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외동

덤프버전 :

||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행정동
내외동
內外洞 | Naeoe-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김해시
행정표준코드5350058
관할 법정동내동, 외동
하위 행정구역88통 554반
면적5.40㎢
인구72,528명[1]
인구밀도13,431.11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김해시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정호 (재선)
경상남도의원 | 제7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시영 (초선)
김해시의원 | 사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서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진규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송재석 (초선)

행정복지센터내외로 67 (내동 1116-4)
내외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역사
3. 관할 법정동
3.1. 내동
3.2. 외동
4. 역사문화재
5. 교통
5.1. 시내버스
5.2. 시외버스
5.3. 도시철도
6. 학교 목록
6.1. 초등학교
6.2. 중학교
6.3. 고등학교
7. 주요 시설
7.1. 상업시설
7.2. 의료
7.3. 주거
7.3.1. 내동
7.3.2. 외동


1. 개요[편집]


내외동은 경상남도 김해시행정동으로 법정동내동외동을 합친 이다. 북쪽으로는 법정동인 구산동, 동쪽으로는 대성동, 봉황동, 남쪽으로는 주촌면, 행정동인 칠산서부동과 접해있다.

전국에서 13번째로 인구 수가 많은 행정동이다.[2]

김해시에서 가장 큰 번화가로 유명하다. 부원동, 서상동 일대의 구도심(일명 김해시내)을 밀어내고 김해의 새 중심지가 되었다. 외동은 일반적인 동네로서 저층 주택이 밀집해 있지만, 대부분이 이었던 내동은 신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아파트 앞에 이 널려있다. 술집도 많고, 학교도 많다. 동시에 학원가가 밀집해 있기에 한 건물 상가 안에 학원, 은행, 사무소, 술집 등이 동시에 공존하는 괴이한 빌딩이 엄청 많다. 연지공원, 김해문화의전당, 시민스포츠센터, CGV 김해 이외에도 홈플러스 김해점이나 휴앤락 등의 각종 쇼핑, 여가, 문화시설들이 즐비하다. 주변 도시인 창원시상남동을 축소시켜 놓은 듯한 분위기.

2007년 기준으로 강남구 대치동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입시학원이 밀집한 학원가 지역이었다.#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에 따르면 폭행, 절도, 성폭력 사건이 김해시에서 제일 많이 발생한 우범지역이 내외동의 중앙사거리 근처이다.[3]


2. 역사[편집]


파일:가야왕도.png내동 동명 변천사파일:가야왕도.png외동 동명 변천사
1895년김해군 우부면 내리1895년김해군 우부면 외리
1914년김해군 우부면 내동리1914년김해군 우부면 외동리
1919년 7월김해군 김해면 내리1919년 7월김해군 김해면 외리
1931년 11월 1일김해군 김해읍 내리1931년 11월 1일김해군 김해읍 외리
1947년 6월 25일김해군 김해읍 내동1947년 6월 25일김해군 김해읍 외동
1981년 7월 1일김해시 내동1981년 7월 1일김해시 외동

파일:가야왕도.png내외동 역사
1981년 7월 1일내동과 외동을 합친 행정동을 내외동이라 함.

파일:내외동고지도.png파일:내외동1970.png
옛 지도에서 본 내외동1970년대 내외동
파일:내외동1980.png파일:내외동2000.png
1980~1990년대 내외동2000년대 내외동
파일:2015년내외동.png
2015년 내외동
파일:내외동지도.png
2019년 내외동
경운산 기슭을 중심으로 북쪽 마을을 내리라 불렀고, 바깥쪽 마을을 외리라 부른 것이 시초이다.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2000년대 이전의 내외동은 논 천지였다. 해반천을 중심으로 득수 취락과 배산임수 취락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급격하게 발전하여 현재의 내외동을 이루었다.


3. 관할 법정동[편집]



3.1. 내동[편집]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법정동
내동
內洞 | Nae-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김해시
행정표준코드4825010800
관할 행정동내외동
면적2.54㎢


3.2. 외동[편집]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법정동
외동
外洞 | Oe-dong
광역자치단체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김해시
행정표준코드4825010900
관할 행정동내외동
면적2.87㎢


4. 역사문화재[편집]


파일:문화재청 CI_좌우.svg내외동 문화재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9호
김해 흥부암 소장 오대진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7호
김해 바라밀선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약초서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73호
김해 오광대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7호
내동 지석묘경상남도 기념물 제97호
김해 바라밀선원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43호


5. 교통[편집]



5.1. 시내버스[편집]




5.2. 시외버스[편집]




5.3. 도시철도[편집]



6. 학교 목록[편집]



6.1. 초등학교[편집]


  • 내동초등학교
  • 우암초등학교
  • 경운초등학교
  • 외동초등학교 [4]
  • 가야초등학교
  • 임호초등학교
  • 봉명초등학교
  • 영운초등학교


6.2. 중학교[편집]




6.3. 고등학교[편집]




7. 주요 시설[편집]



7.1. 상업시설[편집]



7.2. 의료[편집]




7.3. 주거[편집]



7.3.1. 내동[편집]


  • 대우건설 연지공원 푸르지오[5] - 2022년 3월 입주.
  • 홍익아파트 - 1990년 7월 입주
  • 한진아파트 - 1992년 5월 입주
  • 동부아파트 - 1996년 12월 입주
  • 동부건설 김해 내동 동부아파트 - 1996년 12월 입주.
  • 동아건설산업 내동 1차 동아아파트 - 1997년 1월 입주.
  • 동아건설산업 내동 2차 동아아파트 - 1998년 1월 입주.
  • 건영아파트 - 1998년 12월 입주
  • 삼성물산 내동 삼성아파트 - 1996년 6월 입주.
  • 대우아파트 - 1996년 6월
  • 현대산업개발 내동 1차 현대아파트 - 1995년 9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내동 2차 현대아파트 - 1996년 1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내동 3차 현대아파트 - 1998년 4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내동 4차 현대아파트 - 1998년 6월 입주.


7.3.2. 외동[편집]


  • (주)동일 외동 동일아파트 - 1995년 11월 입주.
  • (주)일동 / 한신공영 외동 일동한신아파트 - 1999년 12월 입주.
  • 동아그린아파트 - 1994년 8월 입주
  • 한솔빌리지 - 2004년 7월 입주
  • (주)협성 김해외동협성엘리시안 - 2019년 4월 입주.
  • 대동주택 외동 대동 한마음타운 - 1995년 11월 입주.
  • 덕산종합건설 외동 덕산 베스트타운 - 1997년 3월 입주.
  • 쌍용건설 외동 쌍용스윗닷홈 - 2005년 7월 입주.
  • 쌍용건설 김해 쌍용 더 플래티넘 - 2020년 10월 입주
  • 이진종합건설 김해 외동 2차 이진캐스빌 - 2013년 9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외동 주공아파트 - 1988년 6월 입주.
  • 성원아파트 - 1996년 5월 입주
  • 서광아파트 - 1997년 3월 입주
  • 한신공영 한덕 한신타워 - 1992년 10월 입주.
  • 태영건설 외동 주공 재건축 : 입주미정.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2] 가장 많은 곳은 부천시 신중동이다. 장유면 분동 당시에는 1위였다.[3] 2018~2019.6 경찰청 자료기준[4] 창원시시에도 외동초등학교가 있다. [5] KAL아파트 재건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3:01:17에 나무위키 내외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