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럽 평의회

덤프버전 :

파일:유럽 평의회 깃발.svg
유럽 평의회 깃발

1. 개요
2. 상세
3. 현황
3.1. 회원국
3.2. 전 회원국
3.3. 가입 신청국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유럽 평의회(Council of Europe)는 1949년 5월 5일에 출범한 유럽의 국제기구이다. 유럽 평의회 회원국들은 현대 정치외교학적으로 유럽의 가장 큰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본부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다.

유럽연합, 유럽의회와는 다른 기구이다.

2. 상세[편집]


1949년 5월 5일 유럽민주주의인권 증진, 사회경제적 발전과 유럽 통합을 목적으로 출범하였다. 처음에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10개국이 창립 회원국으로 있었다가 이후 2023년 기준으로 46개국이 유럽 평의회에 가입하였다.

이 기구의 가장 큰 역할은 유럽 내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수호이다. 유럽 내 인권 수호를 목적으로 가입국을 상대로 유럽 인권 조약을 맺었고, 이에 따라 설치된 유럽인권재판소가 유럽 평의회 가입국을 대상으로 관할권을 갖고 인권 관련 재판을 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유럽 평의회에서는 각료회의를 통해 러시아의 대표국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다. 러시아는 2022년 3월 16일을 기해 유럽평의회에서 완전히 탈퇴하였다.# 이후 러시아는 CoE 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체결한 '부패형사처벌협약'도 파기했다.#


3. 현황[편집]



3.1. 회원국[편집]


국가수도가입일비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런던1949년 5월 5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리1949년 5월 5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로마1949년 5월 5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더블린1949년 5월 5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암스테르담1949년 5월 5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브뤼셀1949년 5월 5일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1949년 5월 5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코펜하겐1949년 5월 5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오슬로1949년 5월 5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스톡홀름1949년 5월 5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아테네1949년 8월 9일[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앙카라1949년 8월 9일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레이캬비크1950년 3월 7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베를린1950년 7월 13일[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956년 4월 16일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니코시아1961년 5월 24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베른1963년 5월 6일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발레타1965년 4월 29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리스본1976년 9월 22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마드리드1977년 11월 24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파두츠1978년 11월 23일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산마리노1988년 11월 16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헬싱키1989년 5월 5일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부다페스트1990년 11월 6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바르샤바1991년 11월 26일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소피아1992년 5월 7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빌뉴스1993년 5월 14일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류블랴나1993년 5월 14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탈린1993년 5월 14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프라하1993년 6월 30일[A]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1993년 6월 30일[A]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부쿠레슈티1993년 10월 7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안도라라베야1994년 11월 10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리가1995년 2월 10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티라나1995년 7월 13일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키시너우1995년 7월 13일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스코페1995년 11월 9일[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키이우1995년 11월 9일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자그레브1996년 11월 6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트빌리시1999년 4월 27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예레반2001년 1월 25일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바쿠2001년 1월 25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사라예보2002년 4월 24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베오그라드2003년 4월 3일[4]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모나코2004년 10월 5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포드고리차2007년 5월 11일


3.2. 전 회원국[편집]


국가수도가입일탈퇴일비고
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 자르 보호령자르브뤼켄1950년 8월 13일1957년 1월 1일[5]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프라하1991년 1월 21일1992년 12월 31일[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베오그라드2003년 4월 3일2006년 6월 5일[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모스크바1996년 2월 28일2022년 3월 16일[8]

3.3. 가입 신청국[편집]


  • 벨라루스: 1993년에 가입을 신청했으나 그 뒤 벨라루스가 독재체제를 구축하면서 가입이 불발되었다.
  • 코소보: 2022년에 가입을 신청했으나 코소보의 국가 인정 관련 문제가 있어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4. 대중매체[편집]


집행자(영화): 직중에서는 장용두 사건을 계기로 어느정도 분쟁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9:05:15에 나무위키 유럽 평의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입 당시 그리스 왕국. 군사정권 출범 당시인 1967년에 탈퇴했으나 1974년 민주화 및 그리스 제3공화국 출범 이후 복귀[2] 가입 당시 서독[A] A B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독립국 자격으로 재가입[3] 가입 당시에는 그리스와의 국호 분쟁을 고려해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가입했다. 2019년에 국명을 북마케도니아로 고치면서 회원국 이름도 동일하게 변경.[4] 2003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가입했으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해체 이후 세르비아가 지위를 계승하였다.[5] 자르 보호령이 서독으로 귀속되면서 회원국 자격이 소멸되었다.[6]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독립국 자격으로 재가입했다.[7]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해체. 이후 세르비아가 회원국 자격을 승계했다.[8] 러시아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회원국 자격이 정지된 적이 있었다가#, 2019년에 다시 유럽 평의회로 복귀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결국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다시 회원국 자격이 정지되었고, 2022년 3월 15일에 러시아는 탈퇴 의사를 밝혔으며 2022년 3월 16일을 기해 유럽 평의회에서 완전히 제명당하였다.