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헌공

덤프버전 :

위 국군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8080>
{{{#008080,#000 '''희성 위씨(姬姓 衛氏)'''}}}
|| ||<width=20%>
{{{#ece5b6 초대}}}
[br][[위강숙|{{{#000,#e5e5e5 강숙}}}]] ||<width=20%>
{{{#ece5b6 제2대}}}
[br][[위강백|{{{#000,#e5e5e5 강백}}}]] ||<width=20%>
{{{#ece5b6 제3대}}}
[br][[위고백|{{{#000,#e5e5e5 고백}}}]] ||<width=20%>
{{{#ece5b6 제4대}}}
[br][[위사백|{{{#000,#e5e5e5 사백}}}]] ||<width=20%>
{{{#ece5b6 제5대}}}
[br][[위첩백|{{{#000,#e5e5e5 첩백}}}]] || ||<width=20%>
{{{#ece5b6 제6대}}}
[br][[위정백|{{{#000,#e5e5e5 정백}}}]] ||
{{{#ece5b6 제7대}}}
[br][[위기백|{{{#000,#e5e5e5 기백}}}]] ||
{{{#ece5b6 제8대}}}
[br][[위경후|{{{#000,#e5e5e5 경후}}}]] ||
{{{#ece5b6 제9대}}}
[br][[위희후|{{{#000,#e5e5e5 희후}}}]] ||
{{{#ece5b6 제10대}}}
[br][[위공백|{{{#000,#e5e5e5 공백}}}]] || ||<width=20%>
{{{#ece5b6 제11대}}}
[br][[위무공|{{{#000,#e5e5e5 무공}}}]] ||
{{{#ece5b6 제12대}}}
[br][[위장공|{{{#000,#e5e5e5 장공}}}]] ||
{{{#ece5b6 제13대}}}
[br][[위환공|{{{#000,#e5e5e5 환공}}}]] ||
{{{#ece5b6 제14대}}}
[br][[위군 주우|{{{#000,#e5e5e5 주우}}}]] ||
{{{#ece5b6 제15대}}}
[br][[위선공|{{{#000,#e5e5e5 선공}}}]] || ||<width=20%>
{{{#ece5b6 제16대}}}
[br][[위혜공|{{{#000,#e5e5e5 혜공}}}]] ||
{{{#ece5b6 제17대}}}
[br][[위후검모|{{{#000,#e5e5e5 검모}}}]] ||
{{{#ece5b6 제18대}}}
[br][[위혜공|{{{#000,#e5e5e5 혜공}}}]] ||
{{{#ece5b6 제19대}}}
[br][[위의공|{{{#000,#e5e5e5 의공}}}]] ||
{{{#ece5b6 제20대}}}
[br][[위대공|{{{#000,#e5e5e5 대공}}}]] || ||<width=20%>
{{{#ece5b6 제21대}}}
[br][[위문공|{{{#000,#e5e5e5 문공}}}]] ||
{{{#ece5b6 제22대}}}
[br][[위성공|{{{#000,#e5e5e5 성공}}}]] ||
{{{#ece5b6 제23대}}}
[br][[위군 하|{{{#000,#e5e5e5 위군 하}}}]] ||
{{{#ece5b6 제24대}}}
[br][[위성공|{{{#000,#e5e5e5 성공}}}]] ||
{{{#ece5b6 제25대}}}
[br][[위목공|{{{#000,#e5e5e5 목공}}}]] || ||<width=20%>
{{{#ece5b6 제26대}}}
[br][[위정공|{{{#000,#e5e5e5 정공}}}]] ||
{{{#ece5b6 제27대}}}
[br][[위헌공|{{{#000,#e5e5e5 헌공}}}]] ||
{{{#ece5b6 제28대}}}
[br][[위상공|{{{#000,#e5e5e5 상공}}}]] ||
{{{#ece5b6 제29대}}}
[br][[위헌공|{{{#000,#e5e5e5 헌공}}}]] ||
{{{#ece5b6 제30대}}}
[br][[위양공|{{{#000,#e5e5e5 양공}}}]] || ||<width=20%>
{{{#ece5b6 제31대}}}
[br][[위영공|{{{#000,#e5e5e5 영공}}}]] ||
{{{#ece5b6 제32대}}}
[br][[위출공|{{{#000,#e5e5e5 출공}}}]] ||
{{{#ece5b6 제33대}}}
[br][[위후장공|{{{#000,#e5e5e5 후장공}}}]] ||
{{{#ece5b6 제34대}}}
[br][[위군반사|{{{#000,#e5e5e5 반사}}}]] ||
{{{#ece5b6 제35대}}}
[br][[위군기|{{{#000,#e5e5e5 위군 기}}}]] || ||<width=20%>
{{{#ece5b6 제36대}}}
[br][[위출공|{{{#000,#e5e5e5 출공}}}]] ||
{{{#ece5b6 제37대}}}
[br][[위도공|{{{#000,#e5e5e5 도공}}}]] ||
{{{#ece5b6 제38대}}}
[br][[위경공|{{{#000,#e5e5e5 경공}}}]] ||
{{{#ece5b6 제39대}}}
[br][[위소공|{{{#000,#e5e5e5 소공}}}]] ||
{{{#ece5b6 제40대}}}
[br][[위회공|{{{#000,#e5e5e5 회공}}}]] || ||<width=20%>
{{{#ece5b6 제41대}}}
[br][[위신공|{{{#000,#e5e5e5 신공}}}]] ||
{{{#ece5b6 제42대}}}
[br][[위성공(42대)|{{{#000,#e5e5e5 성공}}}]] ||
{{{#ece5b6 제43대}}}
[br][[위성후|{{{#000,#e5e5e5 성후}}}]] || ||<-5><bgcolor=#008080>
{{{#008080,#000 '''희성 자남씨(姬姓 子南氏)'''}}}
|| ||<width=20%>
{{{#ece5b6 제44대}}}
[br][[위평후|{{{#000,#e5e5e5 평후}}}]] ||
{{{#ece5b6 제45대}}}
[br][[위사군|{{{#000,#e5e5e5 사군}}}]] ||
{{{#ece5b6 제46대}}}
[br][[위회군|{{{#000,#e5e5e5 회군}}}]] ||
{{{#ece5b6 제47대}}}
[br][[위원군(전국시대)|{{{#000,#e5e5e5 원군}}}]] ||
{{{#ece5b6 말대}}}
[br][[위군각|{{{#000,#e5e5e5 위군 각}}}]] || ||<-5><bgcolor=#ffffff,#191919>
{{{#000,#e5e5e5 [[틀:역대 주 국왕|{{{#da3f3a,#c52a25 '''← 주 국왕'''}}}]]}}}
{{{#000,#000 [[틀:역대 진(영성) 군주|{{{#000,#000 '''진 황제 →'''}}}]]}}}
|| ||<-5><bgcolor=#008080> {{{#ece5b6 {{{-2 [[틀:삼황오제|{{{#ece5b6 삼황오제}}}]] · [[틀:역대 하 국왕|{{{#ece5b6 하}}}]] · [[틀:역대 상 국왕|{{{#ece5b6 상}}}]] · [[틀:역대 주 국왕|{{{#ece5b6 주}}}]] · [[틀:춘추시대 왕조|{{{#ece5b6 춘추시대}}}]] · [[틀:전국시대 왕조|{{{#ece5b6 전국시대}}}]] · [[틀:역대 진(영성) 군주|{{{#ece5b6 진(秦)}}}]] · [[틀:역대 한 황제|{{{#ece5b6 한}}}]][br][[틀:역대 중국 삼국시대 황제|{{{#ece5b6 삼국시대}}}]] · [[틀:역대 사마진 황제|{{{#ece5b6 진(晉)}}}]] · [[틀:오호십육국 왕조|{{{#ece5b6 오호십육국}}}]] · [[틀:역대 북조 황제|{{{#ece5b6 북조}}}]] · [[틀:역대 남조 황제|{{{#ece5b6 남조}}}]] · [[틀:역대 수 황제|{{{#ece5b6 수}}}]] · [[틀:역대 당 황제|{{{#ece5b6 당}}}]][br][[틀:오대십국 왕조|{{{#ece5b6 오대십국}}}]] · [[틀:역대 송 황제|{{{#ece5b6 송}}}]] · [[틀:역대 서하 황제|{{{#ece5b6 서하}}}]] · [[틀:역대 요 황제|{{{#ece5b6 요}}}]] · [[틀:역대 금 황제|{{{#ece5b6 금}}}]] · [[틀:역대 원 황제|{{{#ece5b6 원}}}]] · [[틀:역대 명 황제|{{{#ece5b6 명}}}]] · [[틀:역대 청 황제|{{{#ece5b6 청}}}]][br][[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ece5b6 중화민국 국가원수}}}]] · [[틀:역대 대만 총통|{{{#ece5b6 중화민국 총통}}}]] · [[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ece5b6 중화인민공화국}}}]]}}}}}} ||




위(衛)나라 27,29대[1] 국군
헌공
獻公
희(姬)
위(衛)
간(衎)
아버지위정공(衛定公) 희장(姬藏)
어머니강비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544년
재위 기간음력1차: 기원전 576년 ~ 기원전 559년
2차: 기원전 546년 ~ 기원전 544년

1. 개요
2. 생애
2.1. 비범한(?) 시작
2.2. 폐위 전
2.3. 신하들에게 폐위당하다
2.4. 복위



1. 개요[편집]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제27,29대 군주. 위정공의 아들. 위상공의 형.[2] 위양공의 아버지. 사냥질 만하다가 신하에게 폐위되었으나 13년 뒤에 복위했고, 공신인 영희를 죽였다.


2. 생애[편집]



2.1. 비범한(?) 시작[편집]


아버지 위 정공이 죽었을 때 그 아내인 강비는 눈물을 흘렸으나 위헌공은 전혀 울지 않았다.


2.2. 폐위 전[편집]


위 헌공 원년(기원전 576년) 봄, 위 헌공은 노나라, 진(晉)나라, 정나라, 송나라, 제나라 등과 함께 척 땅에서 회맹했다. 그것은 조나라의 군주 조성공을 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조 성공을 체포해 주나라로 암송하기 위해서였다. 11월, 순림보는 진(晉)나라, 정나라, 제나라, 오(吳)나라와 종리에서 회맹했다.

위 헌공 2년(기원전 575년), 위 헌공은 정나라를 쳤다. 가을 위 헌공은 진(晉)나라, 제나라, 송나라 등과 함께 사수 땅에서 회맹했다.

위 헌공 3년(기원전 574년), 노나라, 진(晉)나라, 제나라, 송나라와 연합해 정나라를 쳤다. 이후 가릉 땅에서 제후들과 회맹했다. 겨울 다시 제후들과 정나라를 쳤다.

위 헌공 5년(기원전 572년) 봄, 송나라의 팽성(彭城)[3]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위 헌공은 노나라, 진(晉)나라, 송나라와 반란군이 점령한 팽성을 포위했다. 위 헌공은 영식에게 노나라를 방문하게 했다.


2.3. 신하들에게 폐위당하다[편집]


위 헌공 13년(기원전 564년), 위 헌공은 악사 사조를 시켜 첩에게 금을 타는 법을 가르치게 했다. 그러나 첩이 잘하지 못해 사조가 매질을 하자 첩은 악사 사조를 모함했고, 위 헌공은 곤장 300대를 때리게 했다.

위 헌공 18년(기원전 559년), 위 헌공은 손림보와 영식에게 같이 식사하자고 했으나 위 헌공이 끝내 부르지 않았다. 그 이유는 기러기 사냥에 빠진 탓이었다. 이에 두 사람은 크게 노해 숙읍으로 갔다. 악사 사조는 그것을 알고 손림보를 교언장이라는 음악을 연주하면서 자극했다. 이 일을 손림보가 거백옥에게 말했는데, 거백옥은 모르는 일이라고 했다. 손림보는 위 헌공을 쳐서 몰아냈고, 위 헌공의 아우이자 위 정공의 아들인 공자 표를 세우니 그가 바로 위 상공이다.[4] 위 상공은 손림보를 숙읍에 봉했다.


2.4. 복위[편집]


위 상공 12년(기원전 547년), 영희와 손림보가 총애를 다투며 서로 미워했다. 위 상공은 영희에게 손림보를 치게하니 손림보는 진(晉)나라로 달아났다. 그리고 진(晉)나라 그리고 진(晉)나라에 위 헌공을 복위시켜 달라고 했다. 제경공(齊景公)은 제나라에 있는 위 헌공을 복위시키기 위해 위 헌공을 돌려보냈다. 그리고 진(晉)나라는 위나라를 쳐서 당시 위나라 군주인 위 상공을 회맹에 이끌고 진평공(晉平公) 영희와 위상공을 사로잡아 위 헌공을 복위시켰다. 위 헌공이 도망간지 13년 만에 복위했다.

위 헌공 복위 원년(기원전 546년), 위 헌공이 영희를 처형했다.

위 헌공 복위 2년(기원전 544년), 오나라의 공자 계찰이 위나라를 방문해 거백옥과 사추를 만났다. 계찰이 그들에게 말했다.

"위나라에 군자가 많으니 별일 없을 겁니다."

위 헌공은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죽었다. 그리고 그 아들인 악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위 양공이다.

[1] 폐위되었다가 복위되었다[2] 일설에는 위 상공이 위 헌공의 숙부로 나온다.[3] 항우가 머무른 그 팽성 맞다.[4] 이름은 달리 추(秋)라고도 전해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19:21에 나무위키 위헌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