인 이제마에서 스토리텔러로 참여한 윤선주 작가도 훗날 영정조 시기를 다룬 비밀의 문을 썼지만 노론사관으로 너무 엉망이 된 사극이 되어버렸다. 또한 태양인 이제마의 보조작가였던 김태희 작가도 정조시대를 모티브로한 성균관 스캔들을 썼는데 윤선주보다는 덜하지만 역시나 노론사관 투성이였으며 이런 문제점과 작가의 세계관이 60일, 지정생존자로 이어졌다.[2]조선왕조 500년 - 인현왕후〉에서는 정조의 증조부 숙종 역을 맡았다.[3] 홍국영의 누이 동생.[4] 홍국영의 아버지.[5]태조 왕건〉에서는 도선대사, 〈야인시대〉에서는 염동진 역을 맡았다.[6] 홍국영의 아내.[7]야인시대〉에서는 김두한의 큰어머니 역을 맡았다.[8] 홍국영의 친구.[9]조선왕조 500년 - 한중록〉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