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민스 챔피언십(WWE)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WE에 소속된 다른 위민스 챔피언십들에 대한 내용은 WWE 위민스 챔피언 문서
WWE 위민스 챔피언번 문단을
WWE 위민스 챔피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wwe.com/Womens_Champion.png
타이틀 명칭WWE 위민스 챔피언십
마지막 챔피언레일라
챔피언 등극2010년 5월11일
WWE SMACKDOWN
이전 챔피언베스 피닉스
단체WWE
소속 브랜드WWE SMACKDOWN
이전 타이틀 명칭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WWF 위민스 챔피언십
벨트 창설일1956년 9월 18일
벨트 폐지일2010년 9월 19일
공식 홈페이지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페뷸러스 물라[1]
마지막 챔피언레일라
최다 획득 챔피언트리쉬 스트래터스7회
최장기간 챔피언페뷸러스 물라10170일
최단기간 챔피언미키 제임스1시간
최고령 챔피언페뷸러스 물라76세 106일
최연소 챔피언웬디 릭터22세 10개월
최중량급 챔피언버사 페이260 파운드
최경량급 챔피언더 캣106 파운드
남성 챔피언하비 위플먼
[1] 비공식을 정식으로 치면 제인 바이어가 초대 챔피언.
1. 역사
2. 역대 챔피언 목록



1. 역사[편집]


위민스 챔피언의 역사는 의외로 아주 오랜 1956년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시절부터 이어진다. 그러던 차에 페뷸러스 물라가 WWF(現 WWE)에 타이틀 소유권을 매각하면서 본격적으로 WWF에 여성 디비전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과정도 순탄치만은 않았는데 두번이나 일시 폐지되는 역사가 있었고 1998년 애티튜드 시대재클린세이블의 대립이 격심해지면서 타이틀이 부활하기에 이른다.

이후 2002년 브랜드 분할 이후 RAW의 소속이 되었고, 스맥다운에는 2008년 비키 게레로에 의해 WWE 디바스 챔피언십이 신설된다. 2009년에는 RAW의 위민스 챔피언 멜리나와 스맥다운의 디바스 챔피언 마리즈가 WWE 드래프트에서 맞트레이드되면서 위민스 챔피언십 역시 스맥다운으로 자리를 옮긴다.

이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010에서 디바스 챔피언 멜리나자칭 공동 위민스 챔피언 미셸 맥쿨이 타이틀 통합 경기를 가지고,[1] 미셸 맥쿨이 멜리나를 꺾고 승리하면서 위민스 타이틀은 WWE 디바스 챔피언십에 통합되어 사라진다.


2.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제인 바이어1회1954년 8월 20일 (760일)라이브 이벤트[A]
1페뷸러스 물라1회1956년 9월 18일 (10170일(3651일))라이브 이벤트
-베티 부쉐1회1966년 9월 17일 (13일)라이브 이벤트[A]
-페뷸러스 물라2회1966년 9월 30일 (527일)라이브 이벤트[A]
-토모에 유키코1회1968년 3월 10일 (23일)라이브 이벤트[A]
-페뷸러스 물라3회1968년 4월 2일 (2862일)라이브 이벤트[A]
-수 그린1회1976년 2월 2일 (32일)라이브 이벤트[A]
-페뷸러스 물라4회1976년 3월 5일 (947일)라이브 이벤트[A]
-이블린 스티븐스1회1978년 10월 8일 (2일)라이브 이벤트[A]
-페뷸러스 물라5회1978년 10월 10일 (2113일)[2]라이브 이벤트[3]
2웬디 릭터1회1984년 7월 23일 (210일)더 브롤 투 엔드 잇 올
3릴러니 카이1회1985년 2월 18일 (41일)더 워 투 세틀 더 스코어
4웬디 릭터2회1985년 3월 31일 (239일)WWF 레슬매니아 1
5스파이더 레이디2회1985년 11월 25일 (220일)라이브 이벤트
6벨벳 맥킨타이어1회1986년 7월 3일 (6일)라이브 이벤트
7페뷸러스 물라3회1986년 7월 9일 (380일)라이브 이벤트[4]
8센세이셔널 셰리1회1987년 7월 24일 (441일)라이브 이벤트
9록킨 로빈1회1988년 10월 7일 (451일)프라임 타임 레슬링[5]
-일시 폐지-1990년 2월 21일-[6]
10얼룬드라 블레이즈1회1993년 12월 13일 (342일)올 아메리칸 레슬링[7]
11불 나카노1회1994년 11월 20일 (134일)빅 에그 레슬링 유니버스[8]
12얼룬드라 블레이즈2회1995년 4월 3일 (146일)WWF RAW
13버사 페이1회1995년 8월 27일 (57일)WWF 섬머슬램(1995)
14얼룬드라 블레이즈3회1995년 10월 23일 (51일)WWF RAW
-일시 폐지-1995년 12월 13일-[9]
15재클린1회1998년 9월 15일 (61일)WWF RAW IS WAR[10][11]
16세이블1회1998년 11월 15일 (176일)WWF 서바이버 시리즈(1998)
17데브라1회1999년 5월 10일 (29일)WWF RAW IS WAR[12]
18아이보리1회1999년 6월 8일 (131일)WWF RAW IS WAR
19페뷸러스 물라4회1999년 10월 17일 (8일)WWF 노 머시(1999)
20아이보리2회1999년 10월 25일 (48일)WWF RAW IS WAR
21미스 키티1회1999년 12월 12일 (50일)WWF 아마겟돈(1999)[13]
22허비나1회2000년 1월 31일 (1일)WWF RAW IS WAR[14]
23재클린2회2000년 2월 1일 (56일)WWF SMACKDOWN
24스테파니 맥맨 헴즐리1회2000년 3월 28일 (146일)WWF SMACKDOWN[15]
25리타1회2000년 8월 21일 (71일)WWF RAW IS WAR[16]
26아이보리3회2000년 10월 31일 (152일)WWF SMACKDOWN[17]
27차이나1회2001년 4월 1일 (231일)WWF 레슬매니아 17
-공석-2001년 11월 18일WWF 서바이버 시리즈(2001)[18]
28트리쉬 스트래터스1회2001년 11월 18일 (78일)WWF 서바이버 시리즈(2001)
29재즈1회2002년 2월 4일 (98일)WWF RAW[19]
30트리쉬 스트래터스2회2002년 5월 13일 (41일)WWE RAW
31몰리 할리1회2002년 6월 23일 (91일)WWE 킹 오브 더 링(2002)
32트리쉬 스트래터스3회2002년 9월 22일 (56일)WWE 언포기븐(2002)
33빅토리아1회2002년 11월 17일 (133일)WWE 서바이버 시리즈(2002)[20]
34트리쉬 스트래터스4회2003년 3월 30일 (28일)WWE 레슬매니아 19[21]
35재즈2회2003년 4월 27일 (64일)WWE 백래쉬(2003)
36게일 킴1회2003년 6월 30일 (28일)WWE RAW[22]
37몰리 할리2회2003년 7월 28일 (210일)WWE RAW
38빅토리아2회2004년 2월 23일 (111일)WWE RAW[23]
39트리쉬 스트래터스5회2004년 6월 13일 (176일)WWE 배드 블러드(2004)[24]
40리타2회2004년 12월 6일 (34일)WWE RAW
41트리쉬 스트래터스6회2005년 1월 9일 (448일)WWE 뉴 이어즈 레볼루션(2005)
42미키 제임스1회2006년 4월 2일 (134일)WWE 레슬매니아 22
43리타3회2006년 8월 14일 (34일)WWE RAW
44트리쉬 스트래터스7회2006년 9월 17일 (1일)WWE 언포기븐(2006)[25]
-공석-2006년 9월 18일WWE RAW[26]
45리타4회2006년 11월 5일 (21일)WWE 사이버 선데이(2006)[27]
46미키 제임스2회2006년 11월 26일 (85일)WWE 서바이버 시리즈(2006)[28]
47멜리나1회2007년 2월 19일 (64일)WWE RAW
48미키 제임스3회2007년 4월 24일 (0일)라이브 이벤트[29]
49멜리나2회2007년 4월 24일 (61일)라이브 이벤트[30]
50캔디스 미셸1회2007년 6월 24일 (105일)WWE 벤전스(2007)
51베스 피닉스1회2007년 10월 7일 (190일)WWE 노 머시(2007)
52미키 제임스4회2008년 4월 14일 (125일)WWE RAW
53베스 피닉스2회2008년 8월 17일 (161일)WWE 섬머슬램(2008)[31]
54멜리나3회2009년 1월 25일 (154일)WWE 로얄럼블(2009)[32]
55미셸 맥쿨1회2009년 6월 28일 (217일)WWE 더 배쉬
56미키 제임스5회2010년 1월 31일 (23일)WWE 로얄럼블(2010)[33]
57미셸 맥쿨2회2010년 2월 23일 (61일)WWE SMACKDOWN[34]
58베스 피닉스3회2010년 4월 25일 (16일)WWE 익스트림 룰즈(2010)[35]
59레일라1회2010년 5월 11일 (133일)WWE SMACKDOWN[36]
-폐지-2010년 9월 19일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10)[37]
[1]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챔피언은 레일라다. 하지만 이들은 베스 피닉스를 상대로 한 2대1 경기에서 이겼단 이유로 벨트를 2개 들고 다녔고, 테디 롱에 의해 하나를 회수당하자 벨트를 반으로 쪼개 같이 들고 다녔다.[A] A B C D E F G H WWE에서 인정하지 않는 비공식 기록.[2] NWA에서의 기록은 3104일로 되어있다.[3] WWE에서 인정하지 않는 비공식 기록. 이후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에서 떨어져나온다.[4] 호주의 시드니에서 개최.[5] 프랑스의 파리에서 개최.[6] 록킨 로빈이 타이틀을 들고 떠나면서 일시 폐지.[7] 토너먼트 결승에서 하이디 리 모건을 꺾고 승리.[8] 일본의 도쿄에서 개최. WWF 여성 챔피언을 획득한 최초의 동양인 여성 레슬러이자 최초의 일본인 여성 레슬러 이후 25년만에 두번째 일본인 여성 챔피언이 탄생했다..[9] 얼룬드라 블레이즈가 타이틀 획득한뒤 느닷없이 방출되면서 WCW로 이적하여 에릭 비숍의 아이디어라고 쓰고 안 하면 해고한다는 반 협박으로 쓰레기통에 벨트를 버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빈스 맥맨의 심기를 건드린다. 이 사건이 몬트리올 스크류잡을 일으키는데 아무래도 영향을 끼쳤다는게 정설.[10] 세이블을 꺾고 승리.[11] 사상 첫 흑인 여성 챔피언 등극.[12] 이브닝 가운 매치로 진행되었다.[13] 재클린, B.B, 아이보리가 참가한 페이탈 포 웨이 이브닝 가운 풀 매치에서 승리. 특별 심판으로 매 영(!!!)이 등장.[14] 스노우 바니 럼버질 매치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허비나의 정체는 여러 레슬러들의 매니저를 도맡고 있었던 남성 "하비 위플먼" 이었다. 결국 하비 위플먼은 유일하게 위민스 타이틀을 차지한 남성이 되었다.[15] 스테파니의 첫 공식적인 레슬링 경기를 갖게 된다. 결국, DX의 방해와 DX 여성 맴버인 토리가 재클린에게 DDT를 날려 스테파니를 도와 타이틀을 등극한다.[16] 특별 심판으로 더 락이 등장했다. 여성타이틀 매치가 메인이벤트에서 벌어진 흔치 않은 사례.[17] 리타, 재클린, 트리쉬 스트래터스가 참가한 페이탈 포 웨이 매치에서 승리.[18] 차이나가 WWF를 떠나면서 공석 처리.[19] 두 번째 흑인 여성 챔피언. 이후 재즈가 RAW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RAW 소속이 된다.[20] 여성 경기 중 드물게 하드코어 매치로 진행되었다.[21] 빅토리아, 재즈가 참가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22] 재즈, 아이보리, 빅토리아, 몰리 할리, 트리쉬 스트래터스, 재클린이 참가한 배틀로얄에서 승리. 이 경기는 게일 킴의 데뷔 경기였다. 덧붙여 불 나카노 이래 두번째로 WWE 여성 챔피언을 획득한 동양인 여성 레슬러이자 최초의 한국인 여성 레슬러.[23] 재즈, 리타, 몰리 할리가 참가한 4인 엘리미네이션 매치에서 승리. 이후 레슬매니아 20에서 몰리와 재경기를 가져 승리 후 몰리의 머리를 삭발시켜 버린다.[24] 빅토리아, 리타, 게일 킴이 참가한 4인 서든 데스 매치에서 승리.[25] 트리쉬 스트래터스. 최다 획득 기록 갱신.[26] 트리쉬 스트래터스가 은퇴하면서 공석 처리.[27] 토너먼트 결승에서 미키 제임스를 꺾고 승리. 럼버질 매치로 진행되었다.[28] 리타의 은퇴경기이기도 했다.[29] 프랑스의 파리에서 개최. 멜리나, 빅토리아가 참가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30] 멜리나가 미키 제임스가 자신이 아닌 빅토리아를 커버했다는 이유로 재경기를 요청. 이후 열린 재경기에서 승리.[31] 산티노 마렐라와 팀을 맺어 코피 킹스턴 & 미키 제임스에 맞섰다. 이 경기는 승리한 팀이 상대의 타이틀을 독식하는 규칙이 걸려있었고 베스 피닉스가 위민스 챔피언 미키 제임스를 커버하여 승리함으로서 마렐라와 베스 피닉스는 각각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위민스 타이틀을 획득했다.[32] 이후 멜리나가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되면서 벨트는 스맥다운 소속이 된다.[33] 이때의 대립 과정이 참 눈물겹기 그지없었다. 자세한 사항은 미키 제임스 항목을 볼 것.[34] 특별 심판 : 비키 게레로.[35] 익스트림 메이크오버 매치로 진행되었다.[36] 미셸 맥쿨과 팀을 맺어 텍사스 토네이도 핸디캡 매치로 진행되었다. 보유 기간 레일라와 미셸 맥쿨이 타이틀을 반으로 쪼개는 짓거리를 해가면서 보유.[37] 디바스 챔피언 멜리나와의 챔피언 통합 경기에서 승리하여 위민스 챔피언은 디바스 챔피언과 통합되어 사라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3:27:01에 나무위키 위민스 챔피언십(WW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